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상청 전지구 수치예보모델을 이용한 전지구 한국형 항공난류 예측시스템(G-KTG) 개발
Development of the Global-Korean Aviation Turbulence Guidance (Global-KTG) System Using the Glob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GDAPS)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8 no.2, 2018년, pp.223 - 232  

이단비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전혜영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lobal-Korean aviation Turbulence Guidance (G-KTG) system is developed using the operational Glob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ith 17-km horizontal grid spacing. The G-KTG system provides an integrated solution of various clear-air turbulenc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17 km 수평해상도의 기상청 현업 전지구예보모델(glob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GDAPS)을 이용하여 전지구 한국형 항공난류 예측시스템(이하 G-KTG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기술노트에서는 G-KTG의 방법론 및 난류 예측성을 제시할 것이다.
  • 본 연구노트에서는 기상청의 현업 전지구 수치예보모델인 17 km 수평해상도의 GDAPS을 이용하여 개발된 전지구 한국형 항공난류 예측시스템(G-KTG)의 방법론에 대해 설명하고, 항공기 계기로부터 관측된 in-situ EDR 자료를 이용하여 G-KTG 시스템의 항공 난류 예측성 검증을 전구 영역 및 동아시아 영역에 대해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관측된 난류가 MWT인지, 아니면 CAT인지 구분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정보가 없기 때문에, POD 방법을 통한 예측성 검증은 CAT, MWT 모두를 고려하여 나타낸 maximum-GKTG에 대해서 수행하였다. Figure 3은 Fig.
  • 이번 장에서는 민간 항공기로부터 관측된 전구 영역에 대한 in-situ EDR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G-KTG시스템의 12시간 예보장의 예측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EDR 항공기 관측자료는 미국NCAR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제공받았으며, 항공기 자료로부터 무강도(null: NIL) 및 중강도 이상(moderateor-greater: MOG)의 난류를 선별하기 위한 난류 강도별 EDR의 임계값은 Sharman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운항 중 항공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항공 난류 규모의 범위는? 운항중의 항공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10~1,000 m 규모의 항공 난류는 예기치 못하게 조우했을 경우, 연료 손실, 기체 파손, 승무원 및 승객의 부상 등 많은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Sharman and Lane, 2016; Sharman and Pearson, 2017). 항공 난류를 일으키는 기상학적 요인들은 수십 년간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지금까지 밝혀진 난류 발생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G-KTG 시스템은 무엇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는가? G-KTG 시스템은 미국 국립기상연구소(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NCAR)에서 개발한GTG3 시스템의 방법론(Sharman and Pearson, 2017)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이에 따라 현업에 운용 중인 지역-KTG 시스템과 다른 세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중층(10,000~25,000 ft)과 상층(25,000~48,000 ft) 두 고도 영역으로 구분되어 난류를 예측한지역-KTG와 달리, G-KTG는 하층(지표 - 10,000 ft),중층(10,000~20,000 ft), 상층(20,000~50,000 ft) 세 고도영역에 대해서 난류 예측 정보를 제공한다.
지금까지 밝혀진 항공 난류 발생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항공 난류를 일으키는 기상학적 요인들은 수십 년간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지금까지 밝혀진 난류 발생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트류-상층전선 시스템에서 야기될 수 있는 강한 연직바람시어가 시어 불안정을 일으켜 난류를 발생시킨다(Ellrod and Knapp, 1992;Koch et al., 2005; Kim and Chun, 2010). 둘째, 상층제트류 근처 고기압성 회전이 존재하는 영역에서의비지균성 흐름이 관성불안정을 일으켜 난류를 발생시킨다(Knox, 1997; Kim and Chun, 2010; Min et al.,2011). 셋째, 상층 제트류 주변에서 지균 조절 과정 중에 중력파를 발생, 전파시켜서 주변 환경을 섭동 시키거나 중력파 깨짐을 통해 난류 발생을 야기시킨다(Knox, 1997; Sharman et al., 2012). 넷째, 하층 바람이 산악지대를 가로지를 때 발생한 산악파가 연직 전파하여 상층에서 깨지면서 난류를 발생시킨다(Kim and Chun, 2010; Sharman et al., 2012; Strauss et al.,2015). 다섯째, 적운 대류의 주변이나 적운 대류가 유도한 중력파의 깨짐에 의해 난류가 발생될 수 있다(Kim and Chun, 2012a; Lane et al., 2012; Tri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Dutton, J., and H. A. Panofsky, 1970: Clear air turbulence: A mystery may be unfolding. Science, 167, 937-944. 

  2. Ellrod, G. P., and D. I. Knapp, 1992: An objective clear-air turbulence forecasting technique: Verification and operational use. Wea. Forecasting, 7, 150-165. 

  3. Ellrod, G. P., and J. A. Knox, 2010: Improvements to an operational clear-air turbulence diagnostic index by addition of a divergence trend term. Wea. Forecasting, 25, 789-798, doi:10.1175/2009WAF2222290.1. 

  4. Frehlich, R., and R. D. Sharman, 2004a: Estimates of turbulence from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 output with applications to turbulence diagnosis and data assimilation. Mon. Wea. Rev., 132, 2308-2324. 

  5. Frehlich, R., and R. D. Sharman, 2004b: Estimates of upper level turbulence based on second order structure functions derived from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 output. Preprints, 11th Conf. on Aviation, Range, and Aerospace Meteorology, Hyannis, MA, Amer. Meteor. Soc., 4.13. [Available online at https://ams.confex.com/ams/pdfpapers/81831.pdf.]. 

  6. Frehlich, R., R. Sharman, F. Vandenberghe, W. Yu, Y. Liu, J. Knievel, and G. Jumper, 2010: Estimates of $C_n^2$ from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 output and comparison with thermosonde data. J. Appl. Meteor. Climatol., 49, 1742-1755, doi:10.1175/2010JAMC2350.1. 

  7. Gill, P. G., and P. Buchanan, 2014: An ensemble based turbulence forecasting system. Meteor. Appl., 21, 12-19, doi:10.1002/met.1373. 

  8. Kaplan, M. L., and Coauthors, 2006: Characterizing the severe turbulence environments associated with commercial aviation accidents: A Real-Time Turbulence Model (RTTM) designed for the operational prediction of hazardous aviation turbulence environments. Meteor. Atmos. Phys., 94, 235-270. 

  9. Kim, J.-H., and H.-Y. Chun, 2010: A numerical study of clear-air turbulence (CAT) encounters over South Korea on 2 April 2007. J. Appl. Meteor. Climatol., 49, 2381-2403, doi:10.1175/2010JAMC2449.1. 

  10. Kim, J.-H., and H.-Y. Chun, 2011: Development of the Korean mid- and upper-level aviation Turbulence Guidance (KTG) system using the regional Unified Model. Atmosphere, 21, 497-5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J.-H., and H.-Y. Chun, 2012a: A numerical simulation of convectively induced turbulence above deep convection. J. Appl. Meteor. Climatol., 51, 1180-1200, doi:10.1175/JAMC-D-11-0140.1. 

  12. Kim, J.-H., and H.-Y. Chun, 2012b: Development of the Korean aviation Turbulence Guidance (KTG) system using the operational Unified Model (UM)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nd pilot reports (PIREPs). J. Kor. Soc. Aviat. Aeron., 20, 76-83, doi:10.12985/ksaa.2012.20.4.076. 

  13. Kim, J.-H., H.-Y. Chun, W. Jang, and R. D. Sharman, 2009: A study of forecast system for clear-air turbulence in Korea, Part II: Graphical Turbulence Guidance (GTG) system. Atmosphere, 19, 269-2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J.-H., H.-Y. Chun, R. D. Sharman, and T. L. Keller, 2011: Evaluations of upper-level turbulence diagnostics performance using the Graphical Turbulence Guidance (GTG) system and pilot reports (PIREPs) over East Asia. J. Appl. Meteor. Climatol., 50, 1936-1951, doi:10.1175/JAMC-D-10-05017.1. 

  15. Knox, J. A., 1997: Possible mechanisms of clear-air turbulence in strongly anticyclonic flows. Mon. Wea. Rev., 125, 1251-1259. 

  16. Knox, J. A., D. W. McCann, and P. D. Williams, 2008: Application of the Lighthill-Ford theory of spontaneous imbalance to clear-air turbulence forecasting. J. Atmos. Sci., 65, 3292-3304. 

  17. Koch, S. E., and Coauthors, 2005: Turbulence and gravity waves within an upper-level front. J. Atmos. Sci., 62, 3885-3908. 

  18. Lane, T. P., R. D. Sharman, S. B. Trier, R. G. Fovell, and J. K. Williams, 2012: Recent advances in the understanding of near-cloud turbulence. Bull. Amer. Meteorol. Soc., 93, 499-515, doi:10.1175/BAMS-D-11-00062.1. 

  19. Lee, D.-B., and H.-Y. Chun, 2014: Development of the seasonal Korean aviation Turbulence Guidance (KTG) system using the regional Unified Model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tmosphere, 24, 235-243, doi:10.14191/Atmos.2014.24.2.2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D.-B., and H.-Y. Chun, 2015: Development of the Korean Peninsula-Korean aviation Turbulence Guidance (KPKTG) system using the Loc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LDAPS)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tmosphere, 25, 367-374, doi:10.14191/Atmos.2015.25.2.3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Mason, I., 1982: A model for assessment of weather forecasts. Aust. Meteor. Mag., 30, 291-303. 

  22. McCann, D. W., 2001: Gravity waves, unbalanced flow, and aircraft clear air turbulence. Natl. Wea. Dig., 25, 3-14. 

  23. Min, J.-S., H.-Y. Chun, and J.-H. Kim, 2011: An investigation of synoptic condition for clear-air turbulence (CAT) events occurred over South Korea. Atmosphere, 21, 69-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Reap, R. M., 1996: Probability forecasts of clear-air-turbulence for the contiguous US. National Weather Service Office of Meteorology Tech. Procedures Bull. 430, 15 pp [Available online at http://www.nws.noaa.gov/mdl/pubs/Documents/TechProcBulls/TPB_430.pdf.]. 

  25. Sharman, R., and T. Lane, Eds., 2016: Aviation Turbulence: Processes, Detection, Prediction. Springer, 523 pp. 

  26. Sharman, R., and J. Pearson, 2017: Prediction of energy dissipation rates for aviation turbulence. Part I: Forecasting nonconvective turbulence. J. Appl. Meteor. Climatol., 56, 317-337, doi:10.1175/JAMC-D-16-0205.1. 

  27. Sharman, R., and S. B. Trier, 2018: Influences of gravity waves on Convectively Induced Turbulence (CIT): A review. Pure Appl. Geophys., doi:10.1007/s00024-018-1849-2. 

  28. Sharman, R., C. Tebaldi, G. Wienner, and J. K Wolff, 2006: An integrated approach to mid- and upper-level turbulence forecasting. Wea. Forecasting, 21, 268-287. 

  29. Sharman, R., S. B. Trier, T. P. Lane, and J. D. Doyle, 2012: Sources and dynamics of turbulence in the upper troposphere and lower stratosphere: A review. Geophys. Res. Lett., 39, L12803, doi:10.1029/2012GL051996. 

  30. Sharman, R., L. B. Cornman, G. Meymaris, and J. Pearson, 2014: Description and derived climatologies of automated in situ eddy-dissipation-rate reports of atmospheric turbulence. J. Appl. Meteor. Climatol., 53, 1416-1432, doi:10.1175/JAMC-D-13-0329.1. 

  31. Strauss, L., S. Serafin, S. Haimov, and V. Grubisic, 2015: Turbulence in breaking mountain waves and atmospheric rotors estimated from airborne in situ and Doppler radar measurements. Q. J. R. Meteorol. Soc., 141, 3207-3225, doi:10.1002/qj.2604. 

  32. Trier, S. B., R. D. Sharman, and T. P. Lane, 2012: Influences of moist convection on a cold-season outbreak of Clear-Air Turbulence (CAT). Mon. Wea. Rev., 140, 2477-2496, doi:10.1175/MWR-D-11-00353.1. 

  33. Tung, K. K., and W. W. Orlando, 2003: The $k^{-3}$ and $k^{-5/3}$ energy spectrum of atmospheric turbulence: Quasigeostrophic two-level model simulation. J. Atmos. Sci., 60, 824-8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