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패션창작스튜디오의 현황과 발전에 대한 연구
The current situation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Fashion Creative Studios in Korea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6 no.3, 2018년, pp.265 - 281  

김희영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하지수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overnment policy supporting the fashion industry in Korea has focused on the future development of rising fashion designer's brands, and as a part of this support, several Fashion Creative Studios are presently oper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aning of these facilities and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패션창착스튜디오는 예술가들에게 작업실 제공을 목적으로 시작되었던 ‘창작스튜디오’를 패션분야에 적용한 시설로서 일정 기간 동안 가능성 있는 신진디자이너가 집중적으로 브랜드에 전념할 수 있도록 무상으로 지원하고 있어 관심을 받고 있고, 혜택을 받은 몇몇 디자이너브랜드들이 성공적인 결과를 보이면서 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이와 같은 시설에 대한 이해와 운영 형태 및 지원 내용의 검토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본 연구는 패션창작스튜디오의 개념을 고찰하고 현재 운영 중인 사례 분석과 해외 유사 시설을 참고하여 효과적인 지원을 위한 활용 방안 모색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들이 설정되었다.
  • 본 연구는 국내 패션산업 지원 정책 중 하나인 패션창작스튜디오의 개념적인 이해 및 현황 조사와 함께 지속적인 발전 방향 모색을 위한 관련 문헌 연구와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패션창작스튜디오는 전반적인 브랜드 인큐베이팅 목적의 새로운 정책적 시설로서 선행하는 예술분야 지원 시설인 창작스튜디오에 대한 여러 연구와 함께 패션창작스튜디오에 대한 최근 학술 논문을 포함하여 신빙성 높은 각종 보고서 및 다각도의 문헌고찰을 위한 온라인 관련기사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패션산업의 정책적 지원 시설 중 하나인 패션창작스튜디오의 개념을 이해하며, 그 운영현황과 문제점을 검토하고 해외 여러 유사 시설들을 참고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한 구체적인 방안을 고찰하였다.
  • 이와 같은 과정은 Giorgi(1985/2004)의 4단계 분석방법인 전체 인식, 연구자의 학문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 의미단위 구분, 의미단위의 학문적 용어 전환, 변형된 의미단위들을 구조로 통합하는 과정을 통해 핵심 주제로 접근하는 분석방법에 기초를 두고(Kim & Cho, 2017), 개선이 필요한 제한점의 발견과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의 탐색적인 고찰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작스튜디오에 대한 정의를 종합하여 내린 정의는 무엇인가? 이상에서 살펴볼 수 있는 창작스튜디오에 대한 정의를 종합해보면, 예술과 관련한 창의적인 활동을 돕는 시설로서 특정 기간 일시적으로 집중하여 작업할 수 있는 새로운 환경의 공간과 시간을 제공하며, 예술가들 간의 문화적 교환을 위한 커뮤니티 제공으로 새로운 예술적 창조를 유도하는 지원모델을 의미한다. 최근 창작스튜디오는 단순히 작업실 제공의 기능을 넘어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체계적인 운영을 통해 전반적인 예술창작활동에의 기여를 목적으로 두고 있으며, 특정 분야로 세분화되거나 여러 분야의 연계시도 등 보다 복잡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신생의 디자이너브랜드에게 각종 비즈니스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이 노력의 일환으로 신생의 디자이너브랜드에게 공간 제공으로 창작활동을 돕고, 국내외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각종 비즈니스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패션창작스튜디오’가 운영되고 있다. 패션창착스튜디오는 예술가들에게 작업실 제공을 목적으로 시작되었던 ‘창작스튜디오’를 패션분야에 적용한 시설로서 일정 기간 동안 가능성 있는 신진디자이너가 집중적으로 브랜드에 전념할 수 있도록 무상으로 지원하고 있어 관심을 받고 있고, 혜택을 받은 몇몇 디자이너브랜드들이 성공적인 결과를 보이면서 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소규모 소자본의 디자이너브랜드가 사업 운영방향과 성공이 디자이너 개인의 시장에 대한 태도나 인식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개인 디자이너 역량을 기반으로 하는 소규모 소자본의 디자이너브랜드는 상품기획, 생산관리, 유통과 마케팅을 포함하여 전문적인 사업경영에 대한 전반적인 어려움으로 지속적으로 브랜드를 발전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모든 의사결정이 대표 디자이너 1인에게 집중되며 업무의 중앙화 수준이 높기 때문에 사업 운영방향과 성공이 디자이너 개인의 시장에 대한 태도나 인식에 따라 큰 영향을 받게 된다(Yun & Choo, 2015). 따라서 현재 디자이너브랜드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은 신진디자이너들이 사업을 운용하는데 적절한 여건 제공을 위해 물리적, 경제적 지원을 포함하여 마케팅, 홍보, 교육 및 컨설팅 등 여러 측면에서 고민되고 있으며, 글로벌 브랜드 육성과 문화콘텐츠 스타트 업 확대라는 보다 다양한 목적을 갖고 각 정부부처와 진흥기관, 국가연구원, 패션관련 단체들이 협업하여 진행하고 있다(Oh & Na,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lliance of Artists Communities [AAC]. (n.d.). Residencies. Retrieved March 9, 2018, from http://www.artistcommunities.org/residencies 

  2. Busan Fashion Creative Studio [BFCS]. (n.d.). 입주안내 [Occupancy guide]. Retrieved March 9, 2018, from http://www.bfcs.kr/sub/sub01_02.php 

  3. Chong, I.-K., & Kim, D.-J. (2009).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local community through the use of cultural art faciliti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5(1), 81-88. 

  4. Craft Village. (n.d.a). Our story. Retrieved March 9, 2018, from http://www.craftvillage.org.in/our-story.html 

  5. Craft Village. (n.d.b). Upcoming residency. Retrieved March 9, 2018, from http://www.craftvillage.org.in/our-story.html 

  6. Creswell, J. W. (2015).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3rd ed.; H. S. Cho, S. W. Jeong, J. S. Kim, & J. S. Kwon, Trans.). Seoul: Hakjisa Publisher. (Original work published 2013) 

  7. Fabric Workshop and Museum [FWM]. (n.d.). About the artist-in-residence program. Retrieved March 9, 2018, from http://www.fabricworkshopandmuseum.org/Artists/AboutArtistinResidence.aspx 

  8. Giorgi, A. (2004).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K. L. Shin, Y. G. Jang, I. S. Park, M. Y. Kim, & S. E. Jung, Trans). Seoul: Hyunmunsa. (Original work published 1985) 

  9. Gyeonggi Fashion Creative Studio [GFCS]. (n.d.). GFCS introduction. Retrieved March 9, 2018, from http://www.gfcstudio.org/sub01.asp?langK 

  10. Ji, H. K., & Kim, B. H. (2017).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management of fashion start-up companies by the rising fashion design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7(2), 131-146. doi:10.7233/jksc.2017.67.2.131 

  11. Jung, J. W. (2010).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 of designer fashion industry and government support policy. Journal of Fashion Design, 10(1), 93-106. 

  12. Jung, J. W. (2016). A study on Korean designer fashion industry according to manufacture and distribution. Journal of Fashion Design, 16(2), 87-98. doi:10.18652/2016.16.2.6 

  13. Kim, H. E. (2016). An investigation into the nurturing strategy of Korean young designers in the international market expansion: Based on London's young designers' support program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8(3), 272-281. doi: 10.5805/SFTI.2016.18.3.272 

  14. Kim, T. M., & Cho, C. H. (2017). A qualitative study on the clothing behavior of visually impaired peopl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5(1), 75-87. doi:10.7741/rjcc.2017.25.1.075 

  15. Kim, Y. J. (2013). A Study for current status research and support plan of the 'Artist Studio'. Seoul: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16. Kim, Y. J., Kang, M. S., & Kim, S.-W. (2012). A study on obstacle factors for new fashion designer busines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7(3), 197-221. 

  17. Ko, H. S., Lee, J. Y., & Lee, Y. H. (2017). Fashion trend acceptance and fabric planning in Dongdaemoon fabric market.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5(6), 773-786. doi:10.29049/rjcc.2017.25.6.773 

  18.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KOCCA]. (2017a). 2016 패션연구보고서: 패션사업 성과조사?분석 [2016 Fashion research report: Fashion industry policy project performance survey?analysis] (KOCCA 16-40). Naju: Author. 

  19.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KOCCA]. (2017b). 2017년 디자이너패션산업 실태조사 [2017 Actual condition survey of the designer fashion industry] (KOCCA 17-18). Naju: Author. 

  20.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Fashion Industry [KRIFI]. (2017, November 8). 2018 크리에이티브 디자인 스튜디오 신규 입주 디자이너(8기) 모집 공고 [Recruitment announcement of the 2018 Creative Design Studio resident designer]. Retrieved March 9, 2018, from http://www.krifi.re.kr/board/view.asp?idx7662&gotoPage1&board1&srch_Flag&srch_Word 

  21. Kuopio Academy of Design. (n.d.). Design Kuopio residency. Retrieved March 9, 2018, from http://www.designkuopio.fi/residency/index.html 

  22. Lee, E. O. (2005). Main fashion brands subject to investigation by the textile firms for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of new textil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3(5), 844-855. 

  23. Lee, H. H. (2015). Designer support plan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Fashi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12, 2-9. 

  24. Lee, Y. K. (2009). A study on the strategies to expand overseas business for the Korean fashion industry. Seoul: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25. Lim, B. A., Park, J. H., & Lee, E. J. (2016). Effect of Korean fashion design incubation policies on new fashion designer's brand management.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4(2), 132-149. doi:10.7741/rjcc.2016.24.2.132 

  26. London College of Fashion [LCF]. (n.d.a). About us. Retrieved March 9, 2018, from http://www.fashionspacegallery.com/about 

  27. London College of Fashion [LCF]. (n.d.b). Design residency. Retrieved March 9, 2018 form http://www.fashionspacegallery.com/residency 

  28. Oh, S. J., & Nah, K. (2015).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policy for the startup of rising fashion designer: Focused on the fashion policy between U.K and South Korea.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34, 63-73. 

  29. Otis College of Art and Design. (n.d.). Fashion design residency. Retrieved March 9, 2018, from https://www.otis.edu/fashion-design-residency 

  30. QUT Creative Enterprise Australia. (n.d.). Fashion360 accelerator. Retrieved March 9, 2018, from http://qutcea.com/fashion360 

  31. Res Artis. (n.d.). Definition of artist residencies. Retrieved March 9, 2018, from http://www.resartis.org/en/residencies/about_residencies/definition_of_artist_residencies/ 

  32. Seoul Fashion Creative Studio [SFCS]. (n.d.). Programs. Retrieved March 9, 2018, from http://www.sfcs.seoul.kr/about_ko.php 

  33. Stainback, S. B., & Stainback, W. C. (2002). Understanding &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B. H. Kim, Trans.). Paju: Korean Studies Information. (Original work published 1988) 

  34. Textile Art Center [TAC]. (n.d.). Artists in residence program. Retrieved March 9, 2018, from http://textileartscenter.com/index.php?routestudio/studio&information_id1 

  35. Toronto Fashion Incubator [TFI]. (n.d.). Our story. Retrieved March 9, 2018, from https://fashionincubator.com/pages/our-story 

  36. Yang, G. Y., & Kim, S. W. (2004). 미술창작스튜디오 운영활성화 방안 [The activation plan for operating of the Arts Creative Studio]. Seoul: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37. Yun, S. J., & Choo, H. J. (2015). A qualitative study on market orientation of new designer br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9(6), 838-851. doi:10.5850/JKSCT.2015.39.6.8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