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군인체육대회 참가과정에서 여성군인의 경험과 정체성 교섭 : 비판적 페미니즘적 접근
The Experience and Identity Negotiation of Women Soldiers in the Participation Process of the CISM Military World Games : A Critical Feminism Approach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6, 2018년, pp.437 - 447  

김용규 (대구대학교 체육학과) ,  강영구 (대구대학교 체육학과) ,  장익영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세계군인체육대회에 참가한 여성군인의 경험과 상호교차적 환경에서의 정체성 교섭에 대해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눈덩이표집법에 의해 세계군인체육대회에 참가한 여성군인 3명을 선정했다. 자료수집은 심층 면담을 진행했다. 수집된 자료는 면담내용의 시간적 흐름에 따라 내러티브 분석을 통해 내용의 의미를 이해하려고 했다. 결과는 시간적 흐름에 따라 운동입문에서 군 입대 전, 군 입대, 군대 생활, 세계군인체육대회 참가계기와 과정, 세계군인체육대회가 끝난 후의 이야기로 구성되었다. 스포츠와 군 사회는 성을 이분법적 담론으로 내재화하고 있었으며, 이런 양성불평등적 인식에 대해 여군들은 자신의 능력개발을 통해 정체성을 확립하고 있었다. 하지만 여군이 처한 현실은 여전히 보수적이었으며, 제도적 사회문화적 인식이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and identity negotiation of women soldiers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CISM military world games. To do this, we selected three women soldiers who participated in the CISM military world game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he data analyz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대 아테네의 솔론(solon)헌법에서 스포츠의 목적은 무엇인가? 스포츠는 남성성의 이데올로기를 강화하기 위한 도구로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고대 아테네의 솔론(solon)헌법을 살펴보면 심신을 조화롭게 발달시켜 훌륭한 시민을 육성하는 것이 그 목적이었으나, 훌륭한 시민이란 남성을 뜻하였으며, 여성이나 노예는 그에 해당하지 않았다고 보고 있다[12]. 이와 같은 오랜 세월 동안 스포츠 문화는 여성들의 스포츠 참여 제약 및 스포츠에서의 소외현상들을 이념적(ideological)으로 강화해 왔으며, 이러한 스포츠에서 양성불평등은 현대사회에서 남성성에 대한 이데올로기를 강화하는데 공헌해 왔다[12].
여성 정책의 활성화가 군대 조직문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여성 정책의 활성화는 특수 영역으로 여겨 오던 남성 중심의 군대 조직문화에도 영향을 미쳐왔다[3]. 이러한 결과로 군대가 여성에게 보다 적극적으로 개방되면서 각 군의 사관학교에 여성 생도들의 입학이 증가하게 되었고, 여성군인의 활동영역 역시 행정과 간호 업무에서 전투부대, 선봉 중대장, 수송차량 운전, KF-16 조종사 등으로 폭 넓게 확대되었다[4, 5]. 또한 여성들의 군대에 대한 문호는 정부의 여성인력 활용정책과 맞물려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측된다[6].
양성평등이란 무엇인가? 특히 2000년대를 전후하여 부상한 사회적 개념에서 젠더(gender)의 주류화(mainstreamimg)전략은 양성평등(gender equality)이라는 개념을 정착시키는데 공헌해 왔다. 양성평등은 남성과 여성 간의 사회적 관계로서 권력의 개념을 포함하며, 사회 전 영역에서 젠더의 불평등 해소를 위한 대안[1]으로 제시되었다. 법제처[2]는 ‘여성발전기본법’을 ‘양성평등기본법’으로 명칭과 주요내용을 전면 개정하였는데, 이는 여성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여성의 사회활동을 촉진시키는데 기여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cott, Joan. (1989). De constructing Equality-Versus- Difference: Or, the Vses of Post structuralist Theory for Feminism. Feminist Studies, 14, 35-50. 

  2.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4). Gender Equality Basic Law. MOLEG(Online). http://www.moleg.go.kr 

  3. C. G. Hong. (2014).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Gender Equality Perception of Women Junior Officers in the Army. The Quarterly Journal of Defence Policy Studies, 30(3), 199-226. 

  4. Defense Media Agency. (2005). Strong Soldier Age: Go Ahead with Female Soldiers. DMA(Online). http://www.dema.mil.kr 

  5. Newsmagazine 2580. (2010). Tarantula Warrior. MBC(Online). http://www.imbc.com 

  6. E. Kim. (2012). Emergence of Women Soldiers and Gender Disturbance: A Case Study of Women Officers' Strategies to Become Soldiers.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7. E. B. Sin, S. G. Cho, C. G. Kim & J. M. Rue. (2004). Research o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the Military Personnel.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22, 1-29. 

  8. W. H. Kim. (2003). Research on the Institutional.Psychological.Normative Gender Equality Levels Experienced by the Military. Seoul : KWDI. 

  9. T. S. Kim. (2008). The Impacts of Woman Soldiers' Increasement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ROK Navy. Doctoral dissertation. Kyungnam University, Gyeongnam. 

  10. J. M. Son. (2012). The Effects of Amy Women Soldiers' Recognition about Women-friendly Policies on Job Satisfaction: Moderating Effect of Service Forms. Master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Seoul. 

  11.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2014). Defense White Paper 2014. Seoul : MND. 

  12. Y. S. Won & H. J. Chung. (1999). Feminism and Women's Sport.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13(2), 223-237. 

  13. Y. S. Kim. (2002).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SPSS WIN Statistic Analysis. (3rd ed.). Seoul: NNP. 

  14. J. J. Ro. (199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eisure Attitude through Indepth-Interview.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35(4), 4465-4479. 

  15. M. Q. Patton. (2002).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6. Savin-Baden, M & Niekerk, L. (2007). Narrative inquiry: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31(3), 459-472. 

  17. G. U. Yu, J. W. Jeong, Y. S. Kim & H. B. Kim. (2012).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eoul: PY. 

  18. D. Ezzy. (2002). Qualitative analysis: Practice and innovation. London: Routledge. 

  19. D Clandinin & F. Connelly. (2007). Narrative Inquiry. K. H. So & H. S. Kang(Eds.). Paju: KYB. (The original publication of the year 2004). 

  20. N. K. Denzin & Y. S. Lincoln. (2011).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1. E. Y. Noh & I. S. Yeo. (1998). The study of Women'S Recognition of Sport according to the Gender Role Attitude.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37(3), 21-31. 

  22. V. Krane, P. Y. Choi, L. Baird, S. M. Aimar, C. M & K. J. Kauer. (2004). Living the paradox: Female athletes negotiate femininity and mascularity. Sex Roles, 50(5/6), 315-329. 

  23. K. Young. (1997). Women, sport and physicality. Journal of International Review for the Sociology of Sport, 32, 297-305. 

  24. J. K. Park. (1999). Relationships between Sex Role Identities and Social Acceptance of Women in Sport. Journal of Korean Social Sport, 11, 95-108. 

  25. Dunivin, Karen O. (1994). Military Culture: Change and Continuity. Journal of Armed Forces & Society, 20, 531-547. 

  26. M. F. Katzenstein & J. Reppy. (1999). Beyond Zero Tolerance: Discrimination in Military Culture. Maryland: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7. Y. J. Lee. (2005). The Military Experience and the Formation of the Male Subject in Korea. Journal of Human and Social, 29(3), 81-108. 

  28. Elshtain, J. B. (1987). Women and War. NY: Basic Books. 

  29. T. H. Park. (2003). Women's Organizational Behavior in the Bias of Men in Public Culture. Journal of Korean Administrative Society & Autumn Conference, 10, 1-20. 

  30. S. O. Jo, T. H. Lee, U. Y. Jo & U. J. Jeong. (2010). Military Ethics. Seoul: JM. 

  31. J. B. Allen & S. Shaw. (2009). Women coaches' perceptions of their sport organizations' social environment: Supporting coaches' psychological needs? Sport Psychologist, 23(3), 346-366. 

  32. J. H. Yu. (2015). SPORT IT Life Sports: CISM Military World Games, We are game played many things, nicely.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133, 57-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