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주파수차 분석 기술을 이용한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 sp.)의 현존량 추정
Biomass Estimate of Euphausiids Euphausia sp. Using the Two-frequency Difference Method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1 no.3, 2018년, pp.305 - 312  

김병관 (국립수산과학원 수산공학과) ,  한인우 (전남대학교 수산과학과) ,  오우석 (전남대학교 수산과학과) ,  최영민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센터) ,  윤석현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이형빈 (서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이경훈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uphausiid abundance in an acoustic survey from March 2010 to July 2010 to suggest reasonable usage and management of the euphausiid Euphausia pacifica in the coastal area of Guryongpo Pohang. The acoustic data were analyzed by the 2-frequency difference m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난바다곤쟁이의 밀도 추정의 정도를 높이고 종을 식별하기 위해 38과 120 kHz의 2주파수로 구성되어 있는 과학어군탐지기를 이용하여 대상 어종에 대한 서로 다른 음향산란특성을 이용한 주파수 차이를 이용한 방법과 음향산란층내의 다양한 생물의 종 식별에서 음향산란이론모델을 이용한 분석 방법으로 동해안 포항 구룡포 해역 주변에 서식하는 난바다 곤쟁이의 분포 추정과 밀도를 파악하여 자원 이용성을 검토하고 제도화 및 자원의 합리적 이용 및 관리 방안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2006). 본 논문에서는 DWBA 음향산란 이론모델을 적용하여 난바다곤쟁이의 디지타이저 처리한 윤곽 데이터로부터 3차원 물체의 음향 산란특성을 변형 실린더 형태로 가정하여 이론 TS값을 추정하였다. DWBA 모델식은 다음 식 (1)에서 (3)으로 표현할 수 있다(Stanton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크릴류란 무엇인가? 크릴류(Euphausiids)는 동물플랑크톤의 한 종류로 고래, 펭귄, 바다표범 등과 같은 포유류, 조류, 어류의 주요 먹이생물로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종이며(Everson, 2000), 이와 같은 동물플랑크톤의 한 종류인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 pacifica)는북 태평양과 한국 연근해에 걸쳐 널리 서식하면서 해양 생태계에서 식물플랑크톤과 같은 일차 생산자와 상위 포식자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uchline and Fisher, 1969; Mauchline, 1980; Kim et al, 2010).
난바다곤쟁이류의 역할은? 크릴류(Euphausiids)는 동물플랑크톤의 한 종류로 고래, 펭귄, 바다표범 등과 같은 포유류, 조류, 어류의 주요 먹이생물로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종이며(Everson, 2000), 이와 같은 동물플랑크톤의 한 종류인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 pacifica)는북 태평양과 한국 연근해에 걸쳐 널리 서식하면서 해양 생태계에서 식물플랑크톤과 같은 일차 생산자와 상위 포식자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uchline and Fisher, 1969; Mauchline, 1980; Kim et al, 2010).
크릴류의 생물들의 시기별 분포 수심은? 8과 같이 나타내었다. 3월에는 낮시간대에 수심 150 m, 4월에는 60 m부근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5월에는 표층으로부터 150 m수심층을 기준으로 분포하여 주간 일출에 따른 전형적인 연직하향 이동 특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6월의 경우에는 120-200 m, 7월의 경우 주 분포 수심이 50-120 m의 연안 해역에 분포하여 다른 시기에 비해 높은 밀집도로 보였다. 난바다곤쟁이류는 동물플랑크톤과 마찬가지로 전형적인 주·야간 연직이동특성을 나타내므로, 동해안 대보항 인근 해역에서 주간에 난바다곤쟁이를 뜰채를 이용하여 포획할 정도로 일시적으로 연안해역 표층에 분포하는 현상은 용승과 같은 해·조류의 영향으로 사료되며, 향후 조사 시유속장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며, 난바다곤쟁이의 이동 경로와 주·야간에 따른 수심 분포 변동성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 차기 연구에서는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추가조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onti SG and Demer DA. 2006. Improved parameterization of the SDWBA for estimating krill target strength. ICES J Mar Sci 63, 928-935. http://doi.org/10.1016/j.icesjms.2006.02.007. 

  2. Cox MJ, Watkins JL, Reid K and Brierley AS. 2011.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in the structure of aggregations of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around South Georgia, 1997-1999. ICES J Mar Sci 68, 489-498. https://doi.org/10.1093/icesjms/fsq202. 

  3. Demer DA and Conti SG. 2005. New target-strength model indicates more krill in the Southern Ocean. ICES J Mar Sci 62, 25-32. https://doi.org/10.1016/j.icesjms.2004.07.027. 

  4. Everson I. 2000. 3.3 The Southern Ocean. In: Krill Biology, Ecology and Fisheries. Everson I, ed. Blackwell Science Oxford, London, UK, 63-79. 

  5. Fielding S, Watkins JL, Trathan PN, Enderlein P, Waluda CM, Stowasser G, Tarling GA and Murphy EJ. 2014. Interannual variability in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density at South Georgia, Southern Ocean: 1997-2013. ICES J Mar Sci 71, 2578-2588. https://doi.org/10.1093/icesjms/fsu104. 

  6. Gaten E, Tarling G, Dowse H, Kyriacou C and Rosato E. 2008. Is vertical migration in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influenced by an underlying circadian rhythm?. J Genet 87, 473. https://doi.org/10.1007/s12041-008-0070-y. 

  7. Greenlaw CF. 1977. Backscattering spectra of preserved zooplankton. J Acoust Soc Am, 62, 44-52. https://doi.org/10.1121/1.381503. 

  8. Hewitt RP and Demer DA. 1993. Dispersion and abundance of Antarctic krill in the vicinity of Elephant Island in the 1992 austral summer. Mar Ecol Prog Ser 99, 29-39. 

  9. Hewitt RP, Demer DA and Emery JH. 2003. An 8-year cycle in krill biomass density inferred from acoustic surveys conducted in the vicinity of the South Shetland Islands during the austral summers of 1991-1992 through 2001-2002. Aqua Living Resour 16, 205-213. https://doi.org/10.1016/S0990-7440(03)00019-6. 

  10. Jo SG, Kim CA and Suh HL. 2012. Diel and Tidal Distributions of the Sand-burrowing Mysids Archaeomysis kokuboi and Acanthomysis nakazatoi on a Sandy Shore Surf Zone of Yongil Bay, Eastern Korea, in Relation to Growth Stages. J Kor Soc Ocean 17, 112-119. https://doi.org/10.7850/jkso.2012.17.2.112. 

  11. Kang DH, Hwang DJ, Soh HY, Yoon YH Suh HL, Kim YJ, Shin HC and Iida K. 2003. Density Estimation of euphausiid (Euphausia pacifica) in the Sound Scattering Layer of the East China Sea. J Kor Fish Soc 36, 749-756. http://doi.org/10.5657/kfas.2003.36.6.749. 

  12. Kang MH, Furusawa M and Miyashita K. 2002. Effective and accurate use of difference in mean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 to identify fish and plankton. ICES J Mar Sci 59, 794-804. https://doi.org/10.1006/jmsc.2002.1229. 

  13. Kim HS, Ju SJ and Ko AR. 2010. Comparisons of feeding ecology of Euphausia pacifica from Korean waters using lipid composition. Ocean Polar Res 32, 165-175. http://doi.org/10.4217/OPR.2010.32.2.165. 

  14. La HS, Lee H, Kang D, Lee S and Shin HC. 2016.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 of ice krill (Euphausia crystallorophias) in the Amundsen Sea coastal polynya. Deep Sea Res Part 2 Top Stud Oceanogr 123, 86-91. https://doi.org/10.1016/j.dsr2.2015.05.018. 

  15. Lawson GL, Wiebe PH, Stanton TK and Ashjian CJ. 2008. Euphausiid distribution along the western Antarctic Peninsula. A. Development of robust multi-frequency acoustic techniques to identify euphausiid aggregations and quantify euphausiid size, abundance, and biomass. Deep Sea Res Part 2 Top Stud Oceanogr 55, 412-431. https://doi.org/10.1016/j.dsr2.2007.11.010. 

  16. Lee JU, Kwon JN, Kim TI and Yang WS. 1994. Some Ecological Aspects of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in the Antarctic Ocean. Bull Kor Fish Soc 27, 183-192. 

  17. Lee, KH, Mukai T, Kang DH and Iida K. 2004. Application of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combined with a scientific echo sounder for krill Euphausia pacifica density estimation. Fish sci 70, 1051-1060. https://doi.org/10.1111/j.1444-2906.2004.00905.x. 

  18. Lim WH, Jung DW, Kim DS and Lee CI. 2012. Distribution of Euphausia pacifica in East/Japan sea by Numerical Model. J Kor Soc Mar Environ Saf, 166-168. 

  19. Mauchline J. 1980. The biology of mysids and euphausiids. Adv Mar Biol 18, 1-677. 

  20. Mauchline J and Fisher LR. 1969. The Biology of Euphausiids. Adv Mar Biol 7,1-454 

  21. McGehee DE, O'Driscoll RL and Traykovski LM. 1998. Effects of orientation on acoustic scattering from Antarctic krill at 120 kHz. Deep Sea Res Part 2 Top Stud Oceanogr 45, 1273-1294. https://doi.org/10.1016/S0967-0645(98)00036-8. 

  22. Mikami H, Mukai T and Iida K. 2000. Measurements of density and sound speed contrasts for estimating krill target strength using theoretical scattering models. Nippon Suisan Gakkai Shi 66, 682-689. http://doi.org/10.1109/OCEANS.2004.1402947. 

  23. Miyashita K, Aoki I, Seno K, Taki K and Ogishima T. 1997. Acoustic identification of isada krill, Euphausia pacifica Hansen, off the Sanriku coast, north-eastern Japan. Fish Oceanogr 6, 266-271. https://doi.org/10.1046/j.1365-2419.1998.00042.x. 

  24. NIFS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2010. Resources untiliz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euphausiid, Euphausia pacifica in the East Sea, Korea. Report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Busan, Korea. 1-31. 

  25. Stanton TK, Chu D and Wiebe PH. 1998. Sound scattering by several zooplankton groups. II. Scattering models. J Acoust Soc Am 103, 236-253. http://dx.doi.org/10.1121/1.421110. 

  26. Suh HL. 1988. Review on the reproduction, feeding and longevity of the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Bull. Kor Fish Soc 21, 303-310. 

  27. Suh HL, Lim JH and Soh HY. 1998. Population structure of surface swarms of the euphausiid Euphausia pacifica caught by drum screens of Uljin nuclear power plant in the east coast of Korea. J Kor Soc Ocean 33, 35-40. 

  28. Yoon WD and Kim SW. 2000. Observations on the biology of Euphausia pacifica(Euphausiacea: Crustacea) in the Yellow Sea. Bull Nat Sci Yong-In Univ 5, 85-99. 

  29. Yoon WD, Cho SH, Lim DH, Choi YK and Lee Y. 2000. Spatial distribution of Euphausia pacifica (Euphausiacea: crustacea) in the Yellow Sea. J Plankton Res 22, 939-949. https://doi.org/10.1093/plankt/22.5.939. 

  30. Yoon WD, Yang JY, Lim D, Cho SH and Park GS. 2006. Species composi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euphausiids of the Yellow Sea and relationships with environmental factors. Ocean Sci J 41, 11-29. https://doi.org/10.1007/BF03022402. 

  31. Zhou M and Dorland RD. 2004. Aggregation and vertical migration behavior of Euphausia superba. Deep Sea Res Part 2 Top Stud Oceanogr 51, 2119-2137. https://doi.org/10.1016/j.dsr2.2004.07.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