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혈관내피세포에서 산양삼 추출물과 진세노사이드 Rg5의 혈관신생 효과
Angiogenic effects of wood-cultivated ginseng extract and ginsenoside Rg5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0 no.3, 2018년, pp.349 - 355  

김나은 ((주)해송KNS 기업부설연구소) ,  이미옥 ((주)해송KNS 기업부설연구소) ,  장미희 ((주)해송KNS 기업부설연구소) ,  정병희 ((주)해송KNS 기업부설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상처치유(wound healing)와 같은 허혈성 심뇌혈관 질환의 잠재적 치료제로서 산양삼 추출물과 진세노사이드 Rg5의 가능성을 인간 제대정맥 내피세포인 HUVEC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산양삼 추출물과 Rg5는 10-100 nM의 저농도에서 혈관신생 과정에서 발생하는 세포의 증식이나 이동, 관 형성과정을 유의적으로 증진시켰으며, 그 증가현상은 산양삼 추출물과 Rg5가 유사한 수준으로 발생하였다. 따라서 Rg5를 이용하여 혈관신생 과정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메커니즘을 확인한 결과, Akt/eNOS와 ERK1/2의 인산화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VEGF와 유사한 수준으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혈관 신생 유도인자이며 양성대조군인 VEGF의 혈관염증 관련 부작용이 Rg5의 혈관신생 효과에도 작용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혈관염증 관련 단백질인 ICAM-1과 VCAM-1의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 ICAM-1과VCAM-1의 발현이 양성대조군인 VEGF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Rg5를 처리한 경우에는 일반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양삼 추출물과 Rg5가 혈관신생 유도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Akt/eNOS와 ERK 관련 신호전달 메커니즘을 통해 진행되고 이러한 효과가 혈관염증은 유도하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하였으며, 잠재적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insenoside Rg5, one of the protopanaxadiol ginsenosides of wood-cultivated ginseng, has been implicated in various diseases, such as diabetes, cancer, and hypertension; however, its angiogenic activity and molecular mechanisms have not yet been elucidated. Here, we found that wood-cultivated gins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양삼 추출물과 희귀 진세노사이드인 Rg5가 혈관신생 과정에서 미치는 효과와 그 메커니즘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 혈관신생의 대표적인 유도인자로 알려져 있는 VEGF는 강력한 혈관신생 효과를 나타내지만 혈관 염증이나 혈관세포의 투과성을 증가시키는 부작용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어 허혈성 심질환이나 상처지연에 대한 치료제로서의 한계에 부딪친 상황이다(Gavard와 Gutkind, 2006; Kim 등, 2001). 따라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고 혈관신생 효능을 보이는 잠재적 인자들을 찾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Rg5가 혈관내피세포에서 혈관염증의 전형적인 지표로 알려져 있는 세포사이 부착분자-1(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ICAM-1)과 혈관세포 부착분자-1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VCAM-1)의 발현에 있어서 연관성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Chung 등, 2008; Kim 등,2001). 그 결과, 양성대조군인 VEGF가 ICAM-1, VCAM-1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킨 것과 대조적으로 Rg5는 혈관신생 신호전달 메커니즘이 가장 강한 농도인 20 nM을 처리하였을 경우, ICAM-1과 VCAM-1의 발현이 모두 증가하지 않았으며,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Fig.
  • 본 연구에서는 상처치유(wound healing)와 같은 허혈성 심뇌혈관 질환의 잠재적 치료제로서 산양삼 추출물과 진세노사이드 Rg5의 가능성을 인간 제대정맥 내피세포인 HUVEC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산양삼 추출물과 Rg5는 10-100 nM의 저농도에서 혈관신생 과정에서 발생하는 세포의 증식이나 이동, 관 형성과정을 유의적으로 증진시켰으며, 그 증가현상은 산양삼 추출물과 Rg5가 유사한 수준으로 발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관신생이란 무엇인가? 혈관신생(Angiogenesis)은 기존에 존재하고 있던 내피조직에서 새롭게 혈관이 형성되는 과정으로 상처치유나 배아발달과 같은 다양한 생리학적 혹은 만성 염증이나 종양 발생과 같은 병리학적 상태의 기초단계라고 볼 수 있다(Folkman, 1971; Folkman, 1995; Folkman 등, 1997; Hanahan과 Folkman, 1996; Risau, 1997). 이 중에서 상처 치유와 같은 생리학적 상태는 새롭게 모세혈관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혈관신생에 의해 조절을 받게 되는데, 새로운 모세혈관은 상처발생 3-5일 후에 형성되기 시작하며, 혈관의 증식과 섬유아세포의 이동, 새로운 콜라겐 침착이 나타나게 된다(Folkman, 1971; Folkman, 1995).
인삼의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의 어떤 성분은 무엇인가? 이러한 산양삼의 주요 약리활성 물질인 사포닌은 글리코사이드(glycoside)의 하나로 인삼의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는 다른 식물계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다마레인(dammarane) 계열의 트라이터페노이드(triterpoenoid)인 프로토파낙사다이올(protopanaxadiol, PPD)과 프로토파낙사트라이올(protopanaxatriol, PPT)의 글리코사이드이다(Baek 등, 2015). 현재까지 연구된 진세노사이드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진세노사이드 Rb1은 위염과 위궤양을 예방하고 산화방지 작용이 있으며, 진세노사이드 Rb2는 암 독소 호르몬에 대한 길한 작용, Rc는 항암효과, Rd는 신 기능부전 치료효과와 신경계 보호 작용이 보고되었다(Jung 등, 2002; Choi, 1991; Hideo 등, 1998; Choi 등, 2003; Yokozawa와 Wu Liu, 2000).
산양삼의 특징은 무엇인가? 장뇌삼이라고도 불리는 산양삼(Korean Panax ginseng, woodcultivated ginseng)은 야생상태에서 자연적으로 발아한 산삼의 종자나 묘삼을 깊은 산속의 그늘지고 습기가 많은 곳에 뿌려 생육환경에 가깝게 방치해 두었다가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캐낸 삼을 말한다(Lim 등, 2007; Lui와 Staba, 1980). 재배 인삼에 비해 향기가 강한 것이 특징이며, 약리활성이 자연 산삼 다음으로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고, 진세노사이트 함량이 높아 항독성과 항암, 혈압과 혈당강하, 항산화, 항비만, 간독성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Choi 등, 2006; Jang 등, 2008; Jang 등, 2010; Kim 등, 2009; Kim과 Kwon, 2007; Kim과 Son, 2012; Kwon 등, 2003; Kwon, 2010; Min 등, 2007; Park 등, 2005; Rhim 등,2009). 따라서 산에서 자연 발아하여 생산량이 적고 고가인 산삼에 비해 산에서 인위적으로 재배한 산양삼이 산삼을 대체할 수 있는 약물로 주목받고 있으며, 산양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효능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Kim 등, 2012; Lee 등,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ttele AS, Wu JA, Yuan CS. Ginseng pharmacology: multiple constituents and multiple actions. Biochem. Pharmacol. 58: 1685-1693 (1999) 

  2. Baek SH, Lee IH, Kim MJ, Kim EJ, Ha IH, Lee JH. Component analysis and toxicity study of combined cultivated wild ginseng pharmacopuncture. J. Int. Korean Med. 36: 189-199 (2015) 

  3. Bussolino F, Mantovani A, Persico G. Molecular mechanisms of blood vessel formation. Trends Biochem. Sci. 22: 251-256 (1997) 

  4. Carmichael J, DeGraff WG, Gazdar AF, Minna JD, Mitchell JB. Evaluation of a tetrazolium-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radiosensitivity. Cancer Res. 47: 943-946 (1987) 

  5. Choi KJ. The constituent of material ginseng and management of quality. Korean J. Ginseng Sci. 15: 247-256 (1991) 

  6. Choi SS, Lee JK, Han EJ, Han KJ, Lee HK, Lee J, Suh HW. Effect of ginsenoside Rd on nitric oxide system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plus TNF- ${\alpha}$ in C6 rat glioma cells. Arch. Pharm. Res. 26: 375-382 (2003) 

  7. Choi EJ, Lee JM, Won SH, Kwon KR. Effects of cultivated wild ginseng pharmacopuncture on lowering lipid and oxidative capacity in biochemical and molecular biological study in obese rats. J. Pharmacopuncture. 9: 5-20 (2006) 

  8. Chung BH, Kim JD, Kim CK, Kim JH, Won MH, Lee HS, Dong M S, Ha KS, Kwon YG, Kim YM. Icariin stimulates angiogenesis by activating the MEK/ERK-and PI3K/Akt/eNOS-dependent signal pathways in human endothelial cells. Biochem. Bioph. Res. Co. 376: 404-408 (2008) 

  9. Chung BH, Lee JJ, Kim JD, Jeoung D, Lee H, Choe J, Ha KS, Kwon YG, Kim YM. Angioginic activity of sesamin through the activation of multiple signal pathways. Biochem. Bioph. Res. Co. 391: 254-260 (2010) 

  10. Dong G, Chen Z, Li ZY, Yeh NT, Bancroft CC, Van Waes C. Hepa- tocyte growth factor/scatter factor-induced activation of MEK and PI3K signal pathways contributes to expression of proangiogenic cytokines interleukin-8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Cancer Res. 61: 5911-5918 (2001) 

  11. Dulak J, Jozkowicz A. Nitric oxide and angiogenic activity of endot-helial cells: direct or VEGF-dependent effect? Cardiovasc. Res. 56: 487-488 (2002) 

  12. Folkman J. Tumor angiogenesis: therapeutic implications. New Engl. J. Med. 285: 1182-1186 (1971) 

  13. Folkman J. Angiogenesis in cancer, vascular, rheumatoid and other diseas. Nat. Med. 1: 27-31 (1995) 

  14. Folkman S, Chesney M, Grief. Vancouver Conference Review. Aids Care. 9: 39-43 (1997) 

  15. Gratton JP, Lin MI, Yu J, Weiss ED, Jiang ZL, Fairchild TA, Iwakiri Y, Groszmann R, Claffey KP, Cheng YC, Sessa WC. Selective inhibition of tumor microvascular permeability by cavtratin blocks tumor progression in mice. Cancer cell. 4: 31-39 (2003) 

  16. Gavard J, Gutkind JS. VEGF controls endothelial-cell permeability by promoting the ${\beta}$ -arrestin-dependent endocytosis of VE-cadherin. Nat. Cell Biol. 8: 1223-1234 (2006) 

  17. Hanahan D, Folkman J. Patterns and emerging mechanisms of the angiogenic switch during tumorigenesis. Cell. 86: 353-364 (1996) 

  18. Hideo H, Seong JH, Yasatosi M, Masamori W, Hur JD. Metabolites of ginseng saponin by enterobacteria and anticancer substance include it's useful constituent. Korea Plant. 10-164266: 0000 (1998) 

  19. Huang D, Ding Y, Luo WM, Bender S, Qian CN, Kort E, Zhang ZF, VandenBeldt K, Duesbery NS, Resau JH, Teh BT. Inhibition of MAPK kinase signaling pathways suppressed renal cell carcinoma growth and angiogenesis in vivo. Cancer Res. 68: 81-88 (2008) 

  20. Jang HY, Park HS, Kwon KR, Rhim TJ.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antioxidant effects among wild ginseng, cultivated wild ginseng, and cultivated ginseng extracts. J. Pharmacopuncture. 11: 67-78 (2008) 

  21. Jang SB, Lim CS, Jang JH, Kwon KR. Anti-metastatic mechanism of mountain cultivated wild ginseng in human cancer cell line. J. Pharmacopuncture. 13: 37-43 (2010) 

  22. Jung CS, Hyun JE, Kim YS. Anti-oxidative Effect of Ginsenoside Rb1 on the HCL.Ethanol-Induced Gastric Tissue in Rats. Kor. J. Pharmacogn. 33: 252-256 (2002) 

  23. Kim YJ, Son DY. Antioxidant and inhibitory effects of Korean Panax ginseng extract on pro-inflammatory mediators in LPS-stimulated RAW264. 7 macrophag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371-1377 (2012) 

  24. Kim BW, Kwon KR. The effect of cultivated wild ginseng extract on preadipocyte proliferation. J. Pharmacopuncture. 10: 29-35 (2007) 

  25. Kim EL, Kim CS, Lee HY, Lee HR, Kim EY, Yoon MC, Shin SS. Mountain cultivated ginseng water boiled extract decreases blood glucose level and improves lipid metabolism in male db/db mice. Korea J. Herb. 27: 69-75 (2012) 

  26. Kim I, Moon SO, Kim SH, Kim HJ, Hoh YS, Koh GY.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expression of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1(ICAM-1),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 1(VCAM- 1), and E-selectin through nuclear factor- ${\kappa}B$ activation in endothelial cells. J. Biol. Chem. 276: 7614-7620 (2001) 

  27. Kim YJ, Park DI, Kwon KR. Case report on the improvement of liver functions by mountain cultivated wild ginseng pharmacopuncture. J. Pharmacopuncture. 12: 107-112 (2009) 

  28. Kwon KR. Anticancer effect of mountain ginseng Pharmacopuncture to the nude mouse of lung carcinoma induced by NCI-H460 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J. Pharmacopuncture. 13: 5-14 (2010) 

  29. Kwon KR, Cho AL, Lee SG. The study on acute and subacute toxicity and anti-cancer effects of cultivated wild ginseng herbal acupuncture. J. Pharmacopuncture. 6: 7-27 (2003) 

  30. Lee SJ, Kim KM, Namkoong S, Kim CK, Kang YC, Lee H, Ha KS, Han JA, Chung HT, Kwon YG, Kim YM. Nitric oxide inhibition of homocysteine-induced human endothelial cell apoptosis by down-regulation of p53-dependent Noxa expression through the formation of S-nitrosohomocysteine. J. Biol. Chem. 280: 5781- 5788 (2005) 

  31. Lee JH, Kwon KR, Cha BC. Component analysis of cultivated ginseng, red ginseng, cultivated wild ginseng, and red wild ginseng using HPLC method J. Pharmacopuncture. 11: 87-95 (2008) 

  32. Lee SJ, Namkoong S, Kim YM, Kim CK, Lee H, Ha KS, Chung HT, Kwon YG, Kim YM. Fractalkine stimulates angiogenesis by activating the Raf-1/MEK/ERK-and PI3K/Akt/eNOS-dependent signal pathways. Am. J. Physiol.-Heart C. 291: H2836-H2846 (2006). 

  33. Lim W, Mudge KW, Weston LA. Utilization of RAPD markers to assess genetic diversity of wild populations of North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m). Planta Med. 73: 71-76 (2007) 

  34. Lui JHC, Staba EJ. The ginsenosides of various ginseng plants and selected products. J Nat Prod. 43: 340-346 (1980) 

  35. Min BI, Kim HH, Seo IB, Kwon KR. Antitumor effects and protective effects against doxorubicin-induced testicular toxicity of cultivated wild ginseng extract in the B16/F10 melanoma-bearing C57BL/6 mice. J. Pharmacopuncture. 10: 85-100 (2007) 

  36. Morita T. Chemical studies on Panax genus plants grown in Asia. Hiroshima Univ. 6-7 (1986) 

  37. Murohara T, Asahara T, Silver M, Bauters C, Masuda H, Kalka C, Kearney M, Chen D, Symes JF, Fishman MC, Huang PL, Isner JM. Nitric oxide synthase modulates angiogenesis in response to tissue ischemia. J. Clin. Invest. 101: 2567 (1998) 

  38. Namkoong S, Lee SJ, Kim CK, Kim YM, Chung HT, Lee H, Han JA, Ha KS, Kwon YG. Prostaglandin E2 stimulates angiogenesis by activating the nitric oxide/cGMP pathway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Exp. Mol. Med. 37: 588-600 (2005) 

  39. Papapetropoulos A, Rudic RD, Sessa WC. Molecular control of nitric oxide synthases in the cardiovascular system. Cardiovasc. Res. 43: 509-520 (1999) 

  40. Park WP, Lee E, Kwon KR. Effects of distilled Cultivated Wild Ginseng Herbal Acupuncture in Rats with Diabetes Induced by High Fat Diet. J. Pharmacopuncture. 8: 97-108 (2005) 

  41. Popovich DG, Kitts DD. Ginsenosides 20 (S)-protopanaxadiol and Rh2 reduce cell proliferation and increase sub-G1 cells in two cultured intestinal cell lines, Int-407 and Caco-2. Can. J. Physiol. Pharm. 82: 183-190 (2004) 

  42. Rhim TJ, Jeong HS, Kim YJ, Kim DY, Han YJ, Kwon HY, Kwon KR.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antioxidant effects among cultivated ginseng and cultivated wild ginseng extracts-Using the measurement of superoxide and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J. Pharmacopuncture. 12: 7-12 (2009) 

  43. Risau W. Mechanisms of angiogenesis. Nature 386: 671-674 (1997) 

  44. Tonnesen MG, Feng X, Clark RA. Angiogenesis in wound healing. J. Invest. Derm. Symp. P. 5: 40-46 (2000) 

  45. Wang W, Zhao Y, Rayburn ER, Hill DL, Wang H, Zhang R. In vitro anti-cancer activity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of natural products isolated from fruits of Panax ginseng. Cancer chemoth. Pharm. 59: 589-601 (2007) 

  46. Xin Y, Ni JS, Jiang X, Wang XR, Shi B, Wu JX. Inhibitory effect of 20 (S)-ginsenoside Rg3 on tumor growth. J. Jilin Univ.(Medicine Edition). 1: 024 (2006) 

  47. Yokozawa T, Wu Liu Z. The role of ginsenoside-Rd in cisplatin-induced acute renal failure. Renal failure. 22: 115-127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