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림의 방문회수와 체류시간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를 중심으로 -
Effects of the Number of Visits and Length of Stay in Urban Forests on Subjective Well-Being - A Case Study of Seoul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6 no.3, 2018년, pp.92 - 102  

홍성권 (건국대학교 산림조경학과) ,  김종진 (건국대학교 산림조경학과) ,  김주미 (건국대학교 대학원 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활권 도시림의 방문이 시민들의 주관적 웰빙의 향상에 기여하는지를 검토하였다. 도시림 방문은 강한 경험이 아니기 때문에 강도 대신 빈도에 해당하는 방문회수와 체류시간을 독립변수로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는 긍정적 감정, 부정적 감정 및 삶의 만족도이었다.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여론조사기관이 온라인 설문으로 수집한 600매의 자료를 분산분석한 결과, (a) 도시림의 방문회수와 체류시간 간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없었으며, (b) 방문회수와 상관없이 최근 2주간 도시림을 방문한 사람들은 방문하지 않는 사람들보다 긍정적 감정이 높았으며 부정적 감정은 낮았고, 평소에 한 달에 1번 이상 도시림을 방문한 사람들은 미방문자들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았지만, (C) 방문자들의 체류시간은 긍정적 감정, 부정적 감정 및 삶의 만족도 모두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결과적으로, 도시림 방문이란 의도적 활동이 유전적으로 결정된 주관적 웰빙 수준을 변화시킨다는 기존 이론을 확인함으로써, 도시림의 확대와 유지관리는 시민들의 복지향상을 위한 정부의 의미 있는 투자라는 것이 밝혀졌다. 보다 신뢰성 높은 추후연구를 위해 응답자 집단의 선정과 영향변수들의 중요성을 고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subjective well-being could be improved by visiting urban forests near residential areas. Because visiting an urban forest is not an intense positive experience, this research is focused on frequency of affective experience rather than intensity. The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생활권 도시림의 방문이란 즐거운 경험이 주관적 웰빙의 향상에 기여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림 방문은 강한 경험이 아니기 때문에 방문빈도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서울시를 대상으로 이곳의 방문빈도가 주관적 웰빙의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점을 밝혀 생활권 도시림이 필수 도시기반시설이란 점을 확인하고자 한다.
  • 또한, 즐거운 경험이 주관적 웰빙의 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시민들의 보편적 여가공간인 도시림에서의 여가활동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생활권 도시림의 방문이란 즐거운 경험이 주관적 웰빙의 향상에 기여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림 방문은 강한 경험이 아니기 때문에 방문빈도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서울시를 대상으로 이곳의 방문빈도가 주관적 웰빙의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점을 밝혀 생활권 도시림이 필수 도시기반시설이란 점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우리 사회의 생활태도 변화 흐름은 어떠한가? 현재 우리 사회는 과거 일 중심의 가치기준이 점차 쇠퇴하고 여가중시, 개인과 가족중심, 개성존중의 생활태도로 빠르게 변하고 있다(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05). 2016년 국민들의 평일 및 휴일의 평균 여가시간은 각각 3.
도시림이 급증하는 여가수요를 충족시킬 현실적 대안으로 주목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07). 실제로, 국민들이 가장 많이 이용한 여가공간은아파트 내/집 주변의 공터와 생활권 내의 공원이었으며, 희망하는 곳은 산으로 나타나(Ministry of Cultures, Sports and Tourism, 2016), 도시림은 급증하는 여가수요를 충족시킬 수있는 현실적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생활권 도시림의 확장을 위한 노력은 1인당 생활권 도시림 면적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가? 이러한 국민들의 여가수요에 맞추어 중앙정부와 지자체도 생활권 도시림의 확장에 노력해 왔다. 1인당 생활권 도시림 면적은 2013년도에 8.32m 2 이었지만, 2015년에는 9.91m 2 로 증가해 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하는 최소기준인 1인당 9m 2 보다 높아 졌다(Korea Forest Service, 2014; 2016). 아직은 세계 주요 도시인 파리(13m 2 /인), 뉴욕(23m 2 /인)에 못 미치는 수준이지만, 전체 인구의 약 90%가 도시에 거주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생활권 도시림은 미래 시민들의 여가수요를 충족시키며, 주관적 웰빙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 높은 자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Byun, W., J. Lee, E. Seo, Y. Hong and T. Kim (2003) A study on urban resident's preference for developing urban recreational forest: The case study on Seoul. Daegu/Gyungbuk. Gyunggido.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7(2): 19-25. 

  2. Cha, S. and C. Park (1999) Development of green network plan using bird habitat evaluation model: A case study of Seoul,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7(4): 29-38. 

  3. Chen, Y., X. Lehto and C. Liping (2013) Vacation and well-being: A study of Chinese tourists. Annals of Tourism Research 42: 284-310. 

  4. Diener, E., D. Wirtz, R. Biswas-Diener, W. Tov, C. Kim-Prieto, D. Choi and S. Oishi (2009) New measures of well-being. In E. Diener, ed., Social Indicators Research Series: Vol. 39. Assessing Well-being: The Collected Works of Ed Diener. New York, NY: Springer Science. pp. 247-266. 

  5. Diener, E. and M. Seligman (2004) Beyond money: Toward an economy of well-being. Psychological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5(1): 1-31. 

  6.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7. Diener, E. (1994) Assessing subjective well-being: Progress and opportunit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31(2): 103-157. 

  8. Diener, E. (2000)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55(1): 34-43. 

  9. Diener, E. (2009) The science of well being: Reviews and theoretical articles. In E. Diener, ed., Social Indicators Research Series Vol. 37. The Science of Well Being: The Collected Works of Ed Diener. New York, NY: Springer Science. pp. 1-10. 

  10. Diener, E., E. Sandvik and W. Pavot (1991) Happiness is the frequency, not the intensity, of positive versus negative affect. In F. Strack, M. Argyle, and N. Schwarz, eds., Subjective Well-Being: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New York, NY: Pergamon. pp. 119-139. 

  11. Diener, E., R. Emmons, R. Larsen and S. Griffin (1985b)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12. Diener, E., R. Larsen, S. Levine and E. Emmons (1985a) Frequency and intensity: The underlying dimension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5): 1253-1265. 

  13. Dolnicar, S., K. Lazarevski and V. Yanamandram (2013) Quality of life and tourism: A conceptual framework and novel segmentation bas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6(6): 724-729. 

  14. Dolnicar, S., V. Yanamandram and K. Cliff (2012) The contribution of vacations to quality of life. Annals of Tourism Research 39(1): 59-83. 

  15. Dunn, E., D. Gilbert and T. Wilson (2011) If money doesn’t make you happy, then you probably aren’t spending it right.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21(2): 115-125. 

  16. Eid, M. and E. Diener (2004) Global judgments of subjective wellbeing: Situational variability and long-term stability. Social Indicators Research 65(3): 245-277. 

  17. Frederick, S. and G. Loewenstein (1999) Hedonic adaptation. In D. Kahneman, E. Diener and N. Schwarz, eds., Well-Being: The Foundations of Hedonic Psychology. New York, NY: Russell Sage Foundation. pp. 302-329. 

  18. Fredrickson, B. (1998)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3): 300-319. 

  19. Grahn, P. and U. Stigsdotter (2003) Landscape planning and stress. Urban For Urban Green 2(1): 1-18. 

  20.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05) A Study on the Maximizing Efforts for Effective Use of Urban Forest.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1. Hong, S., J. Kim, S. Jung and Y. Tae (2010) An economic valuation of arboretum using choice experimen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6): 1-11. 

  22. Hong, S., K. An and H. Jang (2017) Interactional effects of travel experience and traumatic event on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5(2): 1-10. 

  23. Hong, S., M. Lee, S. Lee and M. Ahn (2007) Searching for facilities and service programs for the establishment of urban park ident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5): 29-36. 

  24. Jo, H. and T. Ahn (2006) Exploring relationships between urban tree plantings and microclimate amelior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5): 70-75. 

  25. Jo, H., J. Kim and H. Park (2016) Effects of pear orchards on carbon redu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Pomological Society 70(2): 63-73. 

  26. Kahneman, D. and A. Tversky (1979)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 Econometrica 47(2): 263-291. 

  27.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0) Quantification of Public Benefits of Forest. Research Report 10-26. 

  28. Korea Forest Service (2014) Statistics of Urban Forest. Korea Forest Service. 

  29. Korea Forest Service (2016) Statistics of Urban Forest. Korea Forest Service. 

  30. Kwon, H., W. Shin and J. Kim (2004) The comparison of use benefits based on types of urban forest.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8(2): 37-46. 

  31. Lee, J., B. Park, Y. Tsunetsugu, T. Ohira, T. Kagawa and Y. Miyazaki (2011) Effect of forest bathing o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s in young Japanese male subjects. Public Health 125(2): 93-100. 

  32. Lien, J. and G. Buhyoff (1986) Extension of visual quality models for urban forest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22(3): 245-254. 

  33. Loewe, N., M. Bagherzadeh, L. Araya-Castillo, C. Thieme and J. Batista-Foguet (2014) Life domain satisfactions as predictors of overall life satisfaction among workers: Evidence from Chile. Social Indicator Research 118(1): 71-86. 

  34. Lucas, R., E. Diener and E. Suh (1996) Discriminant validity of wellbeing measur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3): 616-628. 

  35. Lyubomirsky, S., L, King and E. Diener (2005b)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Psychological Bulletin 131(6): 803-855. 

  36. Lyubomirsky, S., K. Sheldon and D. Schkade (2005a) Pursuing happiness: The architecture of sustainable change.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9(2): 111-131. 

  37. Maas, J., R. Verheij, P. Groenewegen, S. de Vries and P. Spreeuwenberg ( 2006) Green space, urbanity, and health: How strong is the relation? Journal of Epidemiology & Community Health 60(7): 587-592. 

  38. McCrae, R. and O. John (1992) An introduction to the five-factor model and its applic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60(2): 175-215. 

  39. Ministry of Cultures, Sports and Tourism (2016) 2016 Survey on National Leisure Activity. Ministry of Cultures, Sports and Tourism. 

  40. Ministry of Environment (2003) Design and Planning Criteria for the Green Buffer Zone. Ministry of Environment. 

  41. Oishi, S., E. Diener, E. Suh and R. Lucas (1999) Value as a moderator in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67(1): 157-184. 

  42. Pavot, W. and E. Diener (2008)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and emerging construc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3(2): 137-152. 

  43. Pavot, W., F. Fujita and E. Diener (1997) The relation between selfaspect congruence, person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2(2): 183-191. 

  44. Quoidbach, J., E. Berry, M. Hansenne and M. Mikolajczak (2010) Positive emotion regulation and well-being: Comparing the impact of eight savoring and dampening strategi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9(5): 368-373. 

  45. Rusting, C. and R. Larsen (1997) Extraversion, Neuroticism, and susceptibility to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 test of two theoretical model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2(5): 607-612. 

  46. Shin, D. and D. Johnson (1978) Avowed happiness as an overall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Social Indicators Research 5(1): 475-492. 

  47. Shin, W., P. Yeoun, J. Lee, J. Lee and K. Kim (2010) The importantperformance analysis of urban recreational forests.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14(1): 17-29. 

  48. Snyder, C. and S. Lopez (2002)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49. Takano, T., K. Nakamura and M. Watanabe (2002)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senior citizens’ longevity in megacity areas: The importance of walkable green spaces. Journal of Epidemiology & Community Health 56(12): 913-918. 

  50. Tyrvainen, L., S. Pauleit, K. Seeland and S. de Vries (2005) Benefits and uses of urban forests and trees. In C. Konijendijk, K. Nilsson, T. Randrup, and J. Schipperijn, eds., Urban Forests and Trees. Berlin: Springer. pp. 81-114. 

  51. Ulrich, R. (1984) View through a window may influence recovery from surgery. Science 224(4647): 420-421. 

  52. Wegener, D. and R. Petty (1994) Mood management across affective states: The hedonic contingency hypothe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6): 1034-1048. 

  53. Xiao, Q., E. McPherson, J. Simpson and S. Ustin (1998) Rainfall interception by Sacramento's urban forest. Journal of Arboriculture 24(4): 235-244. 

  54. Yardley, J. and R. Rice (1991) The relationship between mood and subjective well-being. Social Indicators Research 24(1): 101-111. 

  55. Yoo, R., K. Lee, S. Kim, S. Bae and E. Yoon (2007) A study on the preference analysis by use type of urban forests.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11(4): 1-6. 

  56. http://kosis.kr/ 

  57. http://www.saramin.c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