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한 인진호 함유 경피제의 피부투과 특성 연구
Permeation Characteristics of Transdermal Preparations Containing Artemisiae Capillaris Herba in Franz Diffusion Cell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9 no.2, 2018년, pp.165 - 171  

김은남 (계명대학교 약학대학) ,  박교현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김배환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정길생 (계명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temisiae Capillaris Herba is a dried aerial part of Asteraceae capillaris Thunb.(Compositae), which has been used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It has a variety of pharmacological activities and has been evaluated for potential as an active ingredient in cos...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질층은 친수성과 불투과성 막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다양한 수분함량의 차이는 화학물질의 용해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화학물질의 피부투과를 측정하는 것은매우 어려운 일이다.16) 본 연구에서는 OECD guideline 428에 제시된 Franz method에 따라 Franz diffusion cell을 사용 하여 인진호를 함유한 천연물 경피제 HKP201 내 chlorogenic acid와 dimethylesculetin의 시간에 따른 피부흡수투과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Chlorogenic acid와 dimethylesculetin 의 함량을 분석하기 위해 표준품과 메탄올을 혼합하여 1 mg/ ml의 농도로 조제 후 계열희석하여 분석하였으며(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진호는 무엇인가 인진호(Artemisiae Capillaris Herba)는 사철쑥의 다년생 초본으로 초롱꽃목 국화과(Compositae)의 여러해살이풀이며, 예로부터 한방과 민간에서 간 질환에 탁월한 효과로 간경변, 황달 등 주로 간장질환에 사용됐다. 인진호에 대한 성분연구로는 정유성분과 6,7-dimethylether 등의 coumarin류, flavonoid류와 chromone류, caffeic acid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수분이 81.
인진호의 효능은 무엇인가? 인진호(Artemisiae Capillaris Herba)는 사철쑥의 다년생 초본으로 초롱꽃목 국화과(Compositae)의 여러해살이풀이며, 예로부터 한방과 민간에서 간 질환에 탁월한 효과로 간경변, 황달 등 주로 간장질환에 사용됐다. 인진호에 대한 성분연구로는 정유성분과 6,7-dimethylether 등의 coumarin류, flavonoid류와 chromone류, caffeic acid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수분이 81.
피부흡수 연구가 약물개발과 일상생활용품 개발에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신체에서 피부는 외부환경에 직접적으로 접하고 있으며,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장벽 역할을 한다.5,6) 피부는 일상 생활에서 의약품, 화장품, 산업용품 등 여러 화학물질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건강에 유해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7) 이러한 문제로 피부흡수 연구는 약물개발과 일상생활용품 개발의 과정에서 필요한 연구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Lee, C. K and Seo, J. J.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aerial part of Artemisia capillaries extracts on the food-borne patho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227-1232. 

  2. Seo, Y. S., Lee, E and Cha, Y. Y. (2010) Anti-inflammatory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in lipopolysaccaride-exposed rats. J. Oriental Rehab. Med. 20: 27-35. 

  3. Kim, J. M., Shin, Y. K., Kim, B. O., Kim, J. K., Lee, S. H and Kim, Y. S. (2012)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allergic dermatitis. J. Life Sci. 22: 958-963. 

  4. Kim, J. S. and Kim, K. L. (2015)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rtemisiae Capillaris extract. Kor. J. Aesthet. Cosmetol. 6: 805-812. 

  5. Simon, G. A. and Maibach, H. I. (2000) The pig as an experimental animal model of percutaneous permeation in ma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observations-an overview. Skin Pharmacol. Appl. Skin Physiol. 13: 229-234. 

  6. Elias, P. M., Feingold, K. R. and Fluhr, J. W. (2003) Fitzpatrick'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6th ed. New York: McGraw-Hill. 

  7. Scientific Committee on Cosmetic Products and Non-Food Products (SCCNFP). Available:http://ec.europa.eu/health/ph_risk/committees/sccp/documents/out231_en. pdf[accessed 25 February 2016]. 

  8. Fritz, P. S., Josef, G. M. and Andreas, B. (2001) Comparison of human skin or epidermis models with human and animal skin in in vitro percutaneous absorption. Int. J. Pharm. 215: 51-56. 

  9. Ackermann, K., Lombardi Borgia, S., Korting, H. C., Mewes, K. R. and Schafe-Korting, M. (2010) The phenion full-thickness skin model for percutaneous absorption testing. Skin Pharmacol. Physiol. 23: 105-112. 

  10. Barry, B. W. (1983) In: Dermatological formulations. Drugs and the Pharmaceutical Sciences. Percutaneous Absorption. Swarbrick, J. Ed.; Marcel Dekker: New York. 18: 95-116. 

  11. Venter, J. P., Muller, D. G., Plessis, J. D. and Goosen, C. (2001) A comparative study of an in situ adapted diffusion cell and an in vitro Franz diffusion cell method for transdermal absorption of doxylamine. Eur. J. Pharm. Sci. 13: 169-177. 

  12. Robinsona, M. K., Cohenb, C., A. Fraissinettec, D. B. de., Ponecd, M., Whittlee, E. and Fenteme, J. H. (2002) Non-animal testing strategies for assessment of the skin corrosion and skin irritation potential of ingredients and finished products. Food Chem. Toxicol. 40: 573-592. 

  13. OECD. OECD guideline for the testing of chemicals, 2004; NO. 428: Skin absorption: in vitro method. 

  14. Craig, A. Paula., Fields, C., Liang, N., Kitts, D. and Erickson, A. (2016) Performance review of a fast HPLC-UV method for the quantification of chlorogenic acids in green coffee bean extracts. Talanta 154: 481-485. 

  15. Zhang, A., Sun, H., Wang, X., Jiao, G. Z., Yuan, Y. and Sun, W. J. (2011) Simultaneous in vivo RP-HPLC-DAD quantification of multiple-component and drug-drug interaction by pharmacokinetics, using 6,7-dimethylesculetin, geniposide and rhein as examples. Biomed. Chromatogr. 26: 844-50. 

  16. Jung, D. C., Yoon, C. H., Um, M. S., Hwang, H. S., Baek, J. H. and Choi, J. H. (2013) Characteristics of percutaneous absorption for three kinds of phthalate. J. Environ. Health Sci. 39: 360-368. 

  17. Naik, A., Kalia, Y. N. and Richard, H. G. (2000) Transdermal drug delivery: overcoming the skin's barrier function. PSTT Vol. 3, No. 9. 

  18. Anderson, B. D., Higuchi, W. I. and Raykar, P. V. (1988) Heterogeneity effects on permeability-partition coefficient relationships in human stratum corneum. Pharm. Res. 5: 566-73 

  19. Kruse, J., Golden, D., Wilkinson, S., Williams, F., Kezic, S. and Corish, J.(2007) Analysis, interpretation, and extrapolation of dermal permeation data using diffusion-based mathematical models. J. Pharm. Sci. 96: 682-703. 

  20. Barber, E. D., Hill, T. and Schum, D. B. (1995) The percutaneous absorption of hydroquinone (HQ) through rat and human skin in vitro. Toxicolo. Lett. 80: 167-172. 

  21. Marti, Mestres. G., Mestres, J. P., Bres, J., Martin, S., Ramosc, J. and Viana , L. (2007) The "in vitro" percutaneous penetration of three antioxidant compounds. Int. J. Pharm. 331: 139-1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