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충주댐 유역에 대해 앙상블 유량예측기법의 강우-유출 모델 매개변수, 입력자료에 따른 불확실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앙상블 유량예측기법으로는 ESP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기법과 BAYES-ESP (Bayesian-ESP)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강우-유출 모델로는 ABCD를 활용하였다. 모델 매개변수에 따른 불확실성 분석은 GLUE (Generalized Likelihood Uncertainty Estimation)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입력자료에 따른 불확실성 분석은 유량예측 앙상블에 활용되는 기상시나리오의 기간에 따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앙상블 유량예측 기법은 입력자료 보다 모델 매개변수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20년 이상의 관측 기상자료가 확보되었을 때 활용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또한 BAYES-ESP는 ESP에 비해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불확실성 분석을 통해 앙상블 유량예측기법의 특징을 규명하고 오차의 원인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ncertainties of ensemble-based streamflow prediction method for model parameters and input data. ESP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and BAYES-ESP (Bayesian-ESP) based on ABCD rainfall-runoff model were selected as streamflow prediction method. GLUE (Gen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입력자료 및 모델 매개변수에 따른 연구사례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델 매개변수, 입력 자료에 따른 불확실성 분석을 통해 앙상블 유량예측 기법의 특징을 보다 자세히 규명하고 오차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 앙상블 유량예측은 20년 이상의 관측 기상자료가 확보되었을 때 활용하는 것이 적절하였으며, BAYES-ESP는 ESP에 비해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불확실성 분석을 통해 앙상블 유량예측기법의 특징과 오차 원인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추후 앙상블 유량예측 기법뿐만 아니라 다양한 수문전망 기법에 대한 불확실성 분석이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정확도 개선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ABCD 모델 매개변수, 입력자료를 고려하여 앙상블 유량예측 기법의 불확실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ABCD 모델 매개변수에 따른 불확실성은 앞서 산정한 반응변수에 따른 댐 유입량 예측의 변동을 평가하였으며, 입력자료에 따른 불확실성은 앙상블 유량예측 기법의 앙상블 멤버 선정에 따른 변동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모델 매개변수, 입력자료에 따른 불확실성 분석을 통해 앙상블 유량예측 기법의 특징을 규명하고 오차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유역으로 국내 대표적 다목적 댐인 충주댐 유역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충주댐 유역의 유입량 산정을 위해 ABCD 강우-유출 모델을 구축하고 모의능력을 평가하였다. 모의능력 평가는 대상지역에 대한 강우-유출 모델의 적정 매개변수를 산정하고 그에 따른 유출결과의 정확도 평가를 통해 수행 하였다.

가설 설정

  • 따라서 앙상블 유량예측의 입력자료에 따른 불확실성은 기상관측 및 품질관리 방법, 면적평균값 산정을 위한 보간 방법, 앙상블 멤버 선정 방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관측 방법 및 보간 방법에 따른 유량예측 값의 불확실성이 크지 않을 것이 라고 가정하고 앙상블 멤버 선정방법에 따른 불확실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SP 기법이란 무엇인가? ESP 기법은 과거에 발생했던 기상현상이 미래에 재현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예측시점의 수문상태와 과거 기상자료를 강우-유출모델을 통해 결합하여 미래의 수문을 예측하는 장기 수문 예측기법이다. 즉, 예측시점의 수문상태와 미래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모든 기상시나리오를 활용하여 강우-유출 모델로부터 다수의 수문시나리오를 산정하고, 그 대푯값을 미래 수문 예측 값으로 활용한다.
ESP 기법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ESP 기법은 예측시점의 IHC 를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단순히 평년 평균 관측 값을 활용한 경험적 예측보다 우수하며, 산정방법이 간단하여 초기 투자비용이 큰 수치예보 모델 기반의 물리적 방법을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과거 기상자료 기반의 예측기법이기 때문에 수문 예측결과가 과거의 경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앙상블 기법의 특성상 변동이 큰 여름철 강수를 모의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장기 수문전망 기후모델에서 통계적 방법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이 방법은 물리적 방정식 기반의 예측방법이기 때문에 극한 기후상황에 대한 모의 능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구축에 많은 비용이 필요하고 장기간 전망에서는 불확실성이 높다는 한계가 있다. 통계적 방법은 과거 관측 기상 및 수문자료를 활용하여 미래 발생할 수문상황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과거 자료의 경향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으나 구축이 쉽고 활용이 간편하여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even, K., and Binley, A. (1992). "The future of distributed models: model calibration and uncertainty prediction." Hydrological Process, Vol. 6, No. 3, pp. 279-298. 

  2. DeChant, C. M., and Moradkhani, H. (2011). "Improving the characterization of initial condition for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using data assimilation."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 Vol. 15, pp. 3399-3410. 

  3. Duan, Q., Sorooshian, S., and Gupta, V. K. (1992). "Effective and efficient global optimization for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8, No. 4, pp. 1015-1031. 

  4. Eum, H. I., Kim, Y. O., and Ko, I. H. (2006). "Value of ensemble streamflow forecasts for reservoir operation during the draw-down perio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Vol. 39, No. 3, pp. 187-198. 

  5. Hay, L. E., McCabe, G. J., Clark, M. P., and Risley, J. C. (2009). "Reducing streamflow forecast uncertainty: application and qualitative assessment of the upper Klamath river basin, Oregon."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5, No. 3, pp. 580-596. 

  6. Kang, M. S., Yu, M. S., and Yi, J. E. (2014). "Prediction of Andong reservoir inflow using ensemble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4, No. 3, pp. 795-804. 

  7. Kim, H. S., Kim, H. S., Jeon, G. I., and Kang, S.W (2016). "Assessment of 2014-2015 Drought Event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Vol. 49, No. 7, pp. 61-75. 

  8. Kim, J. C., Kim, J. K., and Lee, S. J. (2011). "Improvement of mid/ long-term ESP scheme using probabilistic weather forecasting."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Vol. 44, No. 10, pp. 843-851. 

  9. Kim, J. H., and Bae, D. H. (2006). "Probabilistic medium- and long- term reservoir inflow forecasts (II) use of GDAPS for ensemble reservoir inflow forecast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Vol. 39, No. 3, pp. 275-288. 

  10. Kim, S. H., So, J. M., Kang, S. U., and Bae, D. H. (2017).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dam inflow prediction method based on Bayesian metho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Vol. 50, No. 7, pp. 489-502. 

  11. Kim, T. M. (2011). Accuracy and uncertainty assessment of real-time system for dam inflow forecasting, Master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pp. 44-46. 

  12. Kim, Y. O., Jeong, D. I., and Kim, H. S. (2001). "Improving water supply outlook in Korea with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Water International, Vol. 26, No. 4, pp. 563-568. 

  13. K-water (2017). Drought information analysis improvement and development direction. Report, K-water, Daejeon, Korea, pp. 163-166. 

  14. Lee, S. J., Jeong, C. S., Kim, J. C., and Hwang, M. H. (2011). "Long-term streamflow prediction using ESP and RDAPS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Vol. 44, No. 12, pp. 967-974. 

  15. Najafi, M. R., Moradkhani, H., and Piechota, Y. C. (2012).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climate signal weighting methods vs. climate forecast system reanalysis." Journal of Hydrology, Vol. 442-443, No. 6, pp.105-116. 

  16. Nash, J. E., and Sutcliffe, J. V.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Vol. 10, No. 3, pp. 282-290. 

  17. Pavia, R. C. D., Collischonn, W., Bonnet, M. P., and de Goncalves, L. G. G. (2012). "On the sources of hydrological prediction uncertainty in the Amazon."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 Vol. 16, pp. 3127-3137. 

  18. Son, K. H., and Bae, D. H. (2015). "Applicability assessment of hydrological drought outlook using ESP metho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Vol. 48, No. 7, pp. 581-593. 

  19. Thomas, H. A. (1981). Improved methods for national water assessment. Report, United States Water Resources Council, Washington, D.C. 

  20. Wood, A. W., and Lettenmaier, D. P. (2008). "An ensemble approach for attribution of hydrologic prediction uncertainty."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5, L14401. 

  21. Yang J., Reichert, P., Abbaspour, K. C., Xia, J., and Yang, H. (2008). "Comparing uncertainty analysis technique for a SWAT application to the Chaohe basin in China." Journal of Hydrology, Vol. 358, No. 1-2, pp. 1-2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