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잡초의 향기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agrance of Weeds on the Behavior of Consumers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7 no.2, 2018년, pp.98 - 110  

김민주 (강원대학교 환경융합학부) ,  양병화 (강원대학교 심리학과) ,  김성문 (강원대학교 환경융합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ragrance has a great influence on consumers' cognition, emotional response, attitude, memory, and behavior since the human sense of fragrance is physically and neurologically closer to the hippocampus of the brain. The fragrance materials are exposed to humans ranging from skin interaction to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우리나라 잡초 기원의 향료를 가지고 뇌파 연구를 한 사례는 삽주 정유-EEG가 유일한데 이에 노출된 피험자들의 두뇌에서는 어떠한 일들이 벌어지는지 알 수 있기에 소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문헌에 기록된 향기식물로는 무엇이 있을까? 우리 선조들은 잡초를 생활, 미용, 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해 왔으며, 이에 대해서는 동의보감(東醫寶鑑),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농정회요(農政會要), 규각총서(閨閣叢書), 임원십육지(林園十育志),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에도 잘 기록되어 있다. 우리나라 잡초에는 독특한 향취를 나타내는 향기물질이 함유되어 있어서 조선시대부터 향장 혹은 향신료로 사용되어왔는데 고문헌에 기록되어 있는 향기식물로는 쑥(Artemisia princepsPamp), 냉이(Capsella bursa-pastoris), 까치수염 (Lysimachia foenumgraecum Hance), 방아풀(Agastach rugosa (Fisc.ret Mey.) Kuntze), 향모(Hierochloe odorata (L.) Beauv. var. pubenscens Krylov.), 개구리밥(Lemma paucicostataHegelm), 이끼 등을 들 수 있으며(Table 1) 향기식물들은 구강복용법, 향기흡입법, 피부적용법, 향지법, 향 도부법, 향 목욕법의 방법으로 사용되었다(Song, 2016).
잡초를 이용하는 산업 중 식품을 제외하고 가장 성공적인 사례는? 식품산업에서 잡초를 이용하는 것은 대부분 단순가공이어서 부가가치는 높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PersonalComm. 박세진 교수) 잡초를 이용하는 산업 중 식품을 제외하고 가장 성공적인 사례로는 쑥(황해쑥, 산쑥, 쑥)을 이용한 위염 또는 위궤양치료제 스티렌의 개발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식품 이외에 다른 산업분야에서의 잡초 이용은 미미한 형편이다.
향을 이용한 백화점의 감각마케팅의 예시는? (2015)의 연구는 따뜻한 향을 매장에서 사용할 때 차가운 향을 사용할 때보다 권력지향(power-oriented) 욕구를 촉발하고, 그에 따라 소비자들로 하여금 프리미엄 및 럭셔리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를 높이고 구매를 촉진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실제, 백화점은 대부분 1층에 화장품과 향수매장을 배치(혹은 롯데백화점의 경우, 장미향을 본점의 고유향으로 사용)함으로써 백화점만의 고급스러움과 즐거운 쇼핑에 대한 기억, 편안함과 행복감을 형성하는 전략을 한다. 유사하게, 비씨카드는 고객의 감성에 맞추어 향기가 나는 카드를 출시하여 자신만의 정체성을 표현하도록 하는 전략을 사용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ampisi, P. and Rocca, D.L. 2014. Brain waves for automatic biometric-based user recognition. IEEE T. INF. FOREN. SEC. 9(5):782-800. 

  2. Carter, R.S., Eldrige, S., Parker, S. and Page, M. 2009. The Human Brain Book. DK Publishing Co. Ltd., Paju, Korea. (In Korean) 

  3. Chebat, J.C. and Michon, R. 2003. Impact of ambient odors on mall shoppers' emotions, cognition, and spending. J. Business Research 56:529-539. 

  4. Cho, H.M. 2014. Effect of essential oil of Atractylodes ovata (Thunb.) DC. rhizome on electroencephalographic activity. M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 Chuncheon, Korea. 

  5. Ehrlichman, H. and Halpern, J.N. 1988. Affect and memory: Effects of pleasant and unpleasant odors on retrieval of happy and unhappy memories. J. Personality and Soc. Psychol. 55:769-779. 

  6. Good, R. 1974. The geography of the flowering plants. 4th Ed. Longman, London, UK. 

  7. Hirsh, A.R. 1995. Effects of ambient odors on slot-machine usage in a Las Vegas casino. Psychol. and Marketing 12:585-594. 

  8. Jasson-Boyd, C.V. 2010. Consumer Psychology. McGraw-Hill Education, NY, USA. 

  9. Kim, S. 2006. Search for Korean native plants with herbicidal composition. Kor. J. Weed Sci. 26(4):225-245. 

  10. Kim, S., Kim, H.Y., Hwang, K.H. and Chun, I.J. 2008. Herbicid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Glenchoma hederacea. Kor. J. Weed Sci. 28(2):152-160. 

  11. Krishna, A., Lwin, M.O. and Morrin, M. 2010. Product scent and memory. J. Consumer Research 37:57-67. 

  12. Krishna, A., Morrin, M. and Sayin, E. 2014. Smellizing cookies and salivating: A focus on olfactory imagery. J. Consumer Research 41:18-34. 

  13. Lwin, M., Morrin, M. and Krishna, A. 2010. Exploring the superadditive effects of scent and pictures on verbal recall: An extension of dual coding theory. J. Consumer Psychol. 20:317-236. 

  14. Madzharov, A.V., Block, L.G. and Morrin, M. 2015. The cool scent of power: Effects of ambient scent on cosumer preferences and choice behavior. J. Marketing 79:83-96. 

  15. Mattila, A.S. and Wirtz, J. 2001. Congruency of scent and music as a driver of in-store evaluations and behavior. J. Retailing 77:273-289. 

  16. Mitchell, D.J., Kahn, B.E. and Knasko, S.C. 1995. There's something in the air: Effects of congruent or incongruent ambient odor on consumer decision making. J. Consumer Research 22:229-239. 

  17. Morrin, M. and Ratneshwar, S. 2003. Does it make sense to use scents to enhance brand memory? J. Marketing Research 40:10-25. 

  18. Morrin, M., Krishna, A. and Lwin, M. 2011. Retroactive interference from scent cues and the effect on product recall. J. Consumer Psychol. 21:354-361. 

  19. Oh, C.J., Yu, H.C., Han, S.S. and Kim, S. 2015. Plants in Yeong Wol. Yeongwolgun, Yeongwol, KR. (In Korean) 

  20. Oh, S.M. 2003. A List of Weed in Korea. Seo Il Publishing, Suwon, KR. (In Korean) 

  21. Paivio, A. 2007. Mind and its evolution: A dual coding theoretical interpreta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NJ, USA. 

  22. Park, D.S., Lee, Y.J., Yoo, K.O. and Kim, S. 2007a. Phytochemicals containing plants in Gangwon-do. Hongchon Medical Herb Institute. Dae Yang Precom Co. Chuncheon, Korea. (In Korean) 

  23. Park, Y.H., Chio, H.J., Wang, H.Y., Kim, H.Y., Heo, S.J. et al. 2007b. Volatile components of Erigeron canadensis L. in Korea. Kor. J. Weed Sci. 27(3):195-201. (In Korean) 

  24.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3. Research status in perfumery industry for the development of scent plants. Suwon, Korea. (In Korean) 

  25. Rimkute, J., Moraes, C. and Ferreira, C. 2015. The effects of scent on consumer behavior. Int. J. of Consumer Studies. DOI: 10.1111/ijcs.12206. 

  26. Silva Teixeira, C.S., Cerqueira, N.M.F.S.A., Silva Teixeira, A.C. 2015. Unravelling the olfactory sense: From the gene to odor perception. Chem. Senses 41:105-121. 

  27. Song, Y.A. 2016. Literature study on Korean traditional aromatheraphy. Ph.D. thesis. Sungshin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 

  28. Sowndhararajan, K. and Kim, S. 2016. Influence of fragrances on human psychophysiological activity: With special reference to human electroencephalographic response. Sci. Pharm. 84:724-751. 

  29. Spangenberg, E.R., Crowley, A.E. and Henderson, P.W. 1996. Improving the store environment: Do olfactory cues affect evaluation and behaviors? J. Marketing 60:67-80. 

  30. Vinitzky, G. and Mazursky, D. 2011. The effects of cognitive thinking style and ambient scent on online consumer approach behavior, experience approach behavior, and search motivation. Psychol. Marketing, 28:496-519. 

  31. Wixted, J.T. 2004. The psychology and neuroscience of forgetting. Annual Review of Psychol. 55:235-269. 

  32. Yeon, B.R., Lee, S.E., Noh, H.S. and Kim, S. 2011. Fragrance and chemical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of Aster yomena Makino in Gangwon, Korea. J. Agric. Life Environ. Sci. 23(1):16-21. 

  33. Yoo, K.O., Han, J.S. and Kim, S. 2010. Wild vegetables in Yanggu. Yanggu-gun, Yanggu, KR. (In Korean) 

  34. Yu, J.M., Park, Y.H. and Kim, S. 2008. Floral volatile composition of daisy fleabane (Erigeron annuus (L.) Pers.) Kor. J. Weed Sci. 28(3):274-278. (In Korean) 

  35. Yun, M.S., Yeon, B.R., Cho, H.M., Lee, S.E., Jhoo, J.W., et al. 2012. Fragrance, chemical composition and toxicity of the essential oil in erect bur-marigold (Bidens tripartita L.). Kor. J. Weed Sci. 32(3):195-2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