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혼파초지에서 지역별 건물수량과 하고일수 간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Dry Matter Yield and Days of Summer Depression in different Regions with Mixed Pasture 원문보기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38 no.1, 2018년, pp.53 - 60  

오승민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김문주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공동연구소) ,  팽경룬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공동연구소) ,  이배훈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김지융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베페카두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김시철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김경대 (강원도농업기술원) ,  김병완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조무환 (농어촌청소년육성재단) ,  성경일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혼파초지 수량예측모형에서 기후특성이 뚜렷한 지역의 자료 제거 및 지역별 구분을 통해 건물수량과 하고일수 간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데이터세트는 총 582점으로 11개 지역으로 분류되며 혼파조합은 총 41가지였다. 변수에서 반응변수는 건물수량 이었으며 설명변수는 하고일수를 포함한 5가지의 기상변수를 이용하였다. 통계방법은 산점도, 기술통계량 및 상관분석을 거쳐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건물수량과 하고일수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산점도 분석 결과 데이터세트를 지역별로 구분하였을 때 9개 지역 중 7개에서 건물수량과 하고일수 간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지역을 구분할 필요가 있었으며 대표본 근사이론을 적용할 수 있었던 5개 지역(화성, 수원, 대전, 시흥 및 광주)을 선정하였다. 5개 지역의 상관분석 결과 3개 지역(화성, 수원 및 시흥)에서, 다중회귀분석결과 화성에서 건물수량에 대한 하고일수의 효과가 부(-)로 나타났다. 따라서 혼파초지의 건물수량에 대한 하고일수의 상관관계는 지역별로 구분하였을 때 풀사료 생산이론과 일치하여 수량예측모형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Yield prediction model for mixed pasture was developed with a shortag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dry matter yield (DMY) and days of summer depression (DSD) was not properly reflected in the model in the previous research.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liminate the data of the regions 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에서 본 연구는 혼파초지 수량예측식의 정밀도 향상을 목적으로 Oh et al.(2017)에서 혼파초지가 건물수량과 하고일수 간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난 풀사료 생산이론과 상반된 결과를 구명하고자 지역별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혼파초지의 건물수량 자료 중 기후특성이 뚜렷하다고 판단한 평창과 제주도의 자료를 제외하되 지역별로 구분하지 않은 건물수량과 하고일수 간 상관관계를 검토하였으며, 그 다음은 혼파초지 자료를 지역별로 구분하여 건물수량과 하고일수 간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 그러므로 2개 지역을 제외한 본 결과의 경우 다음 단계인 기초통계량,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과정을 검토하는 것이 의미가 없어 더 이상 진행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평창과 제주를 포함한 건물수량자료를 지역별로 구분하여 건물수량과 하고일수 간 상관관계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혼파초지 수량예측모형에서 기후특성이 뚜렷한 지역의 자료 제거 및 지역별 구분을 통해 건물수량과 하고일수 간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데이터세트는 총 582점으로 11개 지역으로 분류되며 혼파조합은 총 41가지였다.
  • 이상에서 본 연구는 혼파초지 수량예측식의 정밀도 향상을 목적으로 Oh et al.(2017)에서 혼파초지가 건물수량과 하고일수 간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난 풀사료 생산이론과 상반된 결과를 구명하고자 지역별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기후특성이 뚜렷한 2개 지역(평창 및 제주도)의 건물수량자료를 제거하면 혼파초지의 건물수량과 하고 일수 간에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날 것으로 추측(가정)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평창 및 제주도의 건물수량자료를 제외한 후 나머지 지역에 대해서는 지역별로 구분하지 않고 건물수량과 하고일수 간의 상관관계를 산점도로 제시하였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석력(모형적합도, R2) 및 풀사료 생산 이론 측면에서 가장 우수했던 수량예측식 모델은? (2017)은 혼파초지에 대해 기후, 시비, 파종 및 조성연차 요인을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6가지(Model I~VI) 의 수량예측식을 구축하였다. 이 중 해석력(모형적합도, R2) 및 풀사료 생산 이론 측면에서 가장 우수했던 수량예측식은 기후, 시비, 파종 및 조성연차 요인을 고려한 Model VI였다. Model VI는 조성연차의 특성이 뚜렷하여 Group 1(1~3년)과 Group 2(4~7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Model VI 모델의 고려 요인은? (2017)은 혼파초지에 대해 기후, 시비, 파종 및 조성연차 요인을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6가지(Model I~VI) 의 수량예측식을 구축하였다. 이 중 해석력(모형적합도, R2) 및 풀사료 생산 이론 측면에서 가장 우수했던 수량예측식은 기후, 시비, 파종 및 조성연차 요인을 고려한 Model VI였다. Model VI는 조성연차의 특성이 뚜렷하여 Group 1(1~3년)과 Group 2(4~7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하고일수는 평창과 제주도처럼 지역 특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이유는? 즉, 혼파초지에서 초종 및 혼파조합의 선발은 지역의 특성(기온, 강수량 및 토양)에 기반하므로 지역 특성에 따라 건물수량에 대한 하고일수의 효과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강원도 평창의 대관령지역은 일최고 및 일최저기온이 전국의 평균과 비교하여 각각 5.4 및 1.5℃가 낮은 것은(Ko et al., 2006) 높은 고도가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Lee et al., 2006). 이는 고도가 높은 대관령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하고일수가 적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Peng et al.(2016)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수량예측모형 연구에서 우리나라 내륙과 제주도 지역 간 건물수량 및 기후요인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며, Kim et al.(2006)도 제주도 지역의 연평균기온 및 연강수량이 우리나라 내륙 지역에 비해 높다고 보고하였다. 제주도는 지형적 특성인 섬에 의한 해양성 기후와 산악지형에 의한 특성에 영향을 받아 기온 및 강수량 등에서 내륙과는 다르게 나타나므로(Hyun and Lee, 1990) 하고일수가 많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하고일수는 평창과 제주도처럼 지역 특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Hyun, J.H. and Lee, D.K. 1990. Simulation of sea-land breeze over Jeju Island on a three-dimensional mesoscale model.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ty. 26(2): 121-136. 

  2. Kim, S.S., Jang, S.M., Back, H.J., Choi, H.Y. and Kwon, W.T. 2006. Climatological variability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Jeju.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2): 188-197. 

  3. Ko, J.W., Baek, H.J., Kwon, W.T. and Park, J.Y. 2006.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of temperature and regionalization in Korea. Journal of climate research 1(1): 3-14. 

  4. Ko, J.W., Baek, H.J. and Kwon, W.T. 2005. The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and regionalization during rainy season in Korea.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1(1): 101-114. 

  5. Kim, M.H., Kim, M.J., Lee, S.R. and Lee, S.H.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and major forage crop productivity in Daegwallyeong and Suwon sites.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45(1): 137-147. 

  6. Kim, D.A. 1969.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technologies of grassland. Munundang Press. Seoul. 

  7. La, S.Y. 2010. Livestock and barn management technologies during high temperature period to overcome heat wave. RDA.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Suwon. pp. 72-73. 

  8. Lee, H.R., Hwang, S.U., Kim, Y.W. and Park, M.S. 2006. Local climate characteristics of Pyeongchang.Daegwallyeong areas. Proceeding of the Autumn Meeting of KMS. pp. 186-187. 

  9. Oh, S.M. 2017. A Research on yield prediction of mixed pasture in Korea via model construction in st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7(1): 80-91. 

  10. Peng, J.L., Kim, M.J., Kim, B.W. and Sung, K.I. 2016. Models for estimating yield of Italian ryegrass in south areas of Korean peninsula and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6(3): 223-236. 

  11. Sung, K.I. 2010. Research report on development of mapping system for production of high quality forage, RDA. 

  12. Sung, K.I. 2015. Research report on improving the precision of soil and climate factors across the nation for establishing the forage production-digital map for Hanwoo in Korea. RDA. 

  13. SPSS. 2012. IBM SPSS statistics 23.0. IBM Corp., Somers, New York.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