$\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천유지용수와 지천 유입에 따른 도시하천 양재천의 수리화학적 변화 연구
Hydrochemical Effects of Tributaries and Discharged Waters in the Yangjae Stream Flowing Peri-urban Area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4 no.6, 2018년, pp.678 - 687  

김연태 (연세대학교 자연과학연구원) ,  정의진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  박종훈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  우남칠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unique and complicated feature of urban stream receiving various inflows. The Yangjae stream, the second tier of the Han River, runs through the southern parts of Seoul, Korea and its middle part flows on the boundary of Seoul where land use is activel...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인구 약 6만의 소도시 과천과 약 천만 명의 대도시 서울의 남부를 흐르는 양재천을 대상으로, 수리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양재천의 유량과 주요 용존 이온의 농도 및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두 번의 시료채취 시점에 대하여 평가하였는데(snapshot), 다양한 도시시설과 인간 활동의 영향을 받은 유입수와 지천이 본류의 수리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 2017). 본 연구에서는 평상시 양재천의 수리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평가하기 위하여 강우 영향이 작은 건기의 두 시점을 선택하여 정밀조사를 실시하였다. 2017년 11월 19일과 2018년 2월 27일 두 차례 양재천 본류 하천수(Y-1 ~ Y-15)와 지천 등 유입수(T-1 ~ T-10)를 채취,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하천 일부가 복개되어 현재는 과천시 별양동복개종점이 양재천 기점이다. 서울시에 해당하는 하류지역은 고도로 도시화된 지역으로, 하도가 직강화 되어있고 유입지천이 없다. 양재천 중류지역(막계천 합류지점 ~ 여의천합류지점)은 도시 경계부로서, 화훼단지 등 농경지와 공원지가 위치하며, 양재천 북측으로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최근 조성되었고, 남측으로 도시개발이 예정되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 하천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들을 파악 하여야 하는가? , 2013). 따라서, 도시 하천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고유한 환경 하에서, 관심물질의 기원, 이동, 순환에 대해 정량적으로 이해하고, 공간적, 시간적 다양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건천화 하천증가의 주요원인은? , 2014). 낮아진 지하수위로 인한 하천 기저유출 감소는 기후변화와 함께 건천화 하천(temporary river or stream)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평가된다(Barron et al., 2013; Kalantari et al.
지하수위 감소는 왜 일어나는가? 인구가 밀집된 도시지역은 물 이용량 증가와 함께, 지하수 배출을 요구하는 지하구조물의 증가, 빗물의 지하함양을 가로막는 불투수 표면 증가로 인한 지하수 감소를 겪고 있다(Lee and Koo, 2007; Yun et al.,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rron, O. V., Barr, A. D., and Donn, M. J. (2013). Effect of urbanisation on the water balance of a catchment with shallow groundwater, Journal of Hydrology, 485, 162-176. 

  2. Bischel, H. N., Lawrence, J. E., Halaburka, B. J., Plumlee, M. H., Bawazir, A. S., King, J. P., McCray, J. E., Resh, V. H., and Luthy, R. G. (2013). Renewing urban streams with recycled water for streamflow augmentation: hydrologic, water quality, and ecosystem services management, Environmental Engineering Science, 30(8), 455-479. 

  3. Braud, I., Breil, P., Thollet, F., Lagouy, M., Branger, F. Jacqueminet, C., Kermadi, S., and Michel, K. (2013). Evidence of the impact of urbanization on the hydrological regime of a medium-sized periurban catchment in France, Journal of Hydrology, 485, 5-23. 

  4. Chambers, L. G. Chin, Y. P., Filippelli, G. M., Gardner, C. B., Herndon, E. M., Long, D. T., Lyons, W. B., Macpherson, G. L., McElmurry, S. P., McLean, C. E., Moore, J., Moyer, R.P., Neumann, K., Nezat, C. A., Soderberg, K., Teutsch, N., and Widom, E. (2016). Developing the scientific framework for urban geochemistry, Applied Geochemistry, 67, 1-20. 

  5. Cho, H. K. and Kim, S. M. (2018). Water quality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ewage treated water and the adjacent downstream water in Nakdong river basin,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4(2), 202-209. [Korean Literature] 

  6. Chung, S. Y. (2010). Groundwater obstructions and countermeasures for groundwater discharge from subway in Seoul,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6(1), 61-72. [Korean Literature] 

  7. Gyeonggi-do Office. (2014). Master plan for three streams including the Tan stream, EPRI Publication No. 71-6410000-000602-01, Gyeonggi-do Office, 3-153-3-163. [Korean Literature] 

  8.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HRFCO). (2018a). RIMGIS, http://www.river.go.kr (accessed in Mar. 2018). 

  9.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HRFCO). (2018b). Realtime monitoring data for hydrology, http://www.hrfco.go.kr/sumun/rthd.do (accessed Mar. 2018). 

  10. Hasenmueller, E. A., Criss, R. E., Winston, W. E., and Shaughnessy, A. R. (2017). Stream hydrology and geochemistry along a rural to urban land use gradient, Applied Geochemistry, 83, 136-149. 

  11. Ide, K., Hosono, H., Hossain, S., and Shimada, J. (2018). Estimating silicate weathering timescales from geochemical modeling and spring water residence time in the Kirishima volcanic area, Southern Japan, Chemical Geology, 488, 44-55. 

  12. Kalantari, Z. Ferreira, C. S. S., Walsh, R. P. D., Ferreira, A. J. D., and Destouni, G. (2017). Urbanization development under climate change: hydrological responses in a peri-urban mediterranean catchment, Land Degradation & Development, 28, 2207-2221. 

  13. Kang, M. (2010). Methodologies for estimation of the amount of in-stream flow considering the changes in socio-economics systems and the ecosystems and sustainably securing i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58(12), 57-64. [Korean Literature] 

  14. Kim, Y. and Chung, E. S. (2014). An index-based robust decision making framework for watershed management in a changing climat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73-474, 88-102. 

  15. Lee, J., Kim, D., Masahiro, I., and Han, M. (2010). A case study on stream maintenance and security for prevention of urban stream depletion, GRI Review, 12(1), 179-194. [Korean Literature] 

  16. Lee, J., Park, T., Kim, M., Kim, J., Lee, S., Lee, S. K., Lee, Y. S., Lee, W., Yu, S., and Rhew, D. (2016). Stable isotope on the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n the presence of WWTPs in rivers,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23, 18175-18182. 

  17. Lee, J. Y. and Koo, M. H. (2007). A review of effects of land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on groundwater environment,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3(4), 517-528. [Korean Literature] 

  18. Lee, S. M. and Yoon, H. M. (2018).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nderground water leakage utilization in Seoul, ISBN 979-11-5700-295-5, The Seoul Institute, 8-50. [Korean Literature] 

  19. Luthy, R. G., Sedlak, D. L., Plumlee, M. H., Austin, D., and Resh, V. H. (2015). Wastewater-effluent-dominated streams as ecosystem-management tools in a drier climate,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13(9), 477-485. 

  20. Mandaric, L, Mor, J. R., Sabater, S., and Petrovic, M. (2018). Impact of urban chemical pollution on water quality in small, rural and effluent-dominated mediterranean streams and river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613-614, 763-772. 

  21.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7).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22.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8).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http://water.nier.go.kr/publicMain/MainContent.do (accessed Jun. 2018). 

  2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7). 2016 Korea annual hydrological report, EPRI Publication No. 11-1613374-000067-1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n Literature] 

  24. Moon, S. Y., Choi, J. Y., Hong, J. S., Yu, G. G., Jeon, J. C., Flores, P. E. D., and Kim, L. H. (2015). Hydrologic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of an infiltration planter for roof runoff use,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7(4), 325-331. [Korean Literature] 

  25. Rose, S. (2007). The effect of urbanization on the hydrochemistry of base flow within the Chattahoochee river basin (Georgia, USA), Journal of Hydrology, 341, 42-54. 

  26. Tamura, I., Yasuda, Y., Kagota, K. I., Yoneda, S., Nakada, N., Kumar, V., Kameda, Y., Kimura, K., Tatarazako, N., and Yamamoto, H. (2017). Contribution of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PPCPs) to whole toxicity of water samples collected in effluent-dominated urban streams,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144, 338-350. 

  27. Waste Water Treatment Plant of Gwacheon City (WWTP of Gwacheon City). (2018). Water quality information, http://www.gccity.go.kr/environment/page.do?mCodeB020000000&cIdx273 (accessed Aug. 2018) 

  28. Yun, S. W., Choi, H. M., and Lee, J. Y. (2014). Comparison of groundwater levels and groundwater qualities in six megacities of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0(4), 517-528.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