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종류 토양개량재가 USGA 모래에 파종한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유묘 활착률 및 밀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ur Soil Amendments on Turfgrass Establishment and Density in Creeping Bentgrass Grown in Sand-based Root Zone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7 no.2, 2018년, pp.148 - 157  

김경남 (삼육대학교 과학기술대학 환경디자인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외국산 피트를 포함해서 국내외 토양개량재 4종류가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초기 활착 및 잔디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 잔디밭 조성 시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수행하였다. 전체 20개 처리구는 식재층 모래에 유기질 토양개량재인 SABP (Berger peat), SAEP (Eco-peat), SAGS (G1-Soil) 및 SAPP (Premier peat)를 10-50% (v/v) 사이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초기 활착 및 밀도 변화는 토양개량재 종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잔디밀도는 경시적인 변화가 나타나서 파종 2주 후 생육 초기 최저 36.7% (SABP 30)에서 최고 89.7% (SAGS 20)까지 처리구간 차이가 53% 정도 나타났다. 하지만 파종 6주 전후로 성숙기 밀도 수준에 도달해서 SABP 및 SAEP 일부 혼합구를 제외한 대부분 처리구에서 잔디밀도는 90% 전후로 비슷하였다. 실험 종료 시 최종 활착율은 최저 60.7% (SAEP 10)에서 최고 96.7% (SAPP 50)까지 처리구간 차이가 36.0%나 크게 나타났다. 잔디 활착율 및 밀도에 대한 최적 혼합율은 개량재 종류에 따라서 일정하지 않았다. SABP와 SAGS 개량재의 최적 혼합비율은 각각 10% 및 20%로 나타났지만, SAEP와 SAPP 개량재는 50%가 최적의 비율로 나타났다. 따라서 잔디밭 조성 전에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개별 토양개량재의 적정 혼합비율을 결정해서 실무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또한 향후 주요 잔디 초종에서 외국산 및 국내산 토양개량재가 잔디생육에 미치는 종합적인 포장 적응성 실험을 통해 실무 응용에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earch was initiated to evaluate four domestic and overseas organic soil amendments (SAs) on turfgrass groundcover and density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practical sports turf establish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grostis palustris Huds. (CB) grown in sand-based root zone. A total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외국산 피트를 포함해서 국내외 토양개량재가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초기 활착 및 잔디밀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함으로 이들 소재를 이용해서 잔디밭 조성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작하였다. 즉 실무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토양개량재의 성능 비교와 함께 잔디밭 후)조성시">조성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작하였다. 즉 실무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토양개량재의 성능 비교와 함께 잔디밭 시공 시토양개량재 종류별 최적의 혼합 비율을 파악해서 장기적으로 현장에 응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개량재은 구분은 어떻게 되는가? 토양개량재는 원재에 따라 펄라이트, 버미큐라이트, 제오라이트 등 무기질 개량재와 피트 등 유기질 개량재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기질 계통의 토양개량재는 주로 토양의 물리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며, 반면 유기질 토양개량재는 주로 토양 화학성을 개선시키는 특성이 있다(Kim et al.
국내 골프장에서 퍼팅존에서 토양개량재를 혼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02).국내에서 골프장을 조성할 때 퍼팅 그린의 식재층에는 토양개량재를 혼합하여 조성하는데 이는 투수속도, 보수성및 보비력을 적절히 조절함으로 초기 활착 및 잔디밭 품질을 향상시켜 주기 때문이다(Kerek, 2003; Koh et al., 2006;Li et al.
국내 토양개량재를 활용 검토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국내에서 스포츠용 잔디밭에 주로 사용하고 있는 유기질 토양개량재는 피트이다. 피트는 외국에서 수입하기 때문에 시공 시 비용부담이 크며, 수입으로 인해 현장에서 공정 스케줄에 맞추어 적기 확보가 쉽지 않기 때문에 국내산 유기질 토양개량재의 활용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국내 토양개량재는 그 효과에 대한 검정 데이터가 충분치 않아 고품질 잔디밭 시공 시 많이 이용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ndaranayake, W., Qian, Y.L., Parton, W.J., Ojima, D.S. and Follett, R.F. 2003. Estimation of soil organic carbon changes in turfgrass systems using the CENTURY model. Agron. J. 95(3):558-563. 

  2. Beard, J.B. 1982. Turf management for golf courses. Burgess Publishing Company Minneapolis, MN, USA. 

  3. Bethke, C.L. 1988. A guide to the selection of peat for use in turf. Golf Course Manage. 56(3):100-112. 

  4. Choi, B.J., Shim, J.S. and Park, H. 1994. Effect of organic material, active carbon and magnesium on the growth of Zoysia koreana. Kor. J. Turfgrass Sci. 8(3):193-199. (In Korean) 

  5. Ham, S.G., Kim, S.T., Kim, H.J. and Lee, S.K. 1997. Effect of IBDU complex and organic fertilizers for creeping bentgrass in golf course. Kor. J. Turfgrass Sci. 11(3):167-172. (In Korean) 

  6. Ham, S.G., Lee, J.J. and Kim, I.S. 1993. Effect of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on the growth of Korean lawngrass (Zoysia matrella L. Merr.). Kor. J. Turfgrass Sci. 7(2?3):61-66. (In Korean) 

  7. Kerek, M. 2003. Labile soil organic matter as a potential nitrogen source in golf greens. Soil Biology & Biochemistry 35(12):1643-1649. 

  8. Kim, D.C., Shim, J.S. and Chung, W.I. 1992. The effect of peat and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growth of Manilagrass (Zoysia matrella Merr.). Kor. J. Turfgrass Sci. 6(2):83-88. (In Korean) 

  9. Kim, G.H., Kim, K.Y., Kim, J.K., Sa, D.M., Seo, J.S., et al. 2009. Soil science. Hyangmoonsa, Seoul, Korea. (In Korean) 

  10. Kim, K.N. 2009a. Effect of soil organic amendment mixtures with water-absorbing polymer on growth characteristics in perennial ryegrass. J. Nat. Sci. Sahmyook Univ. 44:161-171. (In Korean) 

  11. Kim, K.N. 2009b. Effect of soil organic amendment and water absorbing polymer on growth characteristics in Poa pratensis L. Kor. Turfgrass Sci. 23(2):317-330. (In Korean) 

  12. Kim, K.N. 2011. Effect of highly water-absorbing polymer on turfgrass quality of creeping bentgrass, Kentucky bluegrass, and zoysiagrass. Asian J. Turfgrass Sci. 25(1):59-68. (In Korean) 

  13. Kim, K.N. 2012. Effect of polymer, calcium, perlite and chitosan in soil organic amendment on growth in perennial ryegrass. Asian J. Turfgrass Sci. 26(1):24-34. (In Korean) 

  14. Kim, K.N. 2013. STM series III: Turfgrass establishment. 2nd ed., Sahmyook Univ. Press, Seoul, Korea. (In Korean) 

  15. Kim, K.N. 2014a. Effect of polymer, calcium, perlite and chitosan in organic amendment on growth in Kentucky bluegrass. Weed Turf. Sci. 3(1):19-28 (in Korean) 

  16. Kim, K.N. 2014b. Effect of organic soil amendments on establishment vigor, seedling emergence, and top growth in Kentucky bluegrass. Kor. J. Hort. Sci. Technol. 32(2):133-141. (In Korean) 

  17. Kim, K.N. and Nam, S.Y. 2003. Comparison of early germinating vigor, germination speed and germination rate of varieties in Poa pratensis L., Lolium perenne L. and Festuca arundinacea Schreb. grown under different growing conditions. Kor. J. Turfgrass Sci. 17(1):1-12. (In Korean) 

  18. Kim, K.N. and Park, S.H. 2011. Effect of high water-swelling polymer rate on seedling survival of major turfgrasses grown on soil organic amendment mixtures. J. Kor. Env. Res. Tech. 14(2):21-32. (In Korean) 

  19. Kim, K.N., Bae, Y.H., Cho, C.U. and Park, S.H. 2010.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daily seed germinating pattern in new varieties of the third generation of creeping bentgrass grown under ISTA conditions. J. Kor. Env. Res. Reveg. Tech. 13(4):30-41. (In Korean) 

  20. Kim, K.N., Goss, R., Park, S.H. and Shim, S.R. 2013. A greenhouse study comparing local soil amendments with overseas peats as an organic source for rootzone mixes in Korea. Int. Turfgrass Soc. Res. J. 12:819-823. 

  21. Kim, K.N, Koh, S.G., Kim, Y.S., Shim, S.R. and Tae, H.S. 1998. A Study on the rootzone mix in the multi-layered soil system. 1998 Annual Fall Meeting Abstr. p.34-35. J. Kor. Inst. Landscape Architecture, Youngnam University, Gyoungnam, Korea. (In Korean) 

  22. Kim, K.N., Nam, S.Y., Koh, S.K. and Kim, Y.S. 1999. Effect of root zone mixes on the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in putting green. 1999 Annual Meeting Abstract pp.130, ASA-CSSA-SSSA, Salt Lake City, UT, USA. 

  23. Koh, S.K., Tae, H.S. and Ryu, C.H. 2006. Effect of animal organic soil amendment on growth of Korean lawngrass and Kentucky bluegrass. Kor. Turfgrass Sci. 20(1):33-40. (In Korean) 

  24. Lee, S.J. 2003. The effect of KOB-Soil as a soil amendment on turfgrass growth. Kor. J. Turfgrass Sci. 17(1):13-17. (In Korean) 

  25. Li, D., Joo, Y.K., Christian, N.E. and Miner, D.D. 2000. Inorganic soil amendment effects on sand-based sports turf media. Crop Sci. 40(4):1121-1125. 

  26. Lucas, R.E., Rieke, P.E. and Famham, R.S. 1965. Peats for soil improvement and soil mixes. Michigan State Univ. Ext. Bull. 516. 

  27. Madison, J.H. 1966. Optimum rates of seeding turfgrasses. Agron. J. 58:442-443. 

  28. Puhalla, J., Krans, J. and Goatley, M. 2002. Sports fields: A manual for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nn Arbor Press, MI, USA. 

  29. Puustjarvi, V. and Robertson, R.A. 1975.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pp. 23-24 In: D.W. Robinson and J.G.D. Lamb (Eds.), Peat in horticulture. Kinsealy Research Centre, Agricultural Institute, Dublin, Republic of Ireland. 

  30. SAS. 2001. SAS/STAT User's guide, Version 8.00, SAS Inst., Inc., Cary, NC, USA. 

  31. Tae, H.S., Lee, H.S, An, K.M. and Kim, J.B. 2006.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of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Huds.) cultivars in summer. Kor. J. Turfgrass Sci. 20(2):147-156. (In Korean) 

  32. Waddington, D.V. 1992. Soils, soil mixtures, and soil amendments. Agron. Monogr. 32:331-383. In D.V. Waddington, R.N. Carrow and R.C. Shearman (Eds.), Turfgrass. ASA-CSSA-SSSA, Madison, WI,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