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D 프린터 용 PLA/LDPE 고분자 블렌드 모노필라멘트
PLA/LDPE Blend Monofilament for 3D Printing

한국섬유공학회지 =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v.55 no.3, 2018년, pp.158 - 163  

김유진 (영남대학교 대학원 유기신소재공학과) ,  최혜미 (영남대학교 대학원 유기신소재공학과) ,  신동수 (클래비스) ,  김규식 (클래비스) ,  장순호 (한국섬유개발연구원) ,  오태환 (영남대학교 대학원 유기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 compatibilizer and the blend ratio of low-density polyethylene (LDPE) on the 3D printability of polylactic acid (PLA)/LDPE monofilaments were investigated. Two kinds of PLA and LDPE with different melt indices (MI) were selected for the PLA/LDPE blend monofilament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LA 단일고분자를 사용한 3D 프린팅 용 모노필라멘트는 이미 상업화가 이루어졌으나 타 고분자를 혼합한 PLA 블렌드 고분자 모노필라멘트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터 용 원료인 PLA 모노필라멘트의 제조원가 절감을 위한 방법으로 PLA 대비 상대적으로 저가(약 1.3 $/kg)인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을 PLA와 용융 블렌드하여 각 고분자의 용융지수(melt index, MI), 상용화제의 첨가 여부, 블렌드 비율에 따른 모노필라멘트의 물성, 형태 변화 및 프린트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LA의 장점은? 적층형에서는 파우더 형태나 고분자 필라멘트를 원료를 주로 사용하는데 3D 프린터 용 고분자 필라멘트의 경우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ABS)와 PLA 고분자가 주로 사용된다[2−4]. PLA는 열가소성수지로 필라멘트 형태로 용융압출이 가능하고 인쇄된 제품의 강도, 내구성, 광택이 적절하다는 장점이 있다[5−8]. 그러나, 3D 프린터 용 PLA 원료 자체의 가격이 3.
3D 프린터 용 고분자 필라멘트로 주요 사용되는 것은? 3D 프린팅은 입체 형상을 구현하는 방식에 따라 적층형과 절삭형으로 구분하며, 고분자 필라멘트를 이용하는 것은 적층형에 해당한다. 적층형에서는 파우더 형태나 고분자 필라멘트를 원료를 주로 사용하는데 3D 프린터 용 고분자 필라멘트의 경우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ABS)와 PLA 고분자가 주로 사용된다[2−4]. PLA는 열가소성수지로 필라멘트 형태로 용융압출이 가능하고 인쇄된 제품의 강도, 내구성, 광택이 적절하다는 장점이 있다[5−8].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을 PLA와 융융 블렌드하여 연구한 이유는? PLA 단일고분자를 사용한 3D 프린팅 용 모노필라멘트는 이미 상업화가 이루어졌으나 타 고분자를 혼합한 PLA 블렌드 고분자 모노필라멘트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터 용 원료인 PLA 모노필라멘트의 제조원가 절감을 위한 방법으로 PLA 대비 상대적으로 저가(약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W. Choi, J. H. Woo, J. B. Jeon, and S. S. Yoon, "Measurement of Structural Properties of PLA Filament as a Supplier of 3D Printer", J. Korean Soc. Agricul. Eng., 2015, 57, 141-152. 

  2. E. J. Choi, S. A. Kim, J. Y. Bae, Y. J. Kwon, and K. H. Lee, "A Study on the State of the Art of 3D Printers", J. Korea Soc. Comput. Inform., 2013, 21, 358-388. 

  3. W. G. Oh, "Customized Model Manufacturing for Patients with Pelvic Fracture Using FDM 3D Printer", J. Korea Digital Contents Society, 2014, 14, 370-377. 

  4. A. Gregor, E. Filova, M. Novak, J. Kronek, H. Chlup, M. Buzgo, V. Blahnova, V. Lukasova, M. Bartos, A. Necas, and J. Hosek, "Designing of PLA Scaffolds for Bone Tissue Replacement Fabricated by Ordinary Commercial 3D Printer" J. Biol. Eng., 2017, 11, 31-52. 

  5. H. N. Chia and B. M. Wu, "Recent Advances in 3D Printing of Biomaterials", J. Biol. Eng., doi:10.1186/s13036-015-0001-4, 2015. 

  6. V. C. Lee, "Medical Applications for 3D Printing: Current and Projected Uses", Pharmacy and Therapeutic, 2014, 39, 704-711. 

  7. J. R. Dorgan, H. Lehermeier, and M. Mang, "Therm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Grade Poly(lactic acid)", J. Polym. Environ., 2000, 8, 1-9. 

  8. K. Mezghani and J. E. Spruiell, "High Speed Melt Spinning of Poly(l-lactic acid) Filaments", J. Polym. Sci. Part B: Polym. Phys., 1998, 36, 1005-1012. 

  9. N. C. Liu and W. E. Baker, "Reactive Polymers for Blend Compatibilization", Adv. Polym. Tech., 1992, 11, 249-262. 

  10. M. Xanthos, M.­W. Young, G. P. Karayanndis, and D. N. Bikiaris, "Reactive Modification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Polyepoxides", Polym. Eng. Sci., 2001, 41, 643-655. 

  11. Y. F. Kim, C. N. Choi, Y. D. Kim, K. Y. Lee, and M. S. Lee, "Compatibilization of Immiscible Poly(l-lactide) and Low Density Polyethylene Blends", Fiber. Polym., 2004, 5, 270-2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