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조숙증 치료경험 환아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Phenomenological study about treatment experiences of Children with Precocious Pubert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7, 2018년, pp.325 - 335  

김영화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최혜경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곽윤복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호르몬 치료를 받았거나 받고 있는 성조숙증 환아를 대상으로 성조숙증에 대한 이해와 경험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성조숙증 진단 받고 치료경험이 있는 6명을 임의 표집방법을 통해 선정하였다. 2016년 10월 12일 부터 2016년 11월 18일 까지 참여자와 개인 심층면담 및 그룹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1978)에 의해 제안된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성조숙증 치료 경험의 구조는 '엄마가 선택한 치료', '불편한 치료과정', '잘 이해하지 못하는 병', '다시는 받고 싶지 않은 치료' 의 4개의 주제 모음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성조숙증 치료를 경험한 환아들이 느끼는 여러 가지 정서 및 심리적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추후연구에서는 환아들의 부담감을 감소시키고 치료를 긍정적인 감정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applying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childrens with precocious puberty and to describe the whole meaning. Participant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six children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precocious puberty. From October 12, 2016 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조숙증의 기준은 무엇인가? 1)’에 대한 자료 분석결과에 의하면 진료 인원은 2006년 6천 4백 명에서 2016년 8만 6천3백 명으로 약 1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4]. 성조숙증이란 남아의 경우 만 9세 이전에 고환 발달(용적 4ml 이상)이 시작되고, 여아에서는 만 8세 이전에 유방이 발달하거나 만 9세 이전에 초경이 시작되는 것을 말한다[5]. 발생빈도는 대략 5,000– 10,000명 중 1명 정도이며, 남아보다 여아에서 10배 정도 더 흔하게 볼 수 있다[6-7].
성조숙증 치료의 기간은 어떠한가? 결국 아동기에는 또래보다 큰 신장을 보이지만 최종적인 성인 신장은 작아지게 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6]. 성조숙증 치료의 기간은 보통 2∼5년 정도의 기간이 소요 되며, 대개 여야는 11세 전후, 남아는 12세 전후에 치료를 종료하게 된다[11]. 2차 성징의 발현으로 인한 신체 변화는 그 자체로 심리적 적응을 요하는 스트레스 유발사건이다[12].
성조숙증의 발생 빈도와 주로 발생하는 성별은 무엇인가? 성조숙증이란 남아의 경우 만 9세 이전에 고환 발달(용적 4ml 이상)이 시작되고, 여아에서는 만 8세 이전에 유방이 발달하거나 만 9세 이전에 초경이 시작되는 것을 말한다[5]. 발생빈도는 대략 5,000– 10,000명 중 1명 정도이며, 남아보다 여아에서 10배 정도 더 흔하게 볼 수 있다[6-7]. 성조숙증으로 인해 초경이 일찍 시작된 여아는 조기임신, 성적학대, 알코올이나 약물중독, 행동장애 등의 사회·심리적 문제가 생길 위험성이 더 높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 S. Kim. (2008). Update of Precocious Puberty.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3(3), 165-173. 

  2. Y. J. Rhie & K. H. Lee. (2015). Overview and treatment of precocious puberty.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58(12), 1138-1144. 

  3. J. Mendle, E. Turkheimer & R. E. Emery. (2007). Detrimental psychological outcomes associated with early pubertal timing in adolescent girls. Developmental Review, 27(2), 151-71. DOI : http://dx.doi.org/10.1016/j.dr.2006.11.001 

  4.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8). Retrieved April 13, 2018, from http://www.hira.or.kr/co/search.do 

  5. M. J. Park. (2006). Recent Advance in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Precocious Precocity. Development & Reproduction, 10(4), 215-225. 

  6. H. S. Kim et. al. (2007). Clinical and Endocrinologic Characteristics of Children Referred for Precocious Puberty. Annals of Pediatric Endocrinology &Metabolism, 12(2), 119-126. URL : http://uci.or.kr/G704-002175.2007.12.2.002 

  7. S. K. Cesario & L. A. Hughes. (2007). Precocious puberty: a comprehensive review of literature.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Neonatal Nursing, 36(3), 263-274. 

  8. T. Johansson & E. M. Ritzen. (2005). Very long-term follow-up of girls with early and late menarche. Endocrinology, 8, 126-136. DOI :http://dx.doi.org/10.1111/j.1552-6909.2007.00145.x 

  9. R. Kaltiala-Heino, E. Kosunen & M. Rimpela. (2003). Pubertal timing, sexual behaviour and seil-reported depression in middle adolescence. Journal of Adolescence, 26, 531-45. DOI :https://doi.org/10.1016/S0140-1971(03)00053-8 

  10. S. Y. Roh & K. H. Kim. (2012). Sexual maturation, Body image, and Self-esteem among Girls of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3(4), 405-414. DOI :http://dx.doi.org/10.12799/jkachn.2012.23.4.405 

  11. J. C. Carel, E. A. Eugster, A. Rogol, L. Ghizzoni, M. R. Palmert M. M. Lee & ESPE-LWPES GnRH Analogs Consensus Conference Group. (2009). Consensus statement on the use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alogs in children. Pediatrics, 123, e752-e762. DOI : http://dx.doi.org/10.1542/peds.2008-1783 

  12. A. Caspi & T. E. Moffitt. (1991). Individual differences are accentuated during periods of social change: the sample case of girls at puber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1), 157. DOI : http://dx.doi.org/10.1037/0022-3514.61.1.157 

  13. B. Pinyerd & W. B. Zipf. (2005). Puberty-Timing is everything!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2), 75-82. DOI : http://dx.doi.org/10.1016/j.pedn.2004.12.011 

  14. E. Stice, K. Presnell & S. K. Bearman. (2001). Relation of early menarche to depression, eating disorders, substance abuse, and comorbid psychopathology among adolescent girls.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37(5), 608-19. DOI :http://dx.doi.org/10.1037//0012-1649.37.5.608 

  15. S. H. Lee & S. H. Lee. (2010). Relationships between Menarche and Emotional/Behavioral Traits in Middle School Girl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6(1), 163-180. 

  16. S. S. Han & K. M. Kim. (2006). Influencing Factors on Self Esteem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1), 37-44. 

  17. A. Giorgi. (2004).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 Advanced workshop on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18. N. I. Lee. (2014). Phenomenology and qualitative research. Hangilsa. 

  19. P. F. Colaizzi.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R. Valle & M. King(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48-71. 

  20. J. H. Lim & J. H. Kim. (2013). Mother's experience of having a girl with precocious puberty.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17(2), 23-34. 

  21. K. M. Chung, S. H. Shin, S. A. Lee, M. J. Park & S. H. Kim. (2012).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irls with Precocious Puberty.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7(2), 461-477. 

  22. W. J. Moon. H. J. Kwon & M. K. Hwang. (2018). The Comparison of Psycho-Social Behavior Characteristics between Girls with Precocious Puberty and Normal Gir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2), 357-369. DOI : http://dx.doi.org/10.5762/KAIS.2018.19.2.357 

  23. P. Jackson & M. Ott. (1990). Perceived self-esteem among children diagnosed with precocious puberty.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5(3), 190-203. 

  24. Y. K. Kwon & S. H. Jeong. (2012). Mother's parenting styles and the resilience of children. Studies on Korean Youth, 23(4), 219-2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