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친대추멍게(Ascidiella aspersa: Ascidiacea, Phlebobranchia, Ascidiidae)의 알 발육에 미치는 수온과 염도의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Egg Development of Ascidiella aspersa (Ascidiacea, Phlebobranchia, Ascidiidae)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6 no.2, 2018년, pp.232 - 240  

김동현 (삼육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민경 (삼육대학교 생명과학과) ,  박주언 (삼육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동건 (삼육대학교 스미스교양대학) ,  윤태중 (삼육대학교 해양생명자원연구소) ,  신숙 (삼육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본 연구는 거친대추멍게(Ascidiella aspersa)의 알 발육과 유생 부착에 미치는 수온과 염도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거친대추멍게 알 발육과 유생 부착 실험은 12개의 수온 조건(6, 8, 10, 12, 14, 16, 18, 20, 22, 24, 26, $28^{\circ}C$,과 2개의 염도 조건(30, 34 psu)에서 진행하였다. 거친대추멍게 알의 부화율과 발육률은 염도에 관계없이 수온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최적 수온 범위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부화 및 발육을 위한 최적 수온은 $20{\sim}22^{\circ}C$의 범위를 보였다. 저온 발육임계수온은 30 psu와 34 psu에서 각각 $1.5^{\circ}C$$1.8^{\circ}C$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부착률은 염도에 관계없이 $16{\sim}22^{\circ}C$의 최적 수온 범위를 보였으며 부착시간은 수온이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거친대추멍게의 최적 발육 및 생존 수온은 염도 조건에 관계없이 $20{\sim}22^{\circ}C$ 범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양식장에서의 거친대추멍게에 의한 경제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거친대추멍게의 분포 및 발생시기를 예측하고 확산 방지 및 방제 방안을 구축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egg development and larval attachment of Ascidiella aspersa. The egg development and larval attachment were examined in 12 different water temperatures (6, 8, 10, 12, 14, 16, 18, 20, 22, 24, 26 and $28^...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roretzi) 등과 비교하여 볼 때 보다 높은 수온 조건과 낮은 염도 조건에서 거친대추멍게의 생존 (발육률, 부착률 등)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며, 앞으로 기후 변화로 인한 국내 연안의 해수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양식산업 등에서 거친대추멍게의 확산 및 대발생으로 경제적 피해가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양식장에서의 거친대추멍게에 의한 경제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이의 확산을 방지하고 방제 효율을 증가시키는데 필요한 생태적 자료를 확보하고자 실시되었으며, 거친대추멍게의 분포 및 발생 시기를 예측하고 확산 방지 및 방제 방안을 구축하는 데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200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에서의 거친대추멍게 알의 발육 및 유생의 부착 실험을 통하여 국내에 서식하는 거친대추멍게의 수온 및 염도에 따른 부화율, 발육률, 부착률 등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거친대추멍게의 국내 해양생태계에서의 확산 및 방제를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거친대추멍게 (Ascidiella aspersa)의 알 발육과 유생 부착에 미치는 수온과 염도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거친대추멍게 알 발육과 유생 부착 실험은 12개의 수온 조건 (6, 8, 10, 12, 14, 16, 18, 20, 22, 24, 26, 28°C, 과 2개의 염도 조건 (30, 34 psu)에서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거친대추멍게는 분류학적으로 무엇에 속하는가? 해양 고착성 저서동물인 거친대추멍게(Ascidiella aspersa)는 척삭동물문 (phylum Chordata) 해초강 (class Ascidiacea) 편새해초목 (order Phlebobranchia) 대추멍게과(family Ascidiidae)에 속하며, ‘유럽산 멍게 (European sea squirt)’로 알려져 있다 (Inglis et al. 2008; Mackenzie 2011).
거친대추멍게는 언제 처음 기록됐는가? 2008; Mackenzie 2011). Müller에 의해 1776년도에 노르웨이의 크리스티아니아 피오르드 (Christiania fjord)에서 처음 기록된 후 (Berrill 1928), 스코틀랜드, 영국 해협, 아일랜드해, 프랑스, 지중해 등의 유럽 지역에서 보고되었다 (Millar 1952; Pirie and Bell 1984; Kott 1985; Hily 1991; Cohen et al. 2000; Mackenzie 2011).
거친대추멍게 등을 비롯한 해초류의 분포와 확산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거친대추멍게 등을 비롯한 해초류의 분포와 확산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수온과 염도 등이 보고되었으며 (Nierman-Kerkenberg and Hofmann 1989; Carver et al. 2006), 수온과 염도에 대한 내성은 지리적인 개체군 또는 생태형 (ecotype) 사이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agabhushanam and Krishnamoorthy 1992; Carv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errill NJ. 1928. The identification and validity of certain species of ascidians. J. Mar. Biol. Assoc. U.K. 15:159-175. 

  2. Carman MR, JA Morris, RC Karney and DW Grunden. 2010. An initial assessment of native and invasive tunicates in shellfish aquaculture of the North American east coast. J. Appl. Ichthyol. 26:8-11. 

  3. Carver CE, AL Mallet and B Vercaemer. 2006. Biological synopsis of the solitary tunicate Ciona intestinalis. Dartmouth, Nova Scotia: Bedford Institute of Oceanography pp. 1-52. 

  4. Cohen BF, DR Currie and MA McArthur. 2000. Epibenthic community structure in Port Phillip Bay, Victoria, Australia. Mar. Freshw. Res. 51:689-702. 

  5. Curtis L. 2005. Ascidiella aspersa. A sea squirt. Marine Life Information Network: Biology and Sensitivity Key Information Sub-programme [on-line]. Marine Biological Association of the United Kingdom. http://www.marlin.ac.uk/species/detail/1566. 

  6. Feng D, C Ke, C Lu and S Li. 2010.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light on larval pre-settlement metamorphosis: a study of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pre-settlement metamorphosis of the solitary ascidian Styela canopus. Mar. Freshw. Behav. Physiol. 43:11-24. 

  7. Hily C. 1991. Is the activity of benthic suspension feeders a factor controlling water quality in the Bay of Brest? Mar. Ecol. Prog. Ser. 69:179-188. 

  8. Ikemoto T. 2005. Intrinsic optimum temperature for development of insects and mite. Environ. Entomol. 34:1377-1387. 

  9. Ikemoto T. 2008. Tropical malaria does not mean hot environments. J. Med. Entomol. 45:963-969. 

  10. Ikemoto T, I Kurahashi and PJ Shi. 2013. Confidence interval of intrinsic optimum temperature estimated using thermodynamics SSI model. Insect Sci. 20:420-428. 

  11. Inglis GJ, N Gust, I Fitridge, O Floerl, C woods, M Kospartov and GD Fenwick. 2008. Port of Lyttelton: second baseline survey for non-indigenous marine species. MAFBNZB. Report No:ZBS2000-04. 

  12. Kanamori M, K Baba, M Natsuike and S Goshima. 2017. Life history traits and population dynamics of the invasive ascidian, Ascidiella aspersa, on cultured scallops in Funka Bay, Hokkaido, northern Japan. J. Mar. Biol. Assoc. U.K. 97:387-399. 

  13. Knaben N. 1952. Development of the larvae of Ascidiella aspersa Mull. At different salinities and temperatures, the dependence of the distribution of this species upon the hydrographic circumstances, by Nils Knaben. J. Dybwad. pp. 1-24. 

  14. Kott P. 1985. The Australian Ascidiacea part 1, Phelbobranchia and Stolidobranchia. Mem. Qd. Mus. 23:1-440. 

  15. Lee C, MW Park, CS Lee, SK Kim and WK Kim. 2009.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development of sea peach Halocynthia aurantium. J. Environ. Sci. Int. 18:1171-1179. 

  16. Mackenzie AB. 2011. Biological synopsis of the European sea squirt (Ascidiella aspersa). Department of Fisheries and Oceans. Burlington, ON, Canada p. 15. 

  17. Millar RH. 1952. The annual growth and reproductive cycle in four ascidians. J. Mar. Biol. Assoc. U.K. 31:41-61. 

  18. Nagabhushanam AK and P Krishnamoorthy. 1992. Occurrence and biology of the solitary ascidian Ascidiella aspersa in Tamil Nadu coastal waters. J. Mar. Biol. Assoc. India. 34:1-9. 

  19. Niermann-Kerkenberg E and DK Hofmann. 1989. Fertilization and normal development in Ascidiella aspersa (Tunicata) studied with Nomarski optics. Helgol. Mar. Res. 43:245-258. 

  20. Park JU, TJ Lee, DH Kim, PJ Kim, DG Kim and S Shin. 2017. Monitoring and impact of marine ecological disturbance causing organisms on an oyster and sea squirt farm. J. Environ. Biol. 35:677-683. 

  21. Park YJ, YG Rho, JH Lee and JM Lee. 1991. Studies on spawning and seed collection of sea squirt, Halocynthia roretzi (Drasche). Bull. Natl. Fish. Dev. Agency. 45:165-173. 

  22. Picton BE and CC Morrow. 2016. Encyclopedia of marine life of Britain and Ireland. http://www.habitas.org.uk/marinelife. 

  23. Pirie BJS and MV Bell. 1984. The localization of inorganic elements, particularly vanadium and sulphur, in haemolymph from the ascidians Ascidia mentula (Muller) and Ascidiella aspersa (Muller). J. Exp. Mar. Biol. Ecol. 74:187-194. 

  24. Pyo JY, TJ Lee and S Shin. 2012. Two newly recorded invasive alien ascidians (Chordata, Tunicata, Ascidiacea)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in Korea. Zootaxa 3368:211-228. 

  25. SAS Institute. 2004. SAS user's guide version 9 (2nd ed.). Cary North Carolina, SAS Institute Inc. 

  26. Schoolfield RM, PJH Sharpe and CE Magnuson. 1981. Non-linear regression of biological temperature-dependent rate models based on absolute reaction-rate theory. J. Theor. Biol. 88:719-731. 

  27. Sharpe PJH and DW DeMichele. 1977. Reaction kinetics of poikilotherm development. J. Theor. Biol. 64:649-670. 

  28. Thiyagarajan V and PY Qian. 2003. Effect of temperature, salinity and delayed attachment on development of the solitary ascidian Styela plicata (Lesueur). J. Exp. Mar. Biol. Ecol. 290:133-1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