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분분류학적 방법에 의한 제주도산 감귤류 과피의 생약학적 연구
The Pharmacognosical Study on the Citrus Fruit Peels cultivated in Jeju Island by Chemotaxonomy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9 no.2, 2018년, pp.113 - 123  

김창민 (강원대학교 약학대학) ,  백완숙 (한국의약품시험연구원) ,  권용수 (강원대학교 약학대학) ,  고경수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  허인옥 (제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pplication of 112 samples of Citrus fruit peel, which is commonly cultivated in Korea as crude drug, has been limited due to the absence of criteria concerning chemical constituents and application of itself. In the context, this study is on the analysis of 11 flavonoid compounds. As a result, ...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감귤 속 식물의 Major 성분의 성분상과 형태학적인 분류와의 관계 – 이 연구는 사실상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거나 앞으로 재배될 수 있는 감귤의 거의 전부라고 할 수도 있는 검체에 대하여 표준품으로 flavonoid 화합물 11 종을 대상으로 HPLC를 행하고 그 성분함량을 측정한 것이다.
  • 이 연구에서는 감귤류 생약의 주성분으로도 잘 알려진 flavonoid 성분을 대상으로 생약으로 유통되고 있는 감귤류 과피들의 성분상과 제주도 재래감귤을 비롯하여 실제적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거나 앞으로 재배될 수 있는 거의 모든 감귤류 과피들의 성분상을 표준품과 대조로 HPLC를 이용하여 chemotaxonomy를 행함으로써 공정서의 기준을 보완하는 것은 물론 이들 재래귤을 비롯한 감귤류 과피가 생약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함과 동시에 이들 재래귤의 기원에 대한 문제점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개량된 귤(Citrus unshui)과 그 품종과의 상관관계를 밝혀 다양한 귤 품종들이 귤과 동일한 용도로 쓰일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이들 감귤류 과피가 생약으로서만이 아니라 건강기능식품의 재료로서도 긍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감귤류 생약의 주성분으로도 잘 알려진 flavonoid 성분을 대상으로 생약으로 유통되고 있는 감귤류 과피들의 성분상과 제주도 재래감귤을 비롯하여 실제적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거나 앞으로 재배될 수 있는 거의 모든 감귤류 과피들의 성분상을 표준품과 대조로 HPLC를 이용하여 chemotaxonomy를 행함으로써 공정서의 기준을 보완하는 것은 물론 이들 재래귤을 비롯한 감귤류 과피가 생약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함과 동시에 이들 재래귤의 기원에 대한 문제점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개량된 귤(Citrus unshui)과 그 품종과의 상관관계를 밝혀 다양한 귤 품종들이 귤과 동일한 용도로 쓰일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이들 감귤류 과피가 생약으로서만이 아니라 건강기능식품의 재료로서도 긍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4) 이에 Hodgson은 이 두 분류 체계의 장단점을 비판하면서 이 둘을 조화시켜 4 group, 36종을 기본종으로 하는 Hodgson 체계를 발표하였다.4) 그러나 그 반응은 별로 크지 않아 앞의 두 분류체계를 보좌하는데 그치고 있다. 앞의 두 체계 중 Swingle 체계는 영어권에서, Tanaka 체계는 한·중·일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귤이란 무엇인가? 감귤이라 함은 Citrus 속(屬), Fortunella 속 그리고 Poncirus 속의 과실을 가리키지만 그 중에서도 주로 Citrus 속 식물의 과실을 가리킨다. Citrus 속 식물의 분류에 대해서는 Engler가 자연종에 기초를 두어 11종으로 발표한 이래,1)Swingle은 Citrus 속을 2개의 아속으로 나누고 Eucitrus아속 (亞屬)에 10종, Papeda아속에 6종 등 모두 16종을 기본종으로 하는 대종분류체계를,2) Tanaka는 그것이 고유종인지, 하나나 둘 또는 그 이상의 종과 교잡한 교잡종인지, 그리고 변종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재배종에 대하여 종명을 부여하고 Citrus 속을 2아속, 8구(區)로 나누어 Citrus 속에 159종을 두는 소종분류체계를 발표하였다.
Citrus 속 식물의 분류가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 Citrus 속 식물의 분류가 어려운 점은 다배형성, 회청, 동질사배체의 자연발생 등 유전적 특성이 있어 종, 아종 및 품종의 분류에 어려움이 많고, 번식시키는 방법이 접목에 의한 것이 거의 전부라는 점이다.5) 이 때문에 각국에서 오래 전부터 재배되어 온 그 나라 고유의 재래귤이라 하더라도 그 기원을 규명할 수도, 한 바도 없이 개량된 원예종에 밀려 그대로 두었던 것이 현실이고, 그 결과 이들 재래귤의 생약으로서의 우수성을 도외시하고 있는 실정에 이르게 된 것이다.
Swingle 체계와 Tanaka 체계는 주로 어느 국가에서 사용되는가? 4) 그러나 그 반응은 별로 크지 않아 앞의 두 분류체계를 보좌하는데 그치고 있다. 앞의 두 체계 중 Swingle 체계는 영어권에서, Tanaka 체계는 한·중·일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Engler, A. (1931) Rutaceae. In Engler, A. and Pratl K. (ed), Die Naturlichen Pflanzenfamilien, 187-359. Engelmann, Leipzig. 

  2. Swingle, W. T. (1943) The botany of Citrus and its wild relatives. In Reuther, W., Webber, H. J. and Batchelor, L. D. (ed.), The Citrus Industry, 190-430. Univ. Calif. Washington D. C. 

  3. Tanaka, T. (1969) Misunderstanding with Regards Citrus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Bull. Univ. Osaka Pref., Ser. B. 21: 133-145. 

  4. Hodgson. R. W. (1961) Taxonomy and Nomenclature in Citrus. Proceedings of IOCV 2: 1-7. 

  5. Albach, R. F. and Redman, G. H. (1969) Composition and inheritance of flavanones in citrus fruit. Phytochemistry 8: 127-143. 

  6. 國家藥典委員會 (2015) 中華人民共和國藥典 2015年版, 中國醫藥科技出版社, 北京. 

  7. 식품의약품안전처 (2014) 대한민국약전 제11개정, 약업신문사, 서울. 

  8. 厚生勞?省 (2016) 第17改正 日本藥局方. (株)廣川書店, 東京. 

  9. Kefford, J. E. (1960)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Citrus fruits. Adv. Food Res. 9: 285-372. 

  10. Horowitz, R. M. (1961) Its biochemistry and physiology. In Sinclair W. B.(ed.), The Orange, 334-372. Univ. Calif. Washington D. C. 

  11. Nishiura, M., Kamiya, S. and Esaki, S. (1969) Flavonoids in Citrus and related genera. Part I. Agr. Biol. Chem. 33: 1109-1118. 

  12. Nishiura, M., Kamiya, S. and Esaki, S. (1971) Flavonoids in Citrus and related genera. Part III. Agr. Biol. Chem. 35: 1691-1706. 

  13. Kamiya, S. and Esaki, S. (1971) Recent advances in the chemistry of the Citrus flavonoids. J. Food Sci. Tech. 18: 38-49. 

  14. Pieringer, A. P., Edwards, G. J. and Wolford, R. W. (1964) Application of gas-liquid chromatography to the citrus leaf oils for the identification of kinds of citrus, Proc. Am. Soc. Hort. Sci. 84: 199-203. 

  15. Scora, R. W. and Torrisi, S. (1966) Relation of taxonomic, climatic and tissue maturity factors to the essential oil constituents in leaves and fruits in Aurantioidae. Proc. Am. Soc. Hort. Sci. 88: 262-271. 

  16. Macleod, W. D., Mcfadden, W. H. and Buiques, N. M. (1966), Lemon oil analysis. II. Gas-liquid chromatography on a temperature programmed long, open tubular column. J. Food. Sci. 31: 591-594. 

  17. Macleod, W. D. (1968) Lemon oil analysis. III. Rapid,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with combined flow and temperature programming. J. Food. Sci. 33: 436-437. 

  18. Ko, W. J, Huh, I. O. and Kim, C. M. (1982) 제주도산 감귤속 식물의 성분분류학적 연구. 한국식물학회지 25: 9-19. 

  19. Mizuno, M., Iinuma, M., Ohara, M, Tanaka, T. and Iwamase, M. (1991) Chemotaxonomy of the genus Citrus based on polymethoxyflavones. Chem. Pharm. Bull. 39: 945-949. 

  20. Nogata, Y., Sakamoto, K., Shiratsuchi, H., Ishii, T., Yano, M. and Ohta, H. (2006) Flavonoid composition of fruit tissues of Citrus Species. Biosci. Biotech. Biochem. 70: 178-192. 

  21. Kim, H. G., Kim, G. S., Park, S., Lee, J. H., Seo, O. N., Lee, S. J., Kim, J. H., Shim, J. H., El-Aty, A. M. Abd, Jin, J. S. and Shin, S. C. (2011) Flavonoid profiling in three citrus varieties native to the Republic of Korea using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contribution to overall antioxidant activity. Biomed. Chromatogr. 26: 464-470. 

  22. Yu, E. A., Kim, H. G., Song, Y., Kim, G., Kim, J. H., Kim, D. Y., Jin, J. S., Lee, S. J., Sung, N. J. and Shin, S. C. (2014) Determination of flavonoids in the peel of Jingyul (Citrus sunki Hort. ex Tanaka) using a HPLC-MS/MS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8: 227-234. 

  23. Kim, Y. D., Ko, W. J., Koh, K. S., Jeon, Y. J. and Kim, S. H. (2009). Composition of flavonoids and antioxidative activity from juice of Jeju native Citrus fruits during maturation. Korean J. Nutr. 42: 278-290. 

  24. Rhyu, M., Kim, E. Y., Bae, I. Y. and Park, Y. K. (2002) Contents of naringin, hesperidin and neohesperidin in premature Korean Citrus frui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32 - 135. 

  25. Tanaka, Yu. (1980) 日本柑橘圖譜, 47, 150, 156, 473. 養賢堂, 東京 

  26. Imai, A., Nesumi, H., Tanimonto, E., Moon, Y. E., Lee, D. H. K. and Kim, S. (2008) Collaborative exploration of Citrus genetic resources in south Korea. 植探報 24: 139-145. 

  27. Hyun, J. M., Park, K. J., Kim, S. S., Park, S. M., Lee, Y. J. and An, H. J. (2015)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from the pee of the native Jeju Citrus "Hongkyool" and "Pyunkyuool", J. Life Sci. 25: 1132-1138. 

  28. Wu, G. A., Terol, J., Ibanez, V., Lopez-Garcia, A., Perez-Roman, E., Borreda, C., Domingo, C., Tadeo, F. R., Carbonell-Caballero, J., Alonso, R., Curk, F., Du, D., Ollitrault, P., Roose, M. L., Dopazo, J., Gmitter Jr, F. G., Rokhsar, D. and Talon, M. (2018) Genomics of the origin and evolution of Citrus. Nature 554: 311-316. 

  29. Braidy, N., Behzad, S., Habtemariam, S., Ahmed, T., Daglia, M., Nabavi, S. M., Sobarzo-Sanchez, E. and Nabavi, S. F. (2017) Neuroprotective effects of Citrus fruit-derived flavonoids, nobiletin and tangeretin in Alzheimer's and Parkinson's disease. Drug Targets 16: 1-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