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산재 피해 저감을 위한 상수도시설 대응매뉴얼 개선방안
Improvement Manual for Waterworks Facilities to Reduce the Damage of Volcanic Ash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8 no.2, 2018년, pp.267 - 276  

윤형욱 ((주)에스디엠이앤씨 사업지원팀) ,  라다혜 ((주)에스디엠이앤씨 사업지원팀) ,  이경빈 (에스제이엠앤씨(주) 연구사업팀) ,  김민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  정일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산 폭발 시 발생되는 화산재는 수백 km 떨어진 광대한 지역으로 확산되며, 화산재가 지표수에 유입될 경우 상수도 시설에 피해를 받게 된다. 상수도시설의 경우 우리 국민들이 먹는 식수와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시설로서 화산재 피해가 발생되면 수질오염 등의 피해발생으로 상수도 공급 중단 시 사회적 혼란이 야기된다. 그러나 재난관리 매뉴얼을 살펴본 결과 화산재 피해 에 대응하기 위한 상수도시설 매뉴얼 수립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수립된 화산 및 수질오염 관련 매뉴얼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신속한 상황판단 및 대응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수도시설 매뉴얼(안)의 적용범위, 재난유형, 관련기관 주요 임무 및 체계, 재난유형별 위기상황 시나리오 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olcanic ash from volcanic eruptions spreads to vast areas hundreds of kilometers away, and when volcanic ash flows into surface waters, it will be damaged by water supply. In case of water supply facilities, it provides to people drinking water and domestic water, be consumed by the people cause 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직접적인 화산재 위험지역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인식 때문에 화산 재난과 관련한 대응매뉴얼은 종합적인 재난관리 대응방안을 다루고 있으며, 사회 인프라 시설별 피해 저감을 위한 매뉴얼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화산재 낙하에 의한 상수도시설의 피해저감 및 최소화, 신속한 복구를 위한 대응매뉴얼을 개선하여 발생 피해 및 국민 불편의 최소화와 사회 안정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 번째, 상수도시설 취약성 및 피해사례를 분석하여 상수도시설의 화산재 피해원인 및 관리기준을 도출하고, 두 번째, 화산재난 및 수질오염 대응 매뉴얼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 그러나 화산 폭발 시 발생되는 화산재로 인한 수질오염에 대한 상수도시설 대응 매뉴얼이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수립된 화산및 수질오염 관련 매뉴얼을 분석하여, 화산재난 분야에서 명확하게 정립되지 못한 화산재 피해 저감을 위한 상수도시설 대응 매뉴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현재 상수도시설과 관련한 매뉴얼에서는 PH, 탁도, 잔류 염소 등의 관리기준치를 제시하여 유류오염 및 어류폐사에 대하여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산재 퇴적량 관리기준을 제시하여 현장 대응역량을 높이고자 한다.
  • 본 매뉴얼에서는 위기경보 수준에 따라 위기상황을 제시하고 환경부의 임무와 역할을 규정하였다. 또한 유류 및 특정수질 유해물질, 어류 폐사의 상황별 위기대응 시나리오에 따른 사고 대응방법을 제시하여, 수질오염 현장 대응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화산재 및 화산가스 등의 확산에 따른 상수도시설 대응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임무 및 역할이 미비하며, 위기대응 시나리오가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 소방방재청(현 행정안전부)에서는 백두산 화산 폭발의 위험성이 대두되면서 국내 ‧ 외 대형 화산 폭발 시 발생되는 화산재 및 화산가스 등의 화산분출물과 화산지진 영향에 따른 사회 ‧ 경제 ‧ 환경적 영향에 대비하여 「대형 화산폭발위기관리 표준매뉴얼」를 2012년에 제정하였다. 본 매뉴얼에서는 범정부적 위기관리 체계에 따른 대응 기관별 역할 및 활동방향을 규정함으로서 피해경감 및 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산재가 지표수에 유입될 경우에 어떤 시설이 피해를 받게 되는가? 화산 폭발 시 발생되는 화산재는 수백 km 떨어진 광대한 지역으로 확산되며, 화산재가 지표수에 유입될 경우 상수도 시설에 피해를 받게 된다. 상수도시설의 경우 우리 국민들이 먹는 식수와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시설로서 화산재 피해가 발생되면 수질오염 등의 피해발생으로 상수도 공급 중단 시 사회적 혼란이 야기된다.
상수도시설은 어떤 시설인가? 화산 폭발 시 발생되는 화산재는 수백 km 떨어진 광대한 지역으로 확산되며, 화산재가 지표수에 유입될 경우 상수도 시설에 피해를 받게 된다. 상수도시설의 경우 우리 국민들이 먹는 식수와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시설로서 화산재 피해가 발생되면 수질오염 등의 피해발생으로 상수도 공급 중단 시 사회적 혼란이 야기된다. 그러나 재난관리 매뉴얼을 살펴본 결과 화산재 피해 에 대응하기 위한 상수도시설 매뉴얼 수립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산재가 지표수에 유입되어 상수도시설을 오염시킨 예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화산재가 지표수에 유입될 경우 수중의 탁도와 산도가 변화되고 불소와 화학성분에 의한 독성 증가 등의 영향을 받으며 단기간 동안 수체의 물리화학적 요소를 변화시켜 양질의 용수 공급에 차질을 일으켜 상수도 공급 중단이 발생되어 우리 국민들이 먹는 식수와 생활용수를 공급받는 지역주민들의 생활안전에 위협이 발생될 수 있다. 1995년 뉴질랜드에서 발생한 Ruapehu 화산폭발은 확산된 화산재로 인하여 인근 지역 수자원의 영향을 미쳐 상수도시설을 오염시켰고(Johnston, 1997a; Johnston et al., 2000), 1980년 미국 세인트헬렌스 화산 폭발로 인해 바릴로체 지역에 30 mm의 화산재가 낙하하여 식수 공급원의 하천과 호수에 부분적인 음용수 기준을 초과하였다(Wilson et al.,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long, R., 1984, Volcanic Hazards: A Sourcebook on the Effects of Eruptions. Academic Press, Australia. pp. 1-424 

  2. Jee, Y.K., Lee, G.B, Choi, J.R., Kim, J.T., Assessment of water quality in paldang-dam surface area through the estimation of volcanic ash toxic components from Mt. Baekdu.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7(3), 237-2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Johnston, D.M., 1997a, Physical and social impacts of past and future volcanic eruptions in New Zealand, Unpublished Ph.D. thesis, University of Canterbury, Christchurch. pp. 1-288 

  4. Johnston, D.M., 1997b, The impacts of recent falls of volcanic ash on public utilities in two communitie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stitute of Geological Nuclear Sciences Science Report. 

  5. Johnston, D.M., Houghton, B.F., Neall, V.E., Ronan, K.R., Paton, D., 2000, Impacts of the 1945 and 1995-1996 Ruapehu eruptions, New Zealand : an example of increasing societal vulnerability,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112, pp. 720-726. 

  6. Johnston, D., Stewart, C., Leonard, G.S., Hoverd, J., Thordarsson, T., Cronin S., 2004. Impacts of volcanic ash on water supplies in Auckland: Part I, Institute of Geological & Nuclear Sciences science report 2004/25,83 p. 

  7. Kim, H.S., 2016, Present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groundwater sources and application of underground dam,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9(1), 8-28. 

  8.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4, Preliminary study on environmental values of ground-water resources in Korea. pp. 1-35 

  9.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Water Pollution Accident Prevention and Control Manual, pp. 1-176. 

  10. MOE (Ministry of Environment0, 2014, Large-scale Water Pollution Crisis Response Practical Manual, pp. 1-488. 

  11.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Explanation of application plan for the national water supply modernization project and the 2017 government assistance project, pp. 1-23. 

  12.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Large Volcano Explosion Crisis Response Practical Manual, pp. 1-76. 

  13. MSF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2010, 2010 Macroeconomic Stability Report (in Korean). 

  14. NEMA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5, Development of Mitigation Measure and Risk Management Technology for Volcanic Disaster from Ash Dispersion, pp. 1-309. 

  15. NEMA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6, Large Volcano Explosion Crisis Management Standard Manual. 

  16.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6, Large Volcano Explosion Crisis Management Standard Manual, pp. 1-101. 

  17. NIMR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2011, Volcano Eruption Scenario of Mt. Baek-du.(in Korean). 

  18. Smithsonian Institution, 2000, Copahue, Bulletin of the Global Volcanism Network, 25(6), 7-10. 

  19. U.S. Geological Survey, 1996, Effects of the Eruptions of Mount St. Helens on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Water, Ground Water, and Precipitation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U.S. Geological Survey Water-Supply Paper 2438. 

  20. Wilson, T., Stewart, C., Bickerton, H., Baxter, P., Outes, V., Villarosa, G., Rovere, E., 2013, Impacts of the June 2011 Puyehue-Cordon Caulle volcanic complex eruption on urban infrastructure, agriculture and public health, Geological & Nuclear Sciences, pp. 1-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