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조영제 주입에 따른 무선신호기 사용의 유용성평가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a Wireless Signal Device for the Use of Contrast Agent in Computed Tomography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2 no.3, 2018년, pp.417 - 425  

홍기만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정묘영 (조선대학교병원 호남권역 재활병원) ,  서영현 (동신대학교 방사선학과) ,  송종남 (동신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늘어나는 CT 조영제 주입 검사만큼이나 환자의 심리적 불안감은 물론 검사자인 방사선사 또한 조영제 부작용과 혈관 외 유출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조영증강 CT 검사 시에 무선신호기를 사용하여 조영제 사용에 대한 환자와 방사선사의 불안감과 두려움 등의 심리적 불안해소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CT 검사 후에 무선신호기에 대한 환자와 방사선사의 만족도조사를 설문을 통해 실시하였다. 또한 무선신호기를 사용함으로써 CT 검사 시 발생할 수 있는 조영제 부작용에 대한 방사선사의 신속한 대처와 혈관 외 유출 예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실험대상은 2017년 8월~11월 4개월간 전남에 소재한 C대학병원을 방문하여 CT를 시행한 20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CT 검사 시행 후 연구에 동의하는 환자 90명을 설문조사하였다. 그 중 남자 57, 여자 33명이다. 방사선사는 CT실에서 근무하며 무선신호기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무선신호기를 사용 전 환자 만족도는 $6.01{\pm}0.88$, 사용 후 환자 만족도는 $8.20{\pm}1.06$으로 사용 전보다 만족도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용 후 방사선사 만족도는 $8.46{\pm}1.06$으로 환자만족도 평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두군 모두 만족도가 8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무선신호기 사용에 따른 심리적 안정 기여도는 과거 부작용 유경험자에서 $8.98{\pm}0.65$, 무경험자 $8.00{\pm}1.2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무선신호기의 호출로 방사선사의 신속한 대처를 하는데 도움을 주고 환자와 방사선사에게도 불안감으로부터 심리적 안정을 주어 검사만족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sychological anxiety of radiologists, as well as the patients, is growing with the increasing use of CT contrast agent side effects and the process of extravasation. In this study, a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regarding the wireless signal device after CT examination in patients and ra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조영증강 CT 검사 시에 무선신호기를 사용하여 조영제 사용에 대한 환자와 방사선사의 불안감과 두려움 등의 심리적 불안해소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CT 검사 후에 무선신호기에 대한 환자와 방사선사의 만족도조사를 설문을 통해 실시하였다. 또한 무선신호기를 사용함으로써 CT 검사 시 발생 할 수 있는 조영제 부작용에 대한 방사선사의 신속한 대처와 혈관 외 유출 예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조영증강 CT 검사 시에 무선신호기를 사용하여 조영제 사용에 대한 환자와 방사선사의 불안감과 두려움 등의 심리적 불안해소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CT 검사 후에 무선신호기에 대한 환자와 방사선사의 만족도조사를 설문을 통해 실시하였다. 또한 무선신호기를 사용함으로써 CT 검사 시 발생 할 수 있는 조영제 부작용에 대한 방사선사의 신속한 대처와 혈관 외 유출 예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EDA를 대처 할 수 있는 기구로 무선신호기를 찾고 그 유용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무선신호기 사용 후 환자와 방서선사의 검사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무선신호기 사용 전 환자의 검사만족도 평균은 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산화단층촬영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전산화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이하 CT)은 정확한 진단정보를 얻기 위해 요오드 물질이 함유된 수용성 제재의 조영제를 혈관으로 투여한다. 조영증강 형태에 따라 병리학적 진단의 정보를 얻고자 CT 검사시 70~80 % 정도에서 혈관성 조영제를 투여하고 있으며 그 사용량이 더욱 증가하는 추세이다.
조영제로 인한 유해반응에는 무엇이 있는가? [1] 오늘날 CT 검사에서 조영제의 역할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조영제 사용으로 인한 유해반응 문제 또한 간과할 수 없다. 조영제로 인한 유해반응의 정도는 보통 경미한 증상으로 가벼운 구토증, 두드러기, 가려움증, 얼굴이 붉어짐, 기침, 목 쉰 소리, 콧물, 반점, 일시적 호흡곤란 등이 있으며 극히 드물게 과민성 반응이나 극도의 적은 투여량에 의해서도 사망에 이를 수 있다.[2]
조영제 사용에 따른 혈관 외 유출의 원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조영제 사용에 또 다른 문제로 혈관 외 유출을 들 수 있다. 혈관 외 유출의 발생요인은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간호사 요인으로 혈관 확보 시 정확하게 되지 않은 경우와 소량의 생리식염수를 주입하는 확인 작업이 미흡할 경우를 들 수 있으며 확보한 혈관의 유지를 잘 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 둘째, 검사장비적 요인으로 CT 장비의 최첨단화로 인하여 스캔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초당 조영제 주입속도가 빨라지며, 조영제 주입량 또한 증가하게 되어 확보한 혈관의 주입속도와 주입량을 이기지 못하고, 혈관을 둘러싼 조직으로 유입되는 것이다.[12]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혈액의 삼투압과 점도에 더욱 가까우며 더 적은 양으로 조영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조영제의 개발이 요구된다.[13] 셋째, 방사선사 요인으로 검사 전 확보한 혈관의 확인 작업의 미흡을 들 수 있으며, 환자의 과거이력 조사의 미흡으로 혈관확보가 어려운 환자에게 많은 양의 조영제를 빠르게 주입하여 혈관외 유출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혈관 외 유출에 대한 방사선사의 설명이 부족하여 환자가 인지하지 못해 검사 시 혈관 외 유출이 발생했을 때 빠른 대처를 하지 못할 수 있다. 넷째, 환자요인으로 혈관 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75세 이상의 고령의 환자와 항암치료 및 방사선치료 등 다수의 이력이 있는 환자와 정기적인 투석환자의 경우 혈관 외 유출의 발생률이 높으며, 혈관이 혈전증으로 인해 막힌 경우, 환자가 정확히 확보된 혈관을 검사 전까지 유지하지 못한 경우에 혈관 외 유출의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8,14-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Imaging Technology, Textbook Computed Tomography, Chung Ku Publishing CO., pp. 269-296, 2005. 

  2. K. J. Kim, "General condition of CT contrast agent side effect," Korean Society of Computed Tomographic Technology, Vol. 4, No. 1 pp. 23-28, 2002. 

  3. M. P. Federle, P. J. Chang, S. Confer, B. Ozgun, “Frequency and effects of extravasation of ionic and nonionic CT contrast media during rapid bolus injection,” Radiology, Vol. 206, No. 3, pp. 637-640, 1988. 

  4. H. Sbitany, P. F. Koltz, C. Mays, J. A. Girotto, H. N. Langstein, “CT contrast extravasation in the upperextremity strategies for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 Vol. 8, No. 5, pp. 384-386, 2010. 

  5. G. J. Park, Y. H. Jung, S. A. Kwon, K. H. Min, “The Factors of Computed Tomography that Affect Extravasation incidence: Retrospective Study,” Korean Society of Computed Tomographic Technology, Vol. 19, No. 1, pp. 25-33, 2017. 

  6. S. J. Hong, J. T. Wong, K. J. Bloch, “Reactions to radiocontrast media,” Allergy and Asthma Proceedings, Vol. 23, No. 5, pp. 347-398, 2002. 

  7. J. E. Erffmeyer, R. L. Siegle, P. Lieberman, “Anaphylactoid reactions to radiocontrast material,”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Vol. 75, No. 3, pp. 401-410, 1985. 

  8. W. H. Bush, D. P. Swanson, “Acute reactions to intravascular contrast media: types, risk factors, recognition, and specific treatment,” American Journal of Roentgenology, Vol. 157, No. 6, pp. 1153-1161, 1991. 

  9. W. H. Shehadi, “Death following intravascular administration of contrast media,” Acta radiologica.: Diagnosis, Vol. 26, No. 4, pp. 457-518, 1985. 

  10. J. E. Slater, G. Raphael, G. B. Cutler, D. L. Loriaux, W. J. Meggs, M. Kaliner, “Recurrent anaphylaxis in menstruating women: treatment with a lutei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 agonist--a preliminary report,” Obstetrics & Gynecology, Vol. 70, No. 4, pp. 542-548, 1987. 

  11. Y. S. Jang, G. W. Lee, Y. S. Kim, D. H. Kim, “The usefulness of pretreatment for adverse reactions to contrast media high risk group,” Korean Society of Computed Tomographic Technology, Vol. 15, No. 1, pp. 201-210, 2013. 

  12. D. C. Kweon, S. H. Jeong, T. H. Kim, “The Development of Extravasation Detection Accessory System for the Preventive Contrast Media Extravasation in the Computed Tomography: A Preliminary Report,” Korean Journal of Medical Physics, Vol. 17, No. 1, pp. 32-39, 2006. 

  13. D. C. Kweon, T. H. Kim, S. H. Yang, “Subcutaneous injection contrast media extravasation: 3D CT appearance,” Korean Journal of Medical Physics, Vol. 16, No. 1, pp. 47-51, 2005. 

  14. W. Yoon, J. J. Seo, J. K. Kim, “Contrast enhancement and contrast extravasation on computed tomography after intra-arterial thrombolysis in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stroke, Vol. 35, No. 4, pp. 876-957, 2004. 

  15. C. W. Ryu, S. J. Kim, D. H. Lee, “Extravasation of intracranial aneurysm during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mimicking a blood vessel,”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Tomography, Vol. 29, No. 5, pp. 677-686,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