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회성 호흡훈련 피드백이 중년여성의 HRV-자율신경시스템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cute Respiratory Training Feedback upon a Change on HRV-Autonomic Nervous System in Middle-aged Women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5 no.2, 2018년, pp.445 - 453  

김지선 (중원대학교 스포츠산업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회성 호흡훈련 피드백이 중년여성의 HRV-자율신경시스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중년여성(40-60세) 총 24명을 호흡군 12명, 통제군 12명으로 무선할당하여 일회성 호흡 훈련을 실시하였다. 호흡군의 피드백 훈련은 총 15분 동안 실시되었으며, 10분 간 전문가 지도에 따른 호흡 자각 훈련 후 5분 간 자율호흡 훈련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20.0으로 반복측정 변량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년여성들은 일회성 호흡 훈련 후 SDNN, RMSSD, LF, HF가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호흡군이 통제군보다 SDNN, RMSSD, LF, HF이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Mean HR과 LF/HF는 집단과 시기의 주효과, 집단과 시기의 상호작용효과 모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일회성 호흡훈련 피드백은 중년여성들의 SDNN, RMSSD, 교감활성, 부교감활성에 효과적이며, 이러한 호흡 훈련 프로그램은 자율신경계 균형 능력을 향상시켜 중년여성들의 스트레스 완화 및 자율신경실조증을 회복할 수 있는 운동중재의 효용 가치를 기대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acute respiratory training feedback upon a change on HRV-Autonomic nervous system in middle-aged women. The research subjects were totally 24 middle-aged women(40-60 years old), were randomly allocated 12 people to the respiratory training grou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회성 호흡 훈련에 따른 자율신경계 시스템 변화의 관련성을 비침습적 심 박변이도(HRV)를 분석하여 중년여성의 생리적 스트레스 반응을 완화할 수 있는 호흡 조절 피드백을 통해 자율신경 균형을 회복할 수 있는 운동 중재 효과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흡 훈련 프로그램은 중년여성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중년여성들은 일회성 호흡 훈련 후 SDNN, RMSSD, LF, HF가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호흡군이 통제군보다 SDNN, RMSSD, LF, HF이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Mean HR과 LF/HF는 집단과 시기의 주효과, 집단과 시기의 상호작용효과 모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일회성 호흡훈련 피드백은 중년여성들의 SDNN, RMSSD, 교감활성, 부교감활성에 효과적이며, 이러한 호흡 훈련 프로그램은 자율신경계 균형 능력을 향상시켜 중년여성들의 스트레스 완화 및 자율신경실조증을 회복할 수 있는 운동중재의 효용 가치를 기대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중년기의 여성이 가질 수 있는 자율신경시스템의 변화는 무엇인가? 이러한 인체 자율신경시스템(ANS, autonomic nervous system)은 교감신경( SNS, sympathetic nervous system)과 부교감신경(PNS,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의 상반된 작용을 통해 체내 항상성 유지에 중추적 역할을 하게 되는데[1], 현대인들이 일상생활에서 겪게 되는 지속적 스트레스와 회복되지 않은 피로감은 교감신경 과활성 및 부교감신경 활동저하 등의 자율신경시스템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체내 항상성 유지 기능의 저하로 자율신경실조증(Autonomicfailur)의 다양한 만성질환을 유발시킨다. 특히 중년기의 여성은 노화로 인한 생리적 기능 저하가 급격히 나타나고 이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장기간 회복되지 못한 생리적 스트레스 반응이 다양한 질환으로 이환되면서 자율신경 불균형의 기전을 자각하지 못하고 만성질환 상태의 자율신경실조증 위험도가 높아지게 된다.
HRV 감소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는 심박동간의 미세한 변화로부터 자율신경계의 체내 항상성 조절 메커니즘을 추정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데, 항상성 조절능력이 건강한 상태에서는 체온, 혈압, 혈중 산소포화도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빠른 시간 내에 생리적인 균형 상태에 이를 수 있지만 질병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생리적인 균형 상태를 조절할 수 없어 건강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HRV 감소의 의미는 심박동의 역동적 변화의 복잡성이 감소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체내 적응 능력이 저하되었음을 의미하므로 조절 능력 향상에 적극적인 회복 관리가 필요한 부분이라 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R. E. Klabunde, Cardiovascular Physiology Concepts 3th edition,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 

  2. I. S. Jeong, "Effect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using Biofeedback on Stress, Immune Response and Climacteric Symptoms of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4, No.2 pp. 213-224, (2004). 

  3. S. S. Satyananda, Asana Pranayama Mudra Bandha 4th edition, Bihar: Yoga Publications Trust, (2008). 

  4. S. j. Han, The effects of a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f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atients, Graduate School of Catholic University of Seoul, (2012). 

  5. M. H. Lee, Effects of the Neck Stabilizing Exercise Combined with the Respiratory Reeducation Exercise on Breathing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Science of Graduate School of Daegu University, (2014). 

  6. K. C. Seo, The Effect of Pulmonary Function and Respiratory Muscle Activity in the Stroke Patients after Complex Breathing Exercis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Science of Graduate School of Daegu University, (2012). 

  7. J. H. Lee, The Effect of Pulmonary Function in the Stroke Patients after feedback breathing exercis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of Graduate School of Rehabilitation Science Daegu University, (2008). 

  8. Task Force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and The North American Society of Pacing and Electrophysiology, "Heart rate variability: Standards of measurement, physiological interpretation and clinical use", Circulation, Vol.93, pp.1043-1065, (1996). 

  9. J. S. Kim, "The Effects of Breathing Exercises on the Change of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in Female Adult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Vol.30, No.2 pp. 295-309, (2016). 

  10. R. E. Kleiger, P. K. Stein, M. S. Bosneer, J. N. Rottman, "Time domain measurements of heart rate variability", Cardiology Clinics, Vol.10, pp. 487-498, (1992). 

  11. H. Tsuji, F. J. Venditti, E. S. Manders, J. C. Evans, "Reduced Heart Rate Variability and Mortality Risk in an Elderly Cohort: The Framingham Heart Study", Circulation, Vol.90, No.2 pp. 878-883, (1994). 

  12. P. T. Farinatti, P. P. Soares, W. D. Monteiro, A. F. Duarte, L. A. Castro, "Cardiovascular responses to passive static flexibility exercises are influenced by the stretched muscle mass and the Valsalva maneuver", Clinics, Vol.66, No.3 pp. 459-464, (2011). 

  13. J. Y. Shim, Y. J. Im, "Study of Heart Rate Variability Characteristics and Mood States of Gigong Trainers by Training Period", Kukhak Institute, Vol.12, pp. 173-216, (2012). 

  14. C. Bouchard, T. Rankinen, "Individual differences in response to regular physical activity",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33 No.6 pp. 446-456, (2001). 

  15. J. H. Yoon, The Effects of Acute Flexibility Exercise on Arterial Stiffness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in Middle Aged Women, Department of Sports Science of Graduate School of University of Seoul, (2016). 

  16. D. W. White, P. B. Raven, "Autonomic neural control of heart rate during dynamic exercise: Revisited", The Journal of physiology, Vol.592, No.12 pp. 2491-2500,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