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서해 대륙붕 군산분지 중앙소분지의 층서
Stratigraphy of the Central Sub-basin of the Gunsan Basin, Offshore Western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1 no.3, 2018년, pp.233 - 248  

김경민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유인창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통합층서적 접근을 통하여 서해 대륙붕 군산분지 중앙소분지의 퇴적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음향 기반암 상부에서부터 시퀀스 I (Cretaceous or older(?)), 시퀀스 II (Late Cretaceous), 시퀀스 III (late Late Cretaceous or younger(?)), 시퀀스 IV (Early Miocene or older(?)), 시퀀스 V (Middle Miocene) 등 5개의 시퀀스로 분대된다. 후기 쥐라기 말부터 탄루 단층대를 따라 주향이동 단층들이 발달하면서 소규모 열개 분지들이 형성되었고 이후 후기 백악기까지 지속된 분지단층들의 좌수향 이동에 의해 대규모의 인장력을 받게 되어 소규모 열개 분지들은 대규모의 인리형 분지로 확장되었다. 하지만 이후 팔레오세 말부터 시작되는 히말라얀 조산운동의 영향으로 변형이 되기 시작하고, 후기 에오세-전기 마이오세에 동중국에는 남북 주향습곡을 수반하는 강한 지구조운동이 나타나 구조 역전 현상이 일어났다. 지구조운동이 완화되면서 심한 습곡으로 인해 생긴 요철부를 부분적으로 채우며 퇴적층이 형성되고, 이후 광역적인 침강과 함께 플라이오세제4기에 걸친 해침의 결과로 수평적인 양상의 퇴적층이 만들어졌으며, 현재와 같은 안정된 대륙 연변부 침강분지로 전이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rata of the Central sub-basin in the Gunsan Basin, offshore, western Korea were analyzed by using integrated stratigraphy approach. As a result, five distinct unconformity-bounded units are recognized in the basin: Sequence I (Cretaceous or older(?)), Sequence II (Late Cretaceous), Sequence III (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해 대륙붕 내 군산분지는 무엇인가? 후기 백악기부터 제 3기 사이에 형성된 서해 대륙붕 내 군산분지는 육성 쇄설암과 화산암으로 충전된 육성 퇴적 분지이다. 서해 대륙붕의 지질구조와 분지발달사 규명을 위하여 총 5 지점에 대한 시추를 통해 물리 탐사 및 탄성파 탐사가 수행되었다.
중앙소분지에 대한 층서적 연구시 문제점과 해결책은? 그러나 군산분지를 구성하는 5개의 소분지 중 남서 소분지를 제외한 나머지 분지들에 대한 층서적 연구는 비교적 미흡하다. 특히 중앙소분지는 생층서 연구 결과에 따라 분지 형성시기에 대한 이견이 존재하므로 여러 층서 연구를 종합한 통합적인 층서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소분지 시추공 시료들에 대한 암상분석 및 암층서 분대를 실시하고, 감마선 검층 및 2D 탄성파 탐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지역 내에 소규모 열개 분지가 생긴 원인 중에 신장력 외에 또 무엇이 있는가? , 2000). 신장력 뿐만 아니라 탄루 단층을 따라 생기는 이차 주향 이동성 단층에 의해 남 북 방향으로 신장된 소규모 열개 분지들이 서해 분지 내에 지역적으로 생기게 되었다. 이 분지들은 선캄브리 아 기반암 위에 형성된 것으로, 쥐라기 초기 및 중기 동 안 대륙성 퇴적물들이 유입되어 퇴적되었지만 대부분 융기 과정에 삭박된 것으로 판단된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이의형, 허민 (2004) 개형충. 한국고생물학회창립20주년기념 "한국고생물", p.165-187. 

  2. 한국석유공사 (2004) 국내대륙붕 제2광구 석유탐사 유망성 연구. 119p. 

  3. 한국석유공사 (2014) 2013 국내대륙붕 종합기술평가 (결과보고서 제2권). 용역보고서, 한국석유공사. 

  4. Byun, H., Chung, C.H., Park, S.O., Lee, B.S., Kwon, Y., Choi, E., Park, M. and Yi, S.H. (2013) Review on paleoenvironments of the Kunsan Basin (northern South Yellow Sea Basin) based on palynofloral assemblag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9(1), p.145-163. 

  5. Catuneanu, O. and Elango, H.N. (2001) Tectonic control on fluvial styles: the Balfour Formation of the Karro Basin, South Africa. Sedimentary Geology, v.140, p.291-313. 

  6. Cheong, T.J., Kwak, Y.H., Son, J.D., Oh, J.H., Bong, P.Y., Lee, H.Y., Ryu, B.J., Son, B.K., Hwang, Y.G., Kwon, Y.I., Lee, Y.J., Kim, H.J., Park, K.S., Park, K.P., Sun-woo, D., Yoo, D.G. and Kim, K.O. (1998) Petroleum Resources Assessment of the Kunsan Basin. KIGAM Research Report, KR-98(C)-33, p.3-1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ough S.K., Kwon, S.T., Ree, J.H. and Choi, D.K. (2000)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review and now view. Earth-Science Reviews, v.52, p.175-235. 

  8. Chun, H.Y., Lee, H.Y., Bong, P.Y. and Choi, D.K. (1984) A micropaleontological study of Block II, Offshore Korea. Report of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p.29-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J.N., Ree, J.H., Kwon, S.T., Park, Y., Choi, S.J. and Cheong, C.S. (2000) The Kyonggi Shear Zone of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Late Orogenic Imprint of the North and South China Collision. The Journal of Geology, v.108, p.469-478. 

  10. Leckie, D.A. and Boyd, R. (2003) Towards a nonmarine sequence stratigraphic model. American Association of Petroleum Geologists Annual Convention, Salt Lake City, 11-14 May 2003, Official Program, v.12, p.A101. 

  11. Lee, D.W. (1999) Strike-slip fault tectonics and basin formation during the Cretaceous in the Korean Peninsula. Island Arc, v.8, p.218-231. 

  12. McQullin, R, Bacon, M and Barclay, W. (1984) An Introduction to Seismic Interpretation. Grahan & Trotman, 287p. 

  13. Nanjing Paleontological Institute (NPI) (2000) Biostratigraphy of Block II of the South Yellow Sea, off-shore Korea. In: Subsurface Consultants and Associates (SCA) (2002) Tectonostratigraphic Basin Evaluation and Play Concept Study of Blocks I & II of the South Yellow Sea, Offshore Korea, 164p. 

  14. Oh, J.H., Cheong, T.J., Sunwoo, D., Lee, Y.J., Kim, K.O. and Kang, M.H. (2003-2006) Joint Study on the Sedimentary Basins between Korea and China.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Research Report, GAA2003002-2006 (4), p. 1-17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5. Park, K.S., Lee, H.Y., Kang, D.H. and Shin, W.C. (2010) Structural development and geological age of rocks in the Gunsan Basin, Yellow Sea: a perspective from seismic data interpretatio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6, p.577-5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Park, K.S., Park, K.P., Sunwoo, D., Kwon, Y.I., Yoo, D.G., Cheong, T.J., Oh, J.H., Bong, P.Y., Son, J.D., Lee, H.Y., Ryu, B.J., Son, B.K., Hwang, I.G., Lee, Y.J. and Kim, H.J. (1997) Petroleum resources assessment on the western part of the Kunsan Basin. KIGAM Research Report, KR-97(C)-17, p.3-1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Ree, J.H., Cho, M., Kwon, S.T. and Nakamura, E. (1996) Possible eastward extension of Chinese collision belt in South Korea: the Imjingang belt. Geology, v.24, p.1071-1074. 

  18. Ryu, I.C., Kim, B.Y., Kwak, W.J., Kim, G.H. and Park, S.J. (2000) Stratigraphic response to tectonic evolution of sedimentary basins in the Yellow Sea and adjacent seas. Korean Journal of Petroleum Geology, v.8, p.1-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Ryu, I.C., Lee, E.H., Kwon, Y.Y., Park, S.J. and Kim, C.S. (2002) Tectonic development and petroleum potential of an adjacent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petroleum system model). Research Institute of Basic Sciences, Korea University, p.10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Ryu, I.C. and Kim, T.H. (2007) Stratigraphy of the Kachi-1 Well, Kunsan Basin, Offshore Western Korea, Econ. Environ. Geol., v.40(4), p.473-490. 

  21. Shinn, Y.J., Chough, S.K. and Hwang, I.G. (2010) Structural development and tectonic evolution of Gunsan Basin (Cretaceous-Tertiary) in the Central Yellow Sea. Marine and Petroleum Geology, v.27, p.500-514. 

  22. Yi, S., Batten, D.J., Yun, H. and Park, S.J. (2003) Cretaceous and Cenozoic non-marine deposits of the Northern South Yellow Sea Basin, offshore western Korea: palynostratigraphy and palaeoenvironments.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v.191, p.15-44. 

  23. Watson, M.P., Hayward, A.B., Parkinson, D.V. and Zhang, Z.M. (1987) Plate tectonic history, basic development and petroleum source rock deposition onshore China. Marine and Petroleum Geology, v.4, p.205-2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