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굴패각에 의한 인 처리가 인공습지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osphorus Removal by Oyster Shell on Longevity of Constructed Wetlands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7 no.1, 2018년, pp.66 - 72  

김성헌 (경상대학교 농화학식품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김홍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제약공학과) ,  박종환 (루이지애나주립대학교 식물환경토양과학부) ,  류성기 (경상대학교 농화학식품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강세원 (순천대학교 생물환경학과) ,  조주식 (순천대학교 생물환경학과) ,  서동철 (경상대학교 농화학식품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하수처리를 위한 VF-HF 조합형 인공습지에서 굴패각이 인공습지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6년간 인공습지에서 총인의 농도 변화를 장기간 모니터링 한 후 이를 토대로 굴패각이 인공습지의 수명 연장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왕사만 사용한 system A에서 인이 실제 포화에 도달하는 시간은 최대 인 흡착능력에 기반한 이론적 포화치에 비해 4배 이상 긴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특히 인의 포화패턴은 운영 초기에는 일정농도 수준으로 유지되다가 흡착에서 파과점과 같은 지점을 통과하면서 서서히 포화가 진행되어가면서 최종적으로 포화에 도달하였다. 굴패각과 왕사를 혼합한 여재를 사용한 system B에서도 이론적 포화예상시간을 초과하여 안정적으로 인이 처리됨을 확인하였고, 굴패각의 첨가로 system A에 비해 인의 포화시기가 연장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실제 인공습지 여재에 굴패각을 혼합하면 여재의 인 흡착량을 증가시켜 이론적인 포화치보다 인의 포화시기를 더 늘릴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인공습지의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굴패각을 사용하는 것은 굴 양식장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굴패각을 재활용하는 것으로서 폐기물의 재활용 측면에서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Constructed wetlands are low-cost alternatives for treating domestics sewage. However, previous study has reported that the removal of phosphorus in constructed wetlands was limited. Therefore, a new alternative was needed to extend the life of the constructed wetlands. The purpose o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시스템형 인공습지에서 굴패각의 적용 유무가 인 처리효율에 미치는 영향과 인의 포화가 인공습지 수명 연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수 처리를 위한 VF-HF 조합형 인공습지에서 6년간 인공습지의 유입수와 유출수 중 인의 농도 변화와 처리효율을 장기간 모니터링 하였고, 굴패각의 적용유무가 인 처리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습지란 무엇인가? 인공습지는 자연습지의 수생식물, 토양 및 미생물을 이용하여 수처리 능력을 향상시킨 습지로 그 동안 다양한 종류의 폐하수를 처리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져왔으며(Vymazal, 2007), Seidel (1961)의 연구를 시초로 다양한 오폐수처리를 위한 시스템형 인공습지가 개발되었다. 대표적으로 VF (vertical flow)-HF (horizontal flow), VF (vertical flow)-VF (vertical flow), HF (horizontal flow)-VF (vertical flow) 및 VF (vertical flow)-VF (vertical flow) 조합형 인공습지 등이 있으며, 이러한 조합별 인공습지는 오폐수의 이화학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되어져 왔다.
시스템형 인공습지에서 인 제거 메커니즘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시스템형 인공습지에서 인 제거의 메커니즘은 크게 식물에 의한 제거(Greenway and Woolley, 1999), 미생물에 의한 고정(Newbold et al., 1983; Reddy et al., 1999), 침전(Diazo et al., 1994) 및 여재에 대한 흡착(Tanner et al., 1998) 등이 있으나, Seo et al. (2009)의 연구에 의하면 시스템형 인공습지에서 처리되는 인의 대부분은 흡착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러한 이유로 인이 인공습지 내에 축적되어 포화에 도달할 경우 여재를 세척 및 교체하지 않는 이상 포화된 인이 인공습지내 여재로부터 역으로 유출되게 되어 더 이상 인공습지를 운전할 수 없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이 인공습지의 수명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 1998) 등이 있으나, Seo et al. (2009)의 연구에 의하면 시스템형 인공습지에서 처리되는 인의 대부분은 흡착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러한 이유로 인이 인공습지 내에 축적되어 포화에 도달할 경우 여재를 세척 및 교체하지 않는 이상 포화된 인이 인공습지내 여재로부터 역으로 유출되게 되어 더 이상 인공습지를 운전할 수 없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인은 인공습지의 수명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에 여재의 인 흡착능력은 인공습지 설계에서 여재 선택 시 핵심인자로 고려된다(Richardson and Craft, 1993; Mann,1997; Johansson,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Diazo, A., Reddy, K. R. & Moore, P. A. (1994). Solubility of inorganic P in stream water as influenced by pH and Ca concentration. Water Research, 28(8), 1755-1763. 

  2. Greenway, M. & Woolley, A. (1999). Constructed wetlands in Queensland: performance efficiency and nutrient bioaccumulation. Ecological engineering, 12(1-2), 39-55. 

  3. Hawkins, W. B., John, H. R., Gillespie, W. B., Dunn, P. B., Dom, P. B. & Cano, M. L. (1997). Design and construction of wetlands for aqueous transfers and transformations of selected metals.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36, 238-248. 

  4. Johansson, L. (1999). Industrial by-products and natural substrata as phosphorus sorbents. Environmental Technology, 20(3), 309-316. 

  5. Kadlec, R. H. & Wallace, S. (2009) Treatment Wetlands, 1-1020. 2nd ed. CRC Press. Broken Sound Parkway New York, USA. 

  6. Lee, H. J., Seo, D. C., Cho, J. S. & Heo, J. S. (2003). Screening of the optimum filter media in the constructed wetland systems through phosphorus adsorption capaciti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2(2), 148-152. 

  7. Mann, R. A. (1997). Phosphorus adsorption and desorption characteristics of constructed wetland gravels and steelworks by-products. Soil Research, 35(2), 375-384. 

  8. Newbold, J. D., Elwood, J. W., O'Neill, R. V. & Sheldon, A. L. (1983). Phosphorus dynamics in a woodland stream ecosystem: a study of nutrient spiralling. Ecology, 64(5), 1249-1265. 

  9. Park, J. H., Kim, S. H., Delaune, R.D., Kang, B. H., Kang, S. W., Cho, J. S., Ok, Y. S. & Seo, D. C. (2016). Enhancement of phosphorus removal with near neutral pH utilizing steel and ferronickel slags for application of constructed wetlands. Ecological Engineering, 95, 612-621. 

  10. Reddy, K. R., Kadlec, R. H., Flaig, E. & Gale, P. M. (1999). Phosphorus retention in streams and wetlands: a review. Critical Reviews in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29(1), 83-146. 

  11. Reddy, K. R. & Delaune, R. D. (2008). Biogeochemistry of wetlands: science and applications, CRC press, USA. 

  12. Richardson, C. J. & Craft, C. B. (1993). Effective phosphorus retention in wetlands: fact or fiction. Constructed Wetland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271-282. 

  13. Richardson, C. J. (1999). Phosphorus biogeochemistry in sub-tropical ecosystems, The role of wetlands in storage, release, and cycling of phosphorus on the landscape: a 25-year retrospective (eds. Reddy, K. R., o'Connor, G. A., Schelske, C. L.), pp. 47-68, Lewis Publishers, Boca Raton London New York Washington, D. C., USA. 

  14. Seo, D. C., Cho, J. S., Lee, H. J. & Heo, J. S. (2005). Phosphorus retention capacity of filter media for estimating the longevity of constructed wetland. Water Research, 39(11), 2445-2457. 

  15. Seo, D. C., Delaune, R. D., Park, W. Y., Lim, J. S., Seo, J. Y., Lee, D. J., Cho, J. S. & Heo, J. S. (2009). Evaluation of a hybrid constructed wetland for treating domestic sewage from individual housing units surrounding agricultural villages in south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Monitoring, 11(1), 134-144. 

  16. Seo, D. C., Park, J. H., Cheon, Y. S., Park, S. K., Kim, A. R., Lee, W. G. & Heo, J. S. (2010). Treatment efficiency of pollutants in constructed wetlands under different hydroponic wastewater injection methods and characteristic of filter medi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9(2), 146-151. 

  17. Siedel, K. (1961). Zur problematik der keim-und pflanzengewasser. Verh. Internat. Verein. Limnology, 14, 1035-1039. 

  18. Tanner, C. C., Sukias, J. P. & Upsdell, M. P. (1998). Relationships between loading rates and pollutant removal during maturation of gravel-bed constructed wetlands.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27(2), 448-458. 

  19. Vymazal, J. (2007). Removal nutrients in various types of constructed wetlands. Science of Total Environment, 380(1-3), 48-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