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내공기질 측정 및 관리를 위한 브랜드 서비스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Brand Service Design for Measuring and Managing Indoor Air Qualit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6, 2018년, pp.325 - 333  

김승범 ((주)아이디엔컴) ,  김회광 (강남대학교 미래인재개발대학 유니버설디자인전공)

초록

우리나라 대기환경의 질적 하락으로 인한 영향과 주변환경에 의해 실내공기질은 매우 심각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일반인들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은 높아지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대기환경 뿐만이 아니라 실내공기의 질적 하락에 대한 인식과 이에 따른 대책을 강구하기 위한 방안은 설정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실내공기질에 대한 궁극적인 관리를 위해 측정과 관리를 위한 신규 브랜드의 기초설계 연구로 서비스디자인 기법을 적용한 일반 소비자의 실내공기질 관리 행태에 대한 관찰을 통해 브랜드 방향성을 도출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연구방법론으로는 서비스디자인의 설계로 일반가정, 일반 소형사무실, 공공시설의 이용행태에 대한 관찰과 현재 법률상의 이유로 시행되고 있는 실내공기질 측정에 대한 프로세스를 관찰하여 기록한 후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보편적인 문제점과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quality of indoor air quality is facing a very serious situation due to the impact of the quality of the atmosphere in the atmosphere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ile awareness of the danger of these populations is increasing, there is no way to detect the quality of the indoor air qual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 대기환경의 질적 하락은 외부에서의 생활뿐만이 아니라 실내에서의 생활에도 위협을 받게 되었고, 이러한 변화로 인해 실내공기질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소비자 인식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실내공기질에 대한 올바른 대처와 방향에 대한 방법론은 인식을 달리하고 있으며, 새로운 환경에 대한 막연한 낙관적 희망이 아니라 현실적인 방향에서의 관리를 위해 실내공기질에 대한 측정과 관리가 병행되어야 하며, 소비자의 현명한 선택을 위해 실내공기질 측정 및 관리에 대한 신뢰도 있는 브랜드가 필요하다는 인식으로 본 연구는 일반가정과 소형 사무실에 대한 공기질 관리 및 측정에 대한 행태를 관찰하였다.
  • 이러한 오염군은 난로, 가스레인지, 건축자재, 가구, 옷, 컴퓨터, 음식물 쓰레기, 애완동물, 카페트 등 다양한 주변 환경에 따라 실내오염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인간이 생활을 영위하고 안전한 생활환경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조건인 실내공기의 쾌적함을 유지하기 위해 실내공기질이 관리가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본다.
  • 본 연구는 대기환경과 실내공기질 관리에 대한 이론적 현황을 살펴보고, 서비스디자인 전문가의 의견을 취합하여 실내공기질 관리에 필요한 기초조사로서 일반사 용자가 생활을 영위하는 일반가정과 소형사무실 등에 대한 행태를 관찰하고, 현재 다중이용시설의 측정 프로세스에 대한 관찰을 통해 장단점을 분석하고, 분석된 자료를 기초로 측정 및 관리의 브랜드 기초 연구 자료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실내공기질 측정 및 관리의 브랜딩 설계를 위해 일반가정과 소형사무실의 행태 관찰과 측정 방법에 대한 관찰을 통해 실내공기질 측정 및 관리 서비스를 위한 신규 브랜드의 방향설정과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이다.
  • 본 연구의 문제는 실내공기질 측정 및 관리를 위한 가치를 소비자에게 소구하기 위한 방향에서 브랜드 네이밍과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제시하여 호소력 있는 가치로서 실내공기 질의 측정 및 관리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확인시키고, 새로운 가치임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에게 매우 필요한 영역이므로 새로운 실내공기질 확보를 위한 가치의 제고에서 출발된 연구 프로젝트라 할 수 있다.
  • 실내공기질 측정 및 개선을 위한 제품서비스 통합디자인 개발 프로젝트의 궁극적인 목적이 일반 소비자 또는 다중시설 관리자에게 상주 공간에 대해 쾌적하고 하고 이를 통해 생산성(生産性)과 거주성(居住性)을 높이는 것이 최선의 목적일 것이다. 이를 위한 선행 조건으로 실내공기질의 신뢰할 수 있는 측정과 실외공기질 향상에 따른 실내공기의 영향과 환경조건을 대응하고, 실내공기질 향상을 위한 방향성을 도출해야 한다.
  • 실내공기질 측정 및 관리를 위한 신규 브랜딩은 목적된 소비가치와 범용의 브랜딩을 통해 일반소비자에게 친숙한 이미지로 접근하기 위해 톤앤매너를 편안하고 일상적인 범주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브랜드 컨셉은 소비자의 요구분석과 브랜드 로열리티 충족을 위한 방향에서 접근되는 것이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것으로 판단된다.
  • 실내공기질에 대한 사용자의 객관적인 요구사항과 실내공기질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을 중심으로 표집하고, 이를 통한 합리적인 요인을 추출하기 위한 연구로 서비스 디자인 실행 방법을 통한 현재 일반 가정과 소형 사무실의 실내공기질 관리 방법에 대한 행태를 관찰하고 이를 리포팅 하여 브랜딩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로 연구방법을 설정하였다.
  • 일반가정의 행태를 관찰하고 일상적인 가정에서의 실내공기질 관리에 대한 문제를 도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쾌적한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가? 또한 쾌적한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해서는 최적의 실내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계절별 최적 온도와 습도는 봄, 가을(온도 19-23℃/최적습도 50%), 여름(온도 24-28℃/최적습도 60%), 겨울(온도 18-20℃/최 적습도 50%) 정도가 쾌적한 생활을 누릴 수 있는 정도이 다.
실내 오염 으로 인한 노출은 근무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산업과 경제의 발전으로 최근의 근로자들은 대부분 실내에서 근무하는 직업이 많아짐에 따라 업무 시간의 주된 장소를 실내에서 수행하게 된다. 실제로 실내 오염 으로 인한 노출은 근무자들에게 장기적으로는 빌딩증후 군(sick building syndrome), 복합화학물질증후군 (multi-chemical sensitivity) 등 여러 질환과 다양한 이상 증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단기적으로는 피로와 졸음 등을 유발시켜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기업의 생산 활동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실내오염의 원인물질로는 폼알데하이드(HCHO),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
실내공기질 측정 및 개선을 위한 제품서비스 통합 디자인 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선행 조건은 무엇인가? 실내공기질 측정 및 개선을 위한 제품서비스 통합디 자인 개발 프로젝트의 궁극적인 목적이 일반 소비자 또는 다중시설 관리자에게 상주 공간에 대해 쾌적하고 하고 이를 통해 생산성(生産性)과 거주성(居住性)을 높이는 것이 최선의 목적일 것이다. 이를 위한 선행 조건으로 실내공기질의 신뢰할 수 있는 측정과 실외공기질 향상에 따른 실내공기의 영향과 환경조건을 대응하고, 실내공기질 향상을 위한 방향성을 도출해야 한다. 실내공기질 관리의 중요성은 최근의 미세먼지, 황사 등의 영향이 깊이 반영된다고 볼 수 있으나, 이전에 국내에서는 ‘다중이용 시설 실내공기질 관리법’을 제정하여 그 필요성을 인식 하고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 P. Jones. (1999). Indoor air quality and health, Atmospheric Environment, 33, 4535-4564. 

  2. http://monographs.iarc.fr/ENG/Classification/index.php 

  3. Y. S. Kim. (1998). Problems of Indoor Air Pollution in Winter, Environmental preservation, 301, 7-10. 

  4. J. Y. Kim. (1992). A Study on the Control Plan of Indoor Air Pollution in Office Buildings. Journal of Engineering at Chosun University, 27, 18-24. 

  5. A. P. Jones. (1999). Indoor air quality and health, Atmospheric Environment, 33, 120-142. 

  6. Paul Beynon-Davies. (2016). Reeva Lederman, Making sense of visual management through affordance theory, Production Planning & Control, 28(2), 144-152. 

  7. Cronin J. Joseph, Brady Michael K & Hult G. Tomas M. (2013), Assessing the effects of quality, value, and customer satisfaction on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s in service environments, Journal of Retailing, 76(2), 193-218. 

  8. S. E. Lee. (2015). Evolution of Branding: Communicating Brand Identity through Brand Experience,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8(1), 167-176. 

  9. D. I Hoffman & T. P. Novak. (1996). Marketing in Hypermedia CMEs: Conceptual Foundations. Journal of Marketing, 60(3), 50-68. 

  10. K. S. Han. (2017). The Effect of Digital Signage and Smart Media Convergence on Memory and Attitude According to the Level of Engagement and Interactiv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6), 1-7. 

  11. S. H. Kim & H. S. Kim. (2017). Difference of design research component by type of service design projects -based on actual implemented service design projects in the industry-,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8(5), 71-82. 

  12. H. K. Kim & H. I. Kim. (2017). A Study on the Model of Safety Guideline based on Affordance Desig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1), 447-454. 

  13. J. W. Hong, K. R. Park & D. H. Kim. (2016). A Study of Environment Analysis Method for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based Scenario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0), 195-203. 

  14. J. Y. Sung. (2016). Developing convergent class model of augmented reality and a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5), 85-93. 

  15. J. Lee & S. H. Ryu. (2016). A study of Copyright Infringement Countermeasures for design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9), 447-452 

  16. J. H. Joo. (2017). Exploration of Structural Relations on Health Behavior Related to Particulate Matter: Focused on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Severity, and Health Behavioral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1), 413-4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