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령화와 조직 혁신: 비선형성과 연령 다양성의 조절효과
Aging Workforce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Curvilinearity and the Moderating Role of Age Diversit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6, 2018년, pp.440 - 446  

박지성 (충남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고령인력이 조직 혁신에 미치는 효과와 연령 다양성이 이러한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지식경영 기반 관점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기업 특유적 지식과 조직 내외부 사회적 연결망 측면에서 고령인력이 일정 정도 조직 혁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반면, 고령인력 비중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게 되면 새로운 지식 창출관점에서 한계를 가질 수 있으므로 조직 혁신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보다는 부정적 효과가 보다 강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에 더하여, 고령인력과 조직 혁신 간 비선형적 관계를 조절하는 요인으로 연령 다양성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본 연구는 새로운 지식의 창출이라는 측면에서 연령 다양성이 고령인력과 조직 혁신 간 비선형 관계를 조절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실증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측한대로 고령인력과 조직 혁신은 역 U자 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연령 다양성은 이러한 역 U자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와 실증 결과는 고령인력이 조직 혁신에 미치는 다양한 효과들을 보다 다각적으로 검증하고 이러한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보다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contrasting effects of an aging workforce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the moderating role of age diversity. By utilizing a knowledge-based view, this study asserts that an aging workforce can contribute to organizational innovation to some degree due to accumulated fir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지식경영 기반 관점을 중심으로 고령인력이 조직 혁신에 미치는 두 가지 상반된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식경영 기반 관점은 지식의 창출, 공유, 통합에 이르는 전 과정에 조직의 혁신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통합적으로 다루므로 고령인력이 지식의 창출과 공유, 통합 측면에서는 어떠한 이점과 한계점을 가질 수 있는지를 보다 다각화해서 살펴볼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조직 내 고령인력이 조직 혁신에 미치는 비선형적 효과와 더불어, 인력 다양성이 고령인력과 조직 혁신 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증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통념과는 달리 고령화 정도는 조직 혁신에 양날의 칼인 것으로 나타났다.
  • 실무적 측면에서 본 연구가 가진 함의를 살펴보면, 고령인력이 조직 혁신에 부정적이라는 편견 하에 단순히 나이를 기준으로 해고하는 현실에서 고령인력이 가진 기업 특유의 지식과 경험은 일정 부분 조직의 혁신에 오히려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상기함으로써 경영자와 인사담당자들에게 이들이 가진 지식과 경험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방향성을 고민하는데 있어 실질적인 방안으로 인력 다양성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향후 조직이 인력의 구성을 어떻게 가져가야 지속적인 조직 혁신을 이룰 수 있는지를 제안했다는 점 역시 본 연구가 가진 함의라고 할 수 있다.
  • 반면, 다양한 세대 군이 같이 업무를 수행할 경우 세대 간 갈등이 발생하지만, 정보적 다양성 측면에서는 새로운 아이디어 제시와 해결방안 제안이라는 이점을 준다고 나타났다. 이처럼 연령 다양성은 상반된 효과를 보일 수 있으나, 본 연구는 지식기반 관점을 바탕으로 기존 지식의 축적과 새로운 지식의 흐름이라는 측면에서 이론적 기반을 가지고 있으므로, 연령 다양성이 갖는 부정적 효과보다는 새로운 관점과 시각이라는 긍정적 효과에 집중하여 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앞서 연령 다양성 관련 논의에서도 보듯이, 이질적인 집단은 동질적 집단에 비해 보다 다양한 지식과 경험에 기반하여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16].

가설 설정

  • 가설1: 고령화와 조직 혁신은 역 U자 관계가 있을 것이다.
  • 가설2: 인력 다양성은 고령화와 조직 혁신 간 역 U 자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 98개 실증 연구를 메타 분석한 또 다른 연구에서는 고령화와 혁신 관련 행동들을 개인 수준에서 살펴보았는데, 이 연구에서는 고령화와 혁신 관련 행동들이 비선형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15]. 앞서 살펴본 이론적 논의와 선행 실증연구들의 결과에 근거할 때, 고령화와 조직 혁신은 역 U자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한다.
  • 선행연구들에서도 이러한 주장들이 실증되었는데, 다양한 팀은 보다 창의적이며, 보다 다양한 전략적 아이디어를 생산해냈으며 조직 변화에 보다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접근법을 다각적으로 모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18]. 이러한 측면에서 연령 다양성은 고령인력과 조직 혁신 간 비선형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 혁신이란 무엇인가? 지식경영 관점(knowledge-based view)에 따르면, 조직 혁신은 개인들 혹은 집단의 유무형의 지식들이 제품이나 서비스로 변환되면서 창출되는 조직 지식의 발현이다[4]. 이러한 관점은 조직이 지속적으로 제품이나 서비스 상의 혁신을 이루기 위해서는 조직 내에서 지식의 창출, 전파, 통합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고령화가 조직 구성원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새로운 정보에 대한 처리와 추론 능력(Gf)은 감퇴되지만, 인생의 경험에 기반한 일반적인 지식(Gc)은 보다 풍성해지고 깊어진다. 이로 인해 고령화는 운영 기억, 인지 속도, 새로운 정보에 대한 처리능력은 감소하지만, 지혜와 혜안, 경험 다양성은 높아지게 된다[13,14].
고령화 정도에 따라 조직 혁신이 달라질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반면, 또 다른 연구들에서는 조직 특유의 지식과 기술을 축적하고 조직 내외부에서 다양한 사회적 연결망을 구축하면서 고령인력들은 오히려 조직 혁신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9,10]. 이러한 상충되는 결과들은 고령인력들이 지식의 축적이라는 측면에서는 조직 혁신에 긍정적인 효과를, 지식의 창출이라는 측면에서는 조직 혁신에 부정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이러한 두 가지 상충된 효과는 고령화 정도에 따라 조직 혁신이 달라질 수 있다는 비선형 가능성을 제기한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E. Yeatts, W. E. Folts, J. D. Knapp, "Older Workers' Adaptation to a Changing Workplace: Employment Issues for the 21st Century", Educational Gerontology, vol. 25, no. 4, pp. 331-347, 1999. DOI: https://doi.org/10.1080/036012799267774 

  2. M. J. Ashworth, "Preserving Knowledge Legacies: Workforce Aging, Turnover and Human Resource Issues in the US Electric Power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 17, no. 9, pp. 1659-665, 1688. DOI: https://doi.org/10.1080/09585190600878600 

  3. R. A. Posthuma, M. A. Campion, "Age Stereotypes in the Workplace: Common Stereotypes, Moderator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Journal of Management, vol. 35, no. 1, pp. 158-188, 2009. DOI: https://doi.org/10.1177/0149206308318617 

  4. I. Nonaka, H. Takeuchi "The Knowledge-Creating Company", Harvard Business Review, vol. 85, no. 7/8, pp. 162-171, 2007. 

  5. I. Nonaka, "A Dynamic Theory of Organizational Knowledge Creation", Organization Science, vol. 5, no. 1, pp. 14-37, 1994. DOI: https://doi.org/10.1287/orsc.5.1.14 

  6. T. W. Ng, D. C. Feldman, "Evaluating Six Common Stereotypes about Older Workers with Meta-Analytical Data", Personnel Psychology, vol. 65, no. 4, pp. 821-858, 2012. DOI: https://doi.org/10.1111/peps.12003 

  7. K. H. Frosch "Workforce Age and Innovation: A Literatu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Review, vol. 13, no. 4, pp. 414-430, 2011. DOI: https://doi.org/10.1111/j.1468-2370.2011.00298.x 

  8. C. Binnewies, S. Ohly, C. Niessen, "Age and Creativity at Work: The Interplay between Job Resources, Age and Idea Creativity",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 23, no. 4, pp. 438-457, 2008. DOI: https://doi.org/10.1108/02683940810869042 

  9. B. Verworn, C. Hipp, "Does the Ageing Workforce Hamper the Innovativeness of Firms? (No) Evidence from Germany",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Management, vol. 9, no. 2, pp. 180-197, 2009. DOI: https://doi.org/10.1504/IJHRDM.2009.023452 

  10. U. Backes-Gellner, M. R. Schneider, S. Veen, "Effect of Workforce Age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Conceptual Framework and Case Study Evidence", Organization Studies, vol. 32, no. 8, pp. 1103-1121, 2011. DOI: https://doi.org/10.1177/0170840611416746 

  11. R. M. Kanter, "Why a Thousand Flowers Bloom: Structural, Collective, and Social Conditions for Innovation in Organization", In B. M. Staw & L. L. Cummings (Ed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 10, pp. 169-211, Greenwich, CT: JAI Press, 1988. 

  12. T. M. Amabile, "How to Kill Creativity", Harvard Business Review, vol. 76, no. 5, pp. 634-665, 1998. 

  13. R. Kanfer, P. L. Ackerman, "Aging, Adult Development, and Work Motiv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29, no. 3, pp. 440-458, 2004. DOI: https://doi.org/10.2307/20159053 

  14. M. E. Beier, P. L. Ackerman, "Age, Ability, and the Role of Prior Knowledge on the Acquisition of New Domain Knowledge: Promising Results in a Real-World Learning Environment", Psychology and Aging, vol. 20, no. 2, pp. 341-355, 2005. DOI: https://doi.org/10.1037/0882-7974.20.2.341 

  15. T. W. Ng, D. C. Feldman, "A Meta-Analysis of Relationships of Age and Tenure with Innovation-related Behaviour",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86, no. 4, pp. 585-616, 2013. DOI: https://doi.org/10.1111/joop.12031 

  16. K. Y. Williams, C. A. O'Reilly, "Demography and Diversity in Organizations: A Review of 40 Years of Research", In B. M. Staw & L. L. Cummings (Ed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 20, pp. 77-140, Greenwich, CT: JAI Press. 

  17. K. A. Jehn, G. B. Northcraft, M. A. Neale, "Why Differences Make a Difference: A Field Study of Diversity, Conflict, and Performance in Workgroups ",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44, no. 4, pp. 741-763, 1999. DOI: https://doi.org/10.2307/2667054 

  18. F. J. Milken, L. L. Martins, "Searching for Common Threads: Understanding the Multiple Effects of Diversity in Organizational Group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21, no. 2, pp. 402-433, 1996. DOI: https://doi.org/10.2307/258667 

  19. G. Ahuja, R. Katila, "Where do Resources Come From? The Role of Idiosyncratic Situation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25, no. 8-9, pp. 887-907, 2004. DOI: https://doi.org/10.1002/smj.401 

  20. A. Nerkar, "Old is Gold? The Value of Temporal Exploration in the Creation of New Knowledge", Management Science, vol. 36, no. 6, pp. 1183-1194, 2002. 

  21. L. Rosenkopf, A. Nerkar, "Beyond Local Search: Boundary-spanning, Exploration, and Impact in the Optical Disk Industry",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22, no. 4, pp. 287-306, 2001. DOI: https://doi.org/10.1002/smj.160 

  22. B. Crepon, E. Duguet, "Estimating the Innovation Function from Patent Number: GMM on Count Panel Data", Journal of Applied Econometrics, vol. 12, no. 3, pp. 243-263, 1997. DOI: https://doi.org/10.1002/(SICI)1099-1255(199705)12:3 3.0.CO;2-4 

  23. P. M. Blau, Inequality and Heterogeneity. Free Press, Glen-COE, IL, 1977. 

  24. J. Hilbe, Negative Binomial Estim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2007. DOI: https://doi.org/10.1017/CBO978051181185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