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큰 개구부를 가진 단일구획 빌딩에서의 자연환기 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a Natural Ventilation Model in a Single Zone Building with Large Openings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7 no.6, 2018년, pp.359 - 369  

조석호 (부산가톨릭대학교 환경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model has been developed to predict natural ventilation in a single zone building with large openings. This study first presents pressure-based equations on natural ventilation, that include the combined effect of wind and thermal buoyancy. Moreover, the concept of neutral pressure level(NPL) is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개념들을 다구획 빌딩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단일구획 빌딩에 적용하여 이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결과를 얻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다구획 빌딩 연구로의 확장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큰 개구를 가진 단일구획에 대한 자연환기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때 압력방정식의 단순화를 위해 구획압력의 기준위치는 바닥높이로 설정하며, 큰 개구부를 통과하는 양 방향 유동을 고려하기 위해 스택효과에 의한 중성압력레벨(Neutral Pressure Level, NPL)의 개념을 도입한다.
  •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전산 프로그램은 단일구획 빌딩의 자연환기를 예측하는 모델로서 향후 다구획 모델로의 확장에 앞서, 본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해석적 이론에 사용했던 것(Fig.
  • 빌딩은 일반적으로 다구획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다구획 빌딩 연구로의 확장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큰 개구부를 가진 단일구획 빌딩에 대한 자연환기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그 모델을 몇몇 단순한 경우에 적용하여 보았다.
  • 이를 통해 스택효과만 있는 경우와 풍속효과가 있는 경우에 실내 • 외의 온도차에 의한 자연환기량을 예측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Choi(1997)가 정화공기전달율을 이용한 실내공기질 모델을 개발하여 환기시스템을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No and Kim(2005)은 CFD를 이용하여 고층건물의 중앙부에 위치한 실내 공간에 대해 단방향 개구부의 형태와 위치에 따른 자연환기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Cho(2008, 2014)가 실내의 온도, 습도, 공기유동, 오염농도 등을 예측하기 위한 통합 다구획 모델을 개발한 연구결과와 빌딩에서의 환기모델을 제시하고 있지만, 그는 큰 개구를 통한 공기유동을 한 방향 유동으로 가정하였으며, 공기가 유입 및 유출하는 개구의 중심높이가 같은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래서 수평으로 연결된 구획간의 공기 유동은 잘 예측하고 있지만, 수직으로 연결된 구획 간의 공기유동을 예측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내 환경의 공기질을 관리하는 방법의 종류는? 실내 환경의 공기질을 관리하는 방법에는 대치, 격리, 환기 등에 의한 방법이 있으나, 이들 방법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환기에 의한 방법이다. 작업 환경과 같이 오염이 심한 곳에서는 국소환기가 사용되지만, 발생량이 적은 일반적인 실내 환경에서는 전체환기가 더 효과적이다.
환경의 차이에 대한 환기법은? 실내 환경의 공기질을 관리하는 방법에는 대치, 격리, 환기 등에 의한 방법이 있으나, 이들 방법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환기에 의한 방법이다. 작업 환경과 같이 오염이 심한 곳에서는 국소환기가 사용되지만, 발생량이 적은 일반적인 실내 환경에서는 전체환기가 더 효과적이다. 전체환기 방식은 자연환기와 기계환기로 나누어지며, 오염물질의 관리를 위해 일정한 환기량을 확보해야 하는 측면에서는 기계환기 방식이 바람직하지만, 인체에 대한 영향이 미미할 정도로 오염의 정도가 낮은 경우에는 자연환기 방식이 더 유용할 수 있다.
빌딩 내의 공기유동량 측정에 추적가스를 이용한 실험적 기법이 활용되는 이유는? 따라서 빌딩에서의 자연환기 및 공기유동량을 규명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실험적인 조사 및 이론적인 모델링 기법이 주로 사용되어왔다. 현존하는 빌딩에서의 자연환기량을 직접 측정하거나 기하학적으로 상사인 축소 빌딩 챔버를 제작하여 실험실에서 공기 유동량을 측정하는 것은 낮은 기류속도로 인한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빌딩 내의 공기유동량 측정에는 통상적으로 추적가스를 이용한 실험적 기법이 주로 사용되었다(Ohir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ngalee, M. Z. I., Lin, S. Y., Miau, J. J., 2012, Wind driven natural ventilation through multiple windows of a building: a computational approach, Energy and Building, 45, 317-325. 

  2. Chen, Q., Xu, W., 1998, A Zero-equation turbulence model for indoor airflow simulation, Energy and Building, 28, 137-144. 

  3. Cho, S. H., 2008,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multizone model for indoor air environment prediction, JES, 17(9), 993-1003. 

  4. Cho, S. H., 2014, Development of an infiltration and ventilation model for predicting airflow rates within buildings, JESI, 23(2), 207-218. 

  5. Choi, S. W., Evaluation of ventilation system performance using indoor air quality model, 1997, Kor. J. Env. Hlth. Soc., 23(4), 57-66. 

  6. Chung, K. C., 199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zone model for overall indoor air environment prediction, HVAC&R Research, 2(4), 376-385. 

  7. Conte, S. D., De Boor, C., 1972, Elementary numerical analysis, an algorithmic approach, McGraw-Hill, 88. 

  8. Deru, M., Burns, P., 2003, Infiltration and natural ventilation model for whole-building energy simulation of residential buildings, NREL/CP-550-33698, 1-17. 

  9. Etheridge, D., Sandberg, M., 1996, Building ventilation: theory and measurement, Chichester: John Wiley and Sons. 5-40. 

  10. Feustel, H. E., Dieris, J., 1992, A Survey of airflow models for multizone structures, Energy and Building, 18, 79-100. 

  11. Li, Y., Delsante, A., 2001, Natural ventilation induced by combined wind and thermal forces, Building and Environment, 36, 59-71. 

  12. Li, Y., Delsante, A., Symons, J., 2000, Prediction of natural ventilation in buildings with large openings, Building and Environment, 35, 191-206. 

  13. Lin, J. T., Chuah, Y. K., 2011, A Study on the potential of natural ventilation and cooling for large spaces in subtropical climatic regions, Building and Environment, 46, 89-97. 

  14. No, S. T., Kim, K. S., 2005,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airflow through single-sided openings with variable position and geometry, JAIK_PD, 21(8), 227-234. 

  15. Ohira, N., Yagawa, N., Gotoh, N., 1993,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system for multizone infiltration, ASHRAE Transactions, 99, 692-698. 

  16. Sherman, M. H., Grimsrud, D. T., 1980, Infiltration-pressurization correlation : Simplified physical modeling, ASHRAE Transaction, 86, 778-806. 

  17. Swami, M. V., Chandra, S., 1988, Correlations for pressure distribution on buildings and calculation of natural-ventilation airflow, ASHRAE Transation, 94, 243-266. 

  18. Walker, C., Tan, G., Glicksman, L., 2011, Reduced-scale building model and numerical investigations to buoyancy-driven natural ventilation, Energy and Buildings, 43, 2404-2413. 

  19. Walton, G. N., 1984, A Computer algorithm for prediction infiltration and interoom airflows, ASHRAE Transactions, 90(1B), 601-610. 

  20. Walton, G. N., 1989, Airflow network models for element-based building airflow modeling, ASHRAE Transactions, 95(2), 611-620. 

  21. Zhai, Z., Mankibi, M. E., Zoubir, A., 2015, Review of natural ventilation models, Energy Procedia, 78, 2700-27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