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이책과 태블릿 PC를 이용한 e-book 읽기 후 자각증상과 읽기속도의 상관성
Correlation of Subjective Symptom and Reading Speed after Reading Paper Book and E-book Using Tablet PC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3 no.2, 2018년, pp.151 - 161  

김지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송성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정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소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미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에서는 독서 후 자각증상 변화와 읽기속도의 상관성이 종이책 및 e-book에서 달라지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시기능과 교정시력이 정상인 18 ~ 29세(평균 $23.4{\pm}3.2$세)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종이책과 태블릿 PC를 이용한 e-book의 실험 조건이 모두 동일한 상태에서 30분간 독서를 실시하였다. CISS(convergence insufficiency symptom survey) 평가지를 이용하여 자각증상을 평가하였고 읽은 페이지 수와 장당 읽기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종이책의 읽은 페이지수가 e-book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E-book 독서 후 근거리 작업 유발 자각증상 총점이 증가하였고 개별 자각증상 중 피곤함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독서시의 집중도와 관련된 자각증상 점수에서도 종이책에 비해 e-book의 자각증상이 유의하게 높았다. 독서와 관련된 자각증상 점수가 증가할수록 읽기속도가 느려지는 상관성을 보였다. 독서 후 폭주부족 자각증상을 나타낸 대상자의 경우 종이책과 e-book 모두 자각증상이 읽기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종이책에 비해 e-book 독서 후 자각증상과 읽기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여 e-book으로 인한 자각증상이 읽기속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E-book을 이용한 독서는 종이책과는 다른 정도의 자각증상 및 읽기속도 변화를 유발하며, 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자각증상 및 읽기속도의 상관성은 독서로 인해 유발되는 폭주기능 저하 여부와 관련이 있음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figure out whether the correlation of subjective symptom and reading speed changed after reading a paper book and an e-book. Methods: Thirty subjects aged 18 to 29 (average $23.4{\pm}3.2years$) with normal visual function and corrected visual acuity participat...

주제어

참고문헌 (27)

  1. XDA Developers. Smartphone Display Technologies and Terminology Explained: OLED, LCD, Strengths & Weaknesses, 2017. https://www.xda-developers.com/smartphonedisplay-terminology-explained (27 April 2018). 

  2. Jang YS, Kim US, Baek SH, Kim YR, Gong SM. Research on ocular fatigability induced by multimedia and instrument features.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5):689-693. 

  3. Rosenfield M. Computer vision syndrome (aka digital eye strain). Optometry. 2016;17(1):1-10. 

  4. Wang Q, Xu H, Gong R, Cai J. Investigation of visual fatigue under LED lighting based on reading task. Optik. 2015;126(15):1433-1438. 

  5. Park MC, Mun S. Overview of measurement methods for factors affecting the human visual system in 3D displays. J Disp Technol. 2015;11(11):877-888. 

  6. Chu C, Rosenfield M, Portello JK, Benzoni JA, Collier JD. A comparison of symptoms after viewing text on a computer screen and hardcopy. Ophthalmic Physiol Opt. 2011;31(1):29-32. 

  7. Benedetto S, Drai-Zerbib V, Pedrotti M, Tissier G, Baccino T. E-readers and visual fatigue. PLoS ONE. 2013;8(12):e83676. 

  8. Benedetto S, Carbone A, Drai-Zerbib V, Pedrotti M, Baccino T. Effects of luminance and illuminance on visual fatigue and arousal during digital reading. Comput Human Behav. 2014;41:112-119. 

  9. Rosenfield M. Computer vision syndrome: a review of ocular causes and potential treatments. Ophthalmic Physiol Opt. 2011;31(5):502-515. 

  10. Park M, Ahn YJ, Kim SJ, You J, Park KE, Kim SR. Changes in accommodative function of young adults in their twenties following smartphone use.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4;19(2):253-260. 

  11. Kim J, Yang DJ, Choi DY, Kim SR, Park M. Changes in heterophoria and fusional vergence after near work with smartphone and paper book.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6;21(4):385-392. 

  12. Kim SR, Park MO, Lee SY, Song JH, Lee JH, Choi HD, Park M. The change of accommodative function of vergence anomalies subjects in their twenties after near work with smartphone.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7;22(1):71-80. 

  13. Kim J, Um JY, Sung HN, Kim SR, Park M. Changes in accommodative function after reading with paper book and e-book on tablet pc.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7;22(2):183-190. 

  14. Wright P, Lickorish A. Proof-reading texts on screen and paper. Behav Inform Technol. 1983;2(3):227-235. 

  15. Gould JD. Grischkowsky N. Doing the same work with hard copy and with cathode-ray tube (CRT) computer terminals. Hum Factors. 1984;26(3):323-337. 

  16. Mills CB, Weldon LJ. Reading text from computer screens. ACM Comput Surv. 1987;19(4):329-357. 

  17. Siegenthaler E, Wurtz P, Bergamin P, Groner R. Comparing reading processes on e-ink displays and print. Displays. 2011;32(5):268-273. 

  18. Zambarbieri D, Carniglia E. Eye movement analysis of reading from computer displays, eReaders and printed books. Ophthalmic Physiol Opt. 2012;32(5):390-396. 

  19. Rouse MW, Borsting EJ, Mitchell GL, Scheiman M, Cotter SA, Cooper J et a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vised convergence insufficiency symptom survey in adults. Ophthalmic Physiol Opt. 2004;24(5):384-390. 

  20. Shin HS, Jang JK, Park SC. Test-retest reliability assess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CISS. Korean J Vis Sci. 2011;13(4):295-303. 

  21. Belmore SM. Reading computer-presented text. Bull Psychon Soc. 1985;23(1):12-14. 

  22. Na N, Suk HJ. Adaptive luminance contrast for enhancing reading performance and visual comfort on smartphone displays. Opt Eng. 2014;53(11):113102. 

  23. Hue JE, Rosenfield M, Saa G. Reading from electronic devices versus hardcopy text. Work. 2014;47(3):303-307. 

  24. Blehm C, Vishnu S, Khattak A, Mitra S, Yee RW. Computer vision syndrome: a review. Surv Ophthalmol. 2005;50(3):253-262. 

  25. Long J, Cheung R, Duong S, Paynter R, Asper L. Viewing distance and eyestrain symptoms with prolonged viewing of smartphones. Clin Exp Optom. 2017;100(2):133-137. 

  26. Inoue Y, Akitsuki Y. The optimal illuminance for reading: effects of age and visual acuity on legibility and brightness. J Light Vis Environ. 1998;22(1):23-33. 

  27. Lee S, Park WB, Kwon MJ, Lee H, Eom JH, Mah KC. Validity of the convergence insufficiency symptom survey in adults. Korean J Vis Sci. 2010;12(3):181-1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