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역량 인식을 통한 대학생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교육요구도 탐색
Exploring the Educational Needs of Learning Supporting Program on the Students' Perception of Current Competencies and Important Competencie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3, 2018년, pp.175 - 181  

엄미리 (광운대학교 교수학습센터) ,  최원주 (광운대학교 교수학습센터) ,  송윤희 (안양대학교 교양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역량을 선별, 그 역량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인식 차이를 알아보고,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여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고하고자 함이다. 설문도구를 활용하여 온라인 방식(이메일 발송)과 오프라인 방식(서면 설문)을 병행하여 수합된 159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기술통계,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 Borich 공식을 활용한 교육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3개 영역, 10개 역량별 역량 중요도와 역량 수행도 인식 차이에 있어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하였고, 2) Borich 공식을 활용하여 10개 역량별 전체 교육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전공분야 지식'이 1순위, '창의성'이 2순위, '문제해결력'이 3순위, '글로벌 역량'이 4순위, '테크놀로지 역량'이 5순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기획 설계하는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학습자의 역량과 교육요구도에 따른 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실행 평가하는 측면에서 프로그램 효과성을 판단하는데 실제적 준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needs of learning supporting program on the students' perception of current competencies and important competencies.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the online type (e-mail survey) and the offline type (printed survey) with survey instrument 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상황에서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문헌고찰을 통해 선별하고, 그 역량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인식 차이를 조사,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이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교수학습센터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상황에서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학습자 역량을 3개 영역과 10개 역량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과 함께 교수학습센터의 대학생 학습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첫째, 학습자들이 인지하는 각 역량별 역량 중요 수준과 역량 수행 수준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 역량의 개념은 무엇인가? 역량이라는 개념은 기업을 포함한 조직 또는 개인의 생애주기별 또는 삶을 잘 영위하기 위해 필요한 확장된 개념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중요한 의미를 갖지만 최근에는 일반적인 역량의 개념과는 다른 교육상황에의 학습자 역량, 학습역량, 핵심역량 등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졸업 후의 진로와 연계하여 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역량들을 규정하고 역량을 개발, 향상하기 위한 다각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역량 있는 인재의 기준은 어떻게 변하였나? 지식기반사회가 도래하고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해당분야에서 다양한 능력을 가지고 뛰어난 수행력을 보이는 역량 있는 인재를 길러내는 것이 중요해지기 시작하였다. 읽기, 쓰기, 셈하기만 잘하면 되던, 그 역량이 중요했던 과거와는 달리 현재는 고차적 사고능력들을 겸비하는 것은 물론 타인 및 세계와 잘 소통할 수 있고, 책임감을 갖고 창의적으로 결과물을 산출해내는 등 다양한 역량을 가진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1].
역량을 개발, 향상시켜 줄 지원체계들 마련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대학교육상황에서 역량을 규정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으나, 규정된 역량을 통해 학습자들은 대학교에서 지식을 습득하는 데 머무는 것이 아니라, 노동시장 이행을 위한 역량을 스스로 진단하고 그에 따라 교육경험을 설계해 나갈 수 있기 때문에[2], 더더욱 역량을 규정하여 체계적으로 역량을 개발․향상시켜 줄 수 있는 지원체계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M. H. Shin. (2018).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On-Off line Convergence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Students' Learning Styl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2), 85-90. 

  2. Y. W. Jeon. (2014). Eff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 Individual Variables and College Life on the Changes of Core Competency. Unpublished ma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 S. J. Lee & K. H. Kim. (2017).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individual traits on learning activity particip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1), 249-256. 

  4. D. C. McClelland.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DOI : 10.1037/h0034092 

  5. R. L. Jacobs. (1989). Systems theory applied to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Gradous, D. B(Ed), Systems theory applied to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eory practice monograph. Alexandria, VA: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 

  6. L. M Spencer & P. S. M. Spencer. (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Wiley. 

  7. DeSeCo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Available at. ONLINE LEARNING CONSORTIUM. http://sloanconsortium.org/publications/jaln_main 

  8. A. N. Kim & B. S. Rhee. (2003). An Analytic Study of Identifying Personal and InstitutionalInfluences on the Perceived Development of Core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0(1), 367-392. 

  9. M. H. Shon. (2006). Competence, and Everydayness of Practical Knowledge as Its Practical Foundation. The Korean Society for Curriculum Studies, 24(4), 1-25. 

  10. M. S. Jin, Y. M. Sohn & H. J. Chu. (2011). A Study on Development Plan of K-CESA for College Education Assessment.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9(4), 461-486. 

  11. D. I. Kim, H. S. Oh, Y. S. Song, E. Y. Koh, S. M. Park & E. H. Jung. (2009). Exploring students' core competencies in higher education from professors' perspectives: A case stud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SNU). Asian journal of education, 10(2), 195-214. DOI : 10.15753/aje.2009.10.2.007 

  12. H. S. You. (2002). The Research on the National Standards of Life Skill and Quality Management for Learning System.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serch Paper (RR 2004-11). 

  13. Y. H. Kim, J. S. Chung, C. K. Lee & Y. J. Yi. (2010). An Analysis on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 of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20(4), 1-20. 

  14. G. D. Borich.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9-42. DOI : 10.1177/002248718003100310 

  15. Y. I. Kim, J. H. Jung, C. S. Lee & M. S. Choi. (2001). Educational Needs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for Technological Literacy.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4(1), 93-107. 

  16. M. J. Park. (2008). Development of Empowerment Scale Instrument and Needs Assessment of Home Economics Teachers' Empowerment.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20(3), 131-143. 

  17. M. R. Eom. (2009). Educational Needs Analysis of Instructional Designers in Korea for Competency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12(1), 1-23. 

  18. S. K. Oh, J. S. Jun & Y. H. Park. (2014). Complementing a Typical Educational Needs Analysis Using a Survey in Setting the Priority of the Needs.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53, 77-98. 

  19. K. H. Lee. (1995). Core Competence Management. Seoul: Myungjin Book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