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계기업과 중소기업 R&D 지원 성과
Zombie Firms and Performance of R&D Support Programs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21 no.4, 2018년, pp.1474 - 1492  

감주식 (한양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정태현 (한양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지원의 직접효과(과제성공)와 간접효과(매출성장)를 재무적으로 어려운 한계기업과 정상기업간의 차이에 초점을 두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계기업이 기술개발 역량(과제성공)에도 문제가 있고 과제 후의 자립적 방식의 경제적 회생역량(매출성장)에도 문제가 있다면, 정부재원의 효율적, 효과적 운용과 정부R&D과제의 관리측면 효율성을 위해서도 이러한 기업을 지원에서 배제하는 것이 마땅할 것이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정부R&D가 자본시장의 실패를 보완하여 가능성 있는 한계기업의 회생에 도움을 주는 긍정적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중소벤처기업부의 2013년 및 2014년 총 7개 R&D지원사업에 참여한 7,575개 수혜기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 한계기업의 과제성공확률은 정상기업과 차이가 없었지만, 과제 후의 매출성장경향은 정상기업보다 작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한계기업에 한해서는 정부과제에 성공한 기업이 실패한 기업보다 매출성장 경향이 더 크다는 결과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direct effects of government support for SMEs (project success) and indirect effects (sales growth)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financially difficult firms (so-called 'zombie' firms) and 'normal' firms. If the zombie firm has a problem in technology deve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한계기업은 부채비율과 다르게 영업이익과 이자비용을 중심으로 구분하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과거에 지원된 한계기업 지원비중과 더불어 R&D지원 효과에 대해 실증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 대상 기간을 2013~2014년으로 설정한 사유는 지원사업의 동질성을 확보하여 관측되지 않은 이질성(unobserved heterogeneity)에 의한 편의를 줄이려는 목적과 더불어 지원 후 기업의 성장에 관한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다. 분석대상 R&D사업은 기술혁신 및 신제품 개발을 중점적으로 지원한 총 7개 주요 R&D사업3)으로 설정하였으며, 연구장비 및 사업기획 컨설팅 등을 지원하는 사업들은 제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정부과제의 실패가 희소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R&D과제에 임하는 적극성이 성공이냐, 실패냐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으리라 전제한다.
  • 마찬가지로 판단불가 기업(ddk)도 정상기업과 과제성공 경향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다. 판단불가 기업의 유무 또는 정상이나 한계기업에 더 많이 포함되는지에 따라 한계기업과 정상기업 간 과제성공 여부 경향성의 차이가 달라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판단불가 기업을 제외한 회귀분석과 판단불가 기업을 정상기업에 합쳐서 분석한 회귀분석도 별도로 수행해 보았다. 이 결과에서는 모두 <표 5>에 제시한 결과와 질적으로 유사하게 한계기업과 정상기업간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가설 설정

  • 가설 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한계기업이 재무적 역량뿐만 아니라 기술역량 역시 부족하다면 한계기업일수록 R&D사업에 성공할 확률은 낮을 것이다.
  • 가설 2와 3에서는 정상기업과 정부지원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중소기업이 한계기업과 정부지원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 못한 중소기업보다 매출성장 효과가 더 크다고 상정하였다. 이의 검정을 위해 종속변수를 지원시점부터 2017년까지의 매출성장 여부(salesGrowth)로 설정하였다.
  • 가설1에서는 한계기업 여부가 중소기업 지원 R&D과제의 성공여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정부지원 R&D과제에 성공한 기업의 매출성장률이 실패한 기업의 매출성장률보다 높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정부과제의 실패가 희소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R&D과제에 임하는 적극성이 성공이냐, 실패냐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으리라 전제한다. 이 전제하에서는, 첫 번째 요인인 경영능력과 관리능력 차원에서 상대적으로 미흡한 한계기업의 과제 실패확률이 정상기업보다 높게 될 것이다. 이는 다음의 가설로 정리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부지원의 양적 팽창의 결과는 무엇인가? 이와 같은 정부지원의 양적 팽창은 투자의 효과성과 효율성 등 지원의 질적 성과에 대한 관심을 더욱 고조시킨다. 그 중 한 가지 문제로 자생력 없이 정부지원만으로 생존을 영위하는 한계 상황에 처한 기업에 대한 지원문제가 대두된다.
지난 10년간 한국의 지속적 정책방향은 어떠했는가? , 2017), 투자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증진시키는 방안에 대해서는 여전히 다양한 논의가 분출되고 있다. 특히, 대기업 위주의 혁신과 성장 모델에서 탈피해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을 강화하고자 하는 것이 지난 10년간 한국의 지속적 정책방향이다. 이에 따라, 한 해 정부의 R&D지원을 받는 중소기업의 수는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2016년 기준 지원과제 수는 1만2천여 개이며,지원액도 2조 9천억 원(이윤빈・유현지, 2017)에 이르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 실시한,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지원의 효과를 회사의 재무적 차이에 초점을 두어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중소벤처기업부의 2013년 및 2014년 총 7개 R&D지원사업에 참여한 7,575개 수혜기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 한계기업의 과제성공확률은 정상기업과 차이가 없었지만, 과제 후의 매출성장경향은 정상기업보다 작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한계기업에 한해서는 정부과제에 성공한 기업이 실패한 기업보다 매출성장 경향이 더 크다는 결과도 도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호.김병근 (2012), "정부보조금의 민간연구개발투자에 대한 효과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5(3): 649-674. 

  2. 노용환 (2015), "중소기업 R&D 지원의 성장효과 분석", 산업혁신연구, 31(2): 103-132. 

  3. 노용환.송치승 (2016), "중소기업지원형 R&D 사업의 성과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27(6): 2403-2429. 

  4. 배영임 (2014),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의 효율성과 효과성 분석", 기술혁신연구, 22(2): 77-104. 

  5. 배영임 (2015), "중소기업 R&D활동이 고용창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부R&D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0(3): 75-83. 

  6. 오승환.김선우 (2017), 중소기업 R&D 지원의 현황과 성과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7. 윤윤규.고영우 (2011), "정부 R&D지원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효과 분석 : 동남권 지역산업진흥사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19(1): 29-53. 

  8. 이성호 (2017), 중소기업 연구개발 지원정책 수혜자 선정모형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9. 이성용.정고은.김윤종 (2018), 2016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기획평가원. 

  10. 이윤빈.유현지 (2017), 2016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중소기업 부분 집행 현황, 과학기술기획평가원. 

  11. 이후성.이정수.박재민 (2015), "정부 R&D지원 유형에 따른 중소기업 기술적 성과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8(1): 73-97. 

  12. 정준호.김재수.최기석.이병희 (2016), "정부 R&D투자가 기업 규모별 R&D지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지, 16(10): 150-162. 

  13. 중소기업청 (2017), 정부.공공기관 중소기업 기술혁신지원 2016년 실적 및 2017년 계획(안). 

  14. 최승욱.정진택.유연우 (2014), "정부 R&D 지원사업의 참여요인이 중소기업의 R&D 성과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5): 171-180. 

  15. 최요철.이지호.박성준 (2011), 잠재 부식중소기업의 현황 및 특징, 한국은행. 

  16. 최현경.박진 (2016), 산업별 한계기업 현황분석과 시사점, 산업연구원. 

  17. 최현경.박진.김영민.김주영 (2017), 한계기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산업연구원. 

  18. Aerts, K. and Schmidt, T. (2008), "Two for the Price of One?: Additionality Effects of R&D Subsidies: A Comparison between Flanders and Germany", Research Policy, 37(5): 806-822. 

  19. Caballero, R. J., Hoshi, T. and Kashyap, A. K. (2008), "Zombie Lending and Depressed Restructuring in Japan", American Economic Review, 98(5): 1943-1977. 

  20. Cin, B. C., Kim, Y. J. and Vonortas, N. S. (2017), "The Impact of Public R&D Subsidy on Small Firm Productivity: Evidence from Korean SMEs", Small Business Economics, 48: 345-360. 

  21. Lerner, J. (1999), "The Government as Venture Capitalist: the Long-Run Impact of the SBIR Program", The Journal of Business, 72(3): 285-318. 

  22. Meuleman, M. and De Maeseneire, W. (2008), "Do R&D Subsidies Affect SMEs' Access to External Financing?", Reserch Policy, 41: 580-591. 

  23. Mohnen, P., Palm, F. C., Van Der Loeff, S. S. and Tiwari, A. (2008), "Financial Constraints and Other Obstacles: Are They a Threat to Innovation Activity?", De Economist, 156: 201-2014. 

  24. OECD (2017),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