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캄보디아와 베트남의 국가위험도 영향요인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actors in Country Risk between Cambodia and Vietnam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4 no.2, 2018년, pp.65 - 77  

이창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  주용식 (중앙대학교 국제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캄보디아와 베트남의 국가위험도와 영향요인들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OECD와 한국수출입은행 모두 베트남보다는 캄보디아의 국가위험도를 더 높게 평가하고 있다. 국가위험도 분류에 따른 각각의 평가요소들에 대해 모수검정을 실시한 결과, 정치 사회적 위험 지표인 부패지수, 경제적 위험 중 국내경제 지표인 경제성장률, 경제적 위험 지표 중 대외거래 지표들, 경제적 위험 중 외채 관련 지표가 두 국가 간의 국가위험도 차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국가위험도 분류에 따른 평가요소별 모수검정 결과를 토대로 판별요인 분석을 통해 두 국가 간의 국가위험도를 가장 잘 나타내는 요인들을 추가로 추정한 결과, 정치 사회적 위험 지표인 부패지수, 경제적 위험 중 국내경제 지표인 경제성장률, 경제적 위험 중 외채 관련 지표인 외환보유액/월평균수입이 캄보디아와 베트남 간의 국가위험도 차이를 잘 대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캄보디아가 국가위험도를 베트남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부패척결, 수출증대 등 대외거래 확대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베트남 또한 지속적인 경제성장 달성과 외환보유고 증대에 주력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factors in country risk between Cambodia and Vietnam. OECD and the Export-Import Ban of Korea assess country risk of Cambodia more highly than Vietnam. As results of the parametric tests for evaluation factors on the basis of country risk classif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본 연구는 어떤 요인들이 이들 국가들의 국가위험도 차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모수검정과 판별요인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궁극적으로는 국가위험도 분석을 통해 한-캄보디아-베트남 간 기업 활동뿐 아니라 정부 간의 협력에서 고려해야 할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2절은 국가위험도와 관련한 이론을 정리하였다.
  • 본 연구는 캄보디아와 베트남의 국가위험도를 비교 분석하고 어떠한 요인들이 캄보디아와 베트남 간 국가위험도 차이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OECD와 한국수출입은행 모두 베트남보다는 캄보디아의 국가위험도를 더 높게 평가하고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캄보디아와 베트남의 국가위험도와 영향요인들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어떤 요인들이 이들 국가들의 국가위험도 차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모수검정과 판별요인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 먼저 각 평가요소별로 모수검정을 통해 캄보디아와 베트남 간 국가위험도 차이에서 어떠한 변수들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는 앞서 살펴본 것처럼 OECD와 한국수출입은행의 국가위험도 평가등급에서 두 국가 간에 차이가 분명히 존재함에 따라 국가위험도 분류에 따른 각각의 평가요소들 가운데 어떤 요인들이 국가위험도 차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통계적으로 살펴보기 위함이다.5) 경제적 위험 관련 변수들 중 1인당 GDP 변수는 로그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 캄보디아와 베트남 간 국가위험도 차이에서 어떠한 영향요인들이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앞서 제시한 <표 1>의 국가위험도 분류를 토대로 캄보디아와 베트남의 국가위험도를 정치·사회적 위험, 제도적 위험, 경제적 위험 등으로 구분함에 있어 각각의 위험에 대한 평가요소를 OECD와 한국수출입은행의 양적 평가요소를 고려하여 <표 9>와 같이 설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캄보디아와 베트남의 국가위험도와 영향요인들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어떤 요인들이 이들 국가들의 국가위험도 차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모수검정과 판별요인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궁극적으로는 국가위험도 분석을 통해 한-캄보디아-베트남 간 기업 활동뿐 아니라 정부 간의 협력에서 고려해야 할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LMV는 무슨 국가로 구성되어 있는가? 인도차이나 반도에 위치한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후발 참여국인 CLMV(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는 최근 견고한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역내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세계은행 자료에 따르면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의 2010~2015년 연평균 GDP(Gross Domestic Product) 성장률은 각각 7.
캄보디아와 베트남이 지리적 요충지인 이유는? 또한 미국과 중국의 태평양 경제권을 중심으로 한 무역질서를 둘러싼 지속적인 경쟁구도 속에서 CLMV 국가들은 주요 참여국들이자 우리나라의 포괄적 협력 대상국들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 및 남중국해 인공섬 건설 등을 둘러싼 미·중 갈등 속에서 캄보디아와 베트남은 가장 중요한 지리적 요충지이자 직접 이해당사국이기도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한-캄보디아-베트남 간 포괄적 협력 방안 모색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이들 국가들의 국가위험도에 관해 분석할 필요가 있다.
CLMV 국가들의 2010~2015년 연평균 GDP 성장률은? 인도차이나 반도에 위치한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후발 참여국인 CLMV(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는 최근 견고한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역내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세계은행 자료에 따르면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의 2010~2015년 연평균 GDP(Gross Domestic Product) 성장률은 각각 7.0%, 8.0% 6.0%, 7.7%에 달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對 CLMV 교역의 경우에도 2010년 1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류석춘.최진명, 2012, 메콩강유역개발사업(GMS)을 통해 본 중국의 대 동남아시아 지역협력 연구: 중국 대외정책의 변화배경과 지역협력의 양면성, 국제지역연구, 21(2), pp.137-173. 

  2. 이은미, 2017, 캄보디아 진출 환경 진단, TRADE FOCUS, 9호, 국제무역연구원. 

  3. 이창근, 2017, 한-CLMV 간의 ODA 결정요인 분석과 경제 협력에의 시사점 연구: 산업별 해외직접투자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동남아연구, 26(3), pp.147-172. 

  4. 조양현, 2008, EU 회원국의 국가위험도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5.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2015, 캄보디아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6.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2017, 베트남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7. Bouchet, M. H., E. Clark, B. Groslambert, 2003, Country Risk Assessment: A Guide to Global Investment Strategy, Wiley: West Sussex. 

  8. Damodaran, A., 2016, Country Risk: Determinants, Measures and Implications, SSRN: https://ssrn.com/abstract2812261. 

  9. Eun, C. S., B. G. Resnick, 2004, International Financial Management, McGraw-Hill: Boston. 

  10. Frank Jr., C. R., W. R. Cline, 1971, Measurement of debt servicing capacity: An application of discriminant analysis,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1(3), pp.327-344. 

  11. Grimsditch, M., 2016, The Engine Economic Growth: An Overview of Private Investment Policies, Trends, and Projects in Cambodia, Focus on the Global South. 

  12. Iyer, K. G., A. N. Rambaldi, K. K. Tang, 2008, Efficiency externalities of trade and alternative forms of foreign investment in OECD countries, Journal of Applied Economics, 23(6), pp.749-766. 

  13. Kurlantzick, J., 2006, China's Charm: Implications of Chinese Soft Power, Policy Brief 47,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14. Kuroiwa, I., 2016, Thailand-plus-one: a GVC-led development strategy for Cambodia, Asian Pacific Economic Literature, 30(1), pp.30-41. 

  15. Lim, T., 2008, China's Active Role in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A 'Win-Win' Outcome? Background Brief, No. 397, East Asia Institut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16. Przeworski, A., F. Limongi, 1993, Political Regimes and Economic Growth, The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7, pp.51-69. 

  17. World Economic Forum, 2016,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6-2017. 

  18.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http://keri.koreaexim.go.kr/site/main/index007. 

  19. Freedom House, https://www.freedomhouse.org. 

  20. Institute for Economics & Peace, http://www.economicsandpeace.org. 

  21. International Property Rights Index, http://www.internationalpropertyrightsindex.org. 

  22. OECD, http://www.oecd.org/tad/xcred/crc.htm. 

  23. Transparency International, http://www.transparency.org. 

  24. World Bank,http://www.worldbank.org. 

  25. World Economic Forum, http://www.weforum.or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