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population ag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es,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monitoring of health status in everyday life without the need for a hospital has become very important. For this reason, researches on various health ca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무자각적이면서도 연속적으로 건강 모니터링을 할 수 있도록 반지 형태의 디바이스를 제안하였다. 경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이용하여 제작된 측정 보드는 소형이면서도 원형의 모양인 반지에 유연하게 감싸지면서 동시에 부품실장은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
  •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헬스케어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손가락에 착용하여 무자각적이면서도 연속적으로 다양한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반지형 디바이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보급이 빠른 이유는? 정보기술 시장 분석기관인 IDC에 따르면 2017년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품의 전 세계 출하량은 1억 1천 3백만개에서 2021년에는 약 2억대 규모로 2배 가량 증가할 전망으로 예상하였다[5]. 이처럼 헬스케어 분야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보급이 다른 디바이스보다 빠른 이유는 예방 중심의 웰니스 (Wellness)에 보다 큰 관심이 집중되면서 자기 자신의 건강 데이터를 스스로 진단하고 관리하려는 Quantified-Self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6]. 이를 통해 개인 맞춤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하면서도 정확한헬스데이터를 지속 가능한 형태로 획득할 수 있어야 한다.
스마트 헬스케어의 의미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보급 그리고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개념이 보편화되기 시작하면서 병원에 내원하지 않고도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중 언제, 어디서나 자연스럽게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스마트 헬스케어가 주목을 받은 지도 오랜 시간이 흘렀다[1-4]. 스마트 헬스케어는 그 의미에는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정보통신 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건강 관련 데이터의 추적 및 관찰의 범위를 언제, 어디서나 가능하도록 일상생활로 확대시키려는 노력이라는 관점에서 보았을 때,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Ubiquitous Healthcare), 커넥티드 헬스케어 (Connected Healthcare), 모바일 헬스케어 (Mobile Healthcare), 디지털 헬스케어 (Digital Healthcare) 등의 많은 이름으로 꾸준히 연구개발이 진행되어 온 분야이다.
손목 착용형 스마트워치의 문제점은? 심지어는 이마저도 정확하지 못하여 헬스 데이터로서의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보고도 있다[7]. 손목 착용형 디바이스의 경우 손목에 디바이스가 타이트하게 착용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손목이 움직이는 동안에 광센서가 피부에 견고하게 접촉되지 못함으로서 측정된 맥파 신호에 심각한 운동잡음을 초래하게 된다. 수면 모니터링의 경우도 가속도 단일 센서 신호만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수면에 대하여 분석하기에는 그 정보량이 부족하다고 판단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Y.G. Lim, K.H. Hong, K.K. Kim, J.H. Shin, S.M. Lee, G.S. Chung, H.J. Baek, D.-U. Jeong and K.S. Park, "Monitoring physiological signals using nonintrusive sensors installed in daily life equipment", Biomed Engin Lett, Vol. 1, pp. 11-20, 2011. 

  2. E. Jovanov, A. Milenkovic, "Body area network for ubiquitous healthcare application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J Med Syst, vol. 35, pp. 1245-1254, 2011. 

  3. K.S. Park, "Non-Intrusive Biomedical Instrumentation Technology", The Proceedings of KIEE, vol. 53, pp. 24-29, 2004. 

  4. H.C. Kim, "[Special Issue] U-Healthcare and Sensor", The Magazine of the IEEK, vol. 32, pp. 29-37, 2005. 

  5. IDC (2017). Worldwide wearables market to nearly double by 2021, According to IDC. https://www.idc.com/getdoc.jsp?containerIdprUS42818517. 

  6. L. Piwek, D.A. Ellis, S. Andrews, A. Joinson, "The rise of consumer health wearables: promises and barriers", PLoS Med 13(2): e1001953, 2016. 

  7. R. Wang, G. Blackburn, M. Desai, "Accuracy of wrist-worn heart rate monitors", JAMA Cardiol. vol. 2, pp. 104-106, 2017. 

  8. S.-H.Choi, S.-I.Kim,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purchase of healthcare smart band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8, pp. 175-181, 2017 

  9. S.H. Hwang, S. Seo, H.N. Yoon, D.W. Jung, H.J. Baek, J. Cho, J.W. Choi, Y.J. Lee, D.-U. Jeong, K.S. Park, "Sleep period time estimation based on electrodermal activity", IEEE J Biomed Health Inform, vol. 21, pp. 115-122, 2017 

  10. S. Fallet, J.-M. Vesin, "Robust heart rate estimation using wrist-type photoplethysmographic signals during physical exercise: an approach based on adaptive filtering", Physiol. Meas., vol. 38, pp. 155-170, 2017 

  11. H.-E. Liao, "Two discrete oscillator based adaptive notch filters (OSC ANFs) for noisy sinusoids", IEEE Trans Sig Proc, vol. 53, pp. 528-538, 2005 

  12. J.G. Webster, "Design of pulse oximeters", NY: Taylor & Francis, 1997 

  13. H. Shin, B. Choi, D. Kim, J. Cho, "Robust sleep quality quantification method for a personal handheld device", Telemed J E Health, vol. 20, 2014 

  14. R. Gauronskaite, I. Liustrickyte, R. Zablockis, E. Danila, A. Komarovec, V. Kumpauskaite, "Screening for sleep apnea using overnight home pulse oximetry", Sleep Med, vol. 40, pp. e108, 2017. 

  15. D.W. Jung, S.H. Hwang, J.G. Cho, B.H. Choi, H.J. Baek, Y.J. Lee, D.-U. Jeong, K.S. Park, "Real-time automatic apneic event detection using nocturnal pulse oximetry", IEEE Trans Biomed Engin, vol. 65, pp. 706-712,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