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라우수영 성곽 부재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및 산지추정
Petrological study and Provenance estimation on the stone materials from the Jeolla Usuyeong Rampart, the Republic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9 no.3, 2018년, pp.250 - 259  

박상구 (국립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김성태 (국립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김준혁 (국립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김선향 (국립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백예람 (국립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김재환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 ,  좌용주 (국립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일대에 축성된 전라우수영 성곽의 부재를 대상으로 암석학적 연구를 수행하고 산지를 추정하여 보수정비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인 전라우수영은 2016년에 사적 제535호로 지정되었으며 성곽의 잔존구간은 약 15% 정도로 보존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성곽 부재에 대한 암석기재적 특징을 바탕으로 축성에 사용된 암석을 분류하고 사용비율을 산출하였으며 동시에 전암대자율을 측정하였다. 채취한 성곽 시료의 현미경관찰로 광물 구성 및 조직 등을 파악하였으며 주변지역에 대한 지질조사를 통해 축성 재료의 가능성이 있는 주변암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성곽 부재는 크게 응회암류와 기타 암석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대부분이 응회암류이며 세부적으로는 응회암, 화산력 응회암, 화산력암이다. 부재로 사용된 비율을 살펴보면 화산력 응회암이 60.3%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이어서 응회암(34.7%), 화산력암(2.5%) 순이다. 전암대자율 측정 결과 응회암류는 $1{\times}10^{-3}$ SI unit 이하의 낮은 값과 $1-14{\times}10^{-3}$ SI unit의 높은 값을 보이는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주변암은 응회암이 우세하나 위치마다 기재면에서 차이를 보이며 그 외의 응회암류는 화원면 신덕리 일대에 분포한다. 암석기재적인 특징과 전암대자율 값, 채석산지의 가능성을 고려하면 부재의 응회암은 문내면 동외리, 화산력 응회암은 화원면 신덕리 일대가 산지로 추정된다. 추가로 축성 재료의 기준 설정을 위해 성곽의 주요 부재를 대상으로 물성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압축강도 면에서 응회암이 약 156 MPa의 양호한 값을 보였다. 물성시험 결과와 부재의 암종 별 사용량을 종합하면 성곽의 보수정비 시 대체석으로는 응회암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petrological features of the stone materials used in the Jeolla Usuyeong rampart and estimated their provenance through the geological survey. The Jeolla Usuyeong was designated as a historic site (No. 535) on 2016. Since the remaining rampart is less than 15%, it is necessary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수영 성곽과 같은 석조문화재가 손상됨에 따라 보존 및 수복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문화재에 사용된 석재와 동질의 암석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왔다(Jwa et al, 2000; Jwa et al, 2006; Yang et al, 2006, Lee et al, 2007; Moon et al, 2014; Moon and Jwa, 2014; Park et al, 2015; Park et al, 2017). 본 연구에서는 우수영 성곽의 잔존구간을 대상으로 암석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부재로 사용된 암석의 종류와 특징을 파악하고 주변지역의 지질조사 결과와 비교하여 부재의 산지를 추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추가로 성곽 부재에 대한 물성시험을 통해 보수정비에 활용할 수 있는 대체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번 연구에서는 부재로 사용된 암석의 산지 추정 이외에도 물성시험을 통해 우수영의 보수정비 시 활용될 수 있는 대체석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체석의 조건은 KS F2530의 구분에서 경암(압축강도 50MPa 이상, 흡수율 5% 미만, 비중 약 2.
  • 본 연구에서는 우수영 성곽의 잔존구간을 대상으로 암석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부재로 사용된 암석의 종류와 특징을 파악하고 주변지역의 지질조사 결과와 비교하여 부재의 산지를 추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추가로 성곽 부재에 대한 물성시험을 통해 보수정비에 활용할 수 있는 대체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3. 부재와 암석기재적 특징이 유사한 것으로 볼 때 신덕리의 화산력 응회암과 문내면의 응회암이 축성 부재로 사용되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남 전라우수영은 무엇인가? 591698, W126.308569)은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일대에 축성된 조선시대 전라우도 수군절도사의 성터이자 본영이다. 또한 서해와 남해가 맞닿은 한반도 최남단의 전략적 요충지이며 임진왜란 당시 명량대첩의 출정기지이기도 했다.
해남 전라우수영의 길이는? 우수영은 1992년 전라도 기념물 제139호로 지정되어 관리 받아 왔으며 2016년 9월에 들어 사적 제535호로 승격 지정되었다. 우수영 성곽은 토성과 석성의 혼합성으로, 측량 결과 전체 길이는 약 300첩(1872.26 m)이다. 성곽의 훼손 및 원형유지 면에서 여수나 동래 좌수영, 거제 우수영 등 다른 지역의 수영성에 비해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성곽은 문내면의 시가지화 및 상업화에 의해 전체 길이 중 85%라는 상당한 구간이 유실되어 현재는 약 264 m 정도만 남아있는 실정이다(Fig.
우수영은 사적 제 몇 호인가? 또한 서해와 남해가 맞닿은 한반도 최남단의 전략적 요충지이며 임진왜란 당시 명량대첩의 출정기지이기도 했다. 우수영은 1992년 전라도 기념물 제139호로 지정되어 관리 받아 왔으며 2016년 9월에 들어 사적 제535호로 승격 지정되었다. 우수영 성곽은 토성과 석성의 혼합성으로, 측량 결과 전체 길이는 약 300첩(187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o, D.L. and Kwon, S.T., 1994, Petrography and mineral chemistry of Fe-Ti oxides for the Mesozoic granitoids in South Korea: a reconsideration on the classification of magnetite- and ilmenite-series,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3, 1-19. 

  2. Jwa, Y.J., Lee, S.W., Kim, J.S. and Sohn, D.W., 2000, Source area of stones used for the stone buildings of Bulguksa Temple and Seolguram Grotto,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6, 335-340. (in Korean) 

  3. Jwa, Y.J., Kim, K.K., Ko, S.B. and Kim, J.S., 2006, Source Area of the Rocks Using the West Stone Pagoda of Gamuensaju Temple Site,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15, 128-138. 

  4. Koh, S.M. and Chang, H.W., 1997, Geological Interpretation on the Cretaceous Strata in the Haenam Area, Chollanamdo, Ko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29, 381-393. 

  5. Lee, C.H., Kim, Y.T. and Lee. M.S., 2007, Provenance Presumption for Rock Properties of the Five Storied Stone Pagoda in the Jeongrimsaji Temple Site, Buyeo,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3, 183-196. 

  6. Moon, S.W., Kim, M.J., Kim, J.J. and Jwa, Y.J., 2014, Petrological Study and Provenance Estimation on the Stone Materials from the Rampart of the Yeongsaneupseong, Joure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the Korea. 23, 367-373. 

  7. Moon, S.W. and Jwa, Y.J., 2014, A Study on the Stone Materials from Gwanbong Seokjoyeoraejwasang and Three-storied Stone Pagoda in Seonbonsa Temple, Mt. Palgongsa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5, 554-561. 

  8. Park, T.H. and Jwa, Y.J., 2000, Local vatiation of magnetic susceptibility of Cretaceous to Tertiary granitoids in the Gyeongsang Basin-magnetic-/ilmenite-series revisited,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6, 387-390. 

  9. Park, S.C., Moon, S.W., Kim, S.D. and Jwa, Y.J., 2015, A Petrological Study on Stones Used in the Three Stroied Stone Pagoda of Bulguksa Templ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4, 11-24. 

  10. Park, S.G., Park, S.C., Kim, J.H. and Jwa, Y.J., 2017, Petrological Study and Provenance Estimation on the Stone Materials from Outer Rampart of the Namhansanseong Fortress, Korea, Journal of the Perological Society of Korea, 26, 353-360. 

  11. Park, S.G., 2018, Petrological Study and Provenance Estimation on the Stone Materials from Outer Rampart of the Namhansanseong Fortress, Korea, M.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p 48. 

  12. Yang, H.J., Lee, C.H., Choi, S.W. and Lee, M.S., 2006,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Presumption for Rock Properties of the Stone Pagoda in Mireuksaji Temple Site, Iksan,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2, 293-3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