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 극한 가뭄 전망을 위한 CMIP5 GCMs 평가
Assessment of CMIP5 GCMs for future extreme drought 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1 no.7, 2018년, pp.617 - 627  

홍현표 (중부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박서연 (중부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김태웅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이주헌 (중부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미래 기간의 극한 가뭄을 분석하기 위하여 RCP 시나리오 기반의 CMIP5 GCMs 강우자료(2011~2099)를 활용하였으며, 과거 관측치의 경우 기상청 ASOS자료(1976~2005)를 이용하여, 미래 가뭄 평가를 하였다. 한반도 5대강(한강, 낙동강, 금강, 섬진강, 영산강)을 대상으로 연평균 강우량, 무강우일수, Drought Spell, Average Severity를 비교 분석한 결과, 가장 심한 수준의 미래 가뭄을 전망하는 GCM은 CMCC-CMS, IPSL-CM5A-LR, IPSL-CM5A-MR로 나타났으며, 보통 수준의 미래 가뭄을 전망하는 GCM은 HadGEM2-CC, CMCC-CM, HadGEM2-ES, 상대적으로 미래의 가뭄을 약하게 전망하는 GCM은 CESM1-CAM5, MIROC-ESM-CHEM, CanESM2로 선정되었다. 극한 가뭄을 전망하는 모델로는 CMCC-CMS, 가장 약한 가뭄을 전망하는 모델은 CanESM2를 선정하여 한반도에 적용한 결과 CMCC-CMS는 과거 대비 가뭄의 심도 및 빈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CanESM2는 과거 대비 심도는 증가하였지만 발생빈도는 적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미래 극한 가뭄 평가에 있어서 합리적인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선정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CMIP5 GCMs rainfall data (2011~2099) based on RCP scenarios were used to analyze the extreme drought evaluation for the future period. For prospective drought assessment, historical observations were used based on the Automated Surface Observing System (ASOS) data (1976~2010) of the 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여러 가지의 극한 수문사상 중에서 극한 가뭄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여러 가지의 GCM에 대한 적절한 평가 방법 및 결과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CP 시나리오 기반의 CMIP5 GCMs를 활용하여 연평균강수량, 무강우일수, 가뭄발생빈도(Drought Spell), 평균가뭄심도 등의 분석을 통해 미래 극한가뭄 평가에 가장 적합한 GCMs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반도의 미래 극한 가뭄을 가장 심하게 전망하는 GMIP5 GCMs 정보를 제공하고자 미래 기간에 대한 가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반도 5대 유역은 어디인가? 가장 극심한 가뭄을 나타내는 CMCC-CMS와 가장 약하게 가뭄을 전망하는 CanESM2를 한반도 5대 유역(한강, 낙동강, 영산강, 금강, 섬진강)에 적용하여 미래 기간별 가뭄을 비교한 결과, CMCC-CMS 모델의 경우 가뭄의 발생빈도는 RCP 8.5 시나리오에서 S1 및 S3 기간의 일부 유역을 제외하고 모든 기간에서 과거대비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CanESM2모델의 경우 RCP 4.
CanESM2이 한반도에서 가뭄발생이 심할 것이라 예측한 계절은? 5에서 CMCC-CMS는 여름철과 가을철에 가뭄발생이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름철과 가을철에는 한반도 전 유역에서 가뭄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anESM2는 다른 계절에 비해 겨울철에 한반도 전 유역에서 가뭄발생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CIMIP5 GCM으로부터 생산되는 자료는 공간해상도가 낮아 공간적 상세화 과정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하였는가? CIMIP5 GCM으로부터 생산되는 자료는 공간해상도가 낮기 때문에 5대강 유역 규모에서의 가뭄 분석이 불가능하므로 공간적 상세화 과정이 필요하다. 공간상세화를 위한 MOS(Model Output Statistics) 기법 중 BCSD (Bias Correction/Spatial Disaggregation)와 기후시나리오 내 장기추세를 반영하기 위한 QDM (Quantile Delta Mapping) 방법을 결합한 SDQDM (BCSD with quantile delta mapping)을 통해 공간적 상세화를 수행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Eum and Cannon, 2016), 기상청 종관 관측 시스템(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ASOS) 자료 중 기간이 30년 이상이 되는 관측지점 60곳의 자료를 활용하였다(Fig.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ung, S. O. (2012). "Projection of paddy rice consumptive use in the major plains of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 RCP scenario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 Vol. 54, No. 5, pp. 35-41. 

  2. Dubrovsky, M., Hayes, M., Duce, P., Trnka, M., Svoboda, M., and Zara, P. (2014). "Multi-GCM projections of future drought and climate variability indicators for the Mediterranean region." Regional Environmental Change, Vol. 14, No. 5, pp. 1907-1919. 

  3. Eum, H. I., and Cannon, A. J. (2017). "Intercomparison of projected changes in climate extremes for South Korea: application of trend preserving statistical downscaling methods to the CMIP5 ensemble."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37, pp. 3381-3397. 

  4. Kim, C. J., Park, M. J., and Lee, J. H. (2014). "Analysis of climate change impacts on the spatial and frequency patterns of drought using a potential drought hazard mapping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34, pp. 61-80. 

  5. Lee, J. H., Cho, K. J., Kim, C. J., and Park, M. J. (2012). "Analysis on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drought using potential drought hazard map." Journal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5, No. 10, pp.983-995. 

  6. Lee, J. H., and Kim, C. J. (2013). "A multimodel assessment of the climate change effect on the drought severity-duration-frequency relationship." Hydrological Processes, Vol. 27, No. 19, pp. 2800-2813. 

  7. Lee, J. H., Kwon, H. H., Jang, H. W., and Kim, T. W. (2016). "Future changes in drought characteristics under extreme climate change over South Korea." Advances in Meteorology, Vol. 2016, Article ID 9164265, 19 pages. 

  8. McKee, T. B., Doesken, N. J., and Kleist, J. (1995). "Drought monitoring with multiple time scales." Proceedings 9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15-20 January 1995, Dallas, TX,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pp. 233-236. 

  9. McMahon, T. A., Peel, M. C., and Karoly, D. J. (2015). "Assessment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data from CMIP3 global climate models for hydrologic simulation."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19, No. 1, pp. 361-377. 

  10. Park, K. W., Kim, J. T., and Lee, J. N. (2006). "Evaluation of the drought indicator for regional drought assessment." Proceedings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2006, pp. 214-220. 

  11. Park, B. S., Lee, J. H., Kim, C. J., and Jang, H. W. (2013). "Projection of future drought of Korea based on probabilistic approach using multi-model and multi climate change scenario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3, No. 5, pp. 1871-1885. 

  12. Park, J. Y., Jung, H., Jang, C. H., and Kim, S. J. (2014). "Assessing climate change impact on hydrological components of Yongdam dam watershed using RCP emission scenarios and SWAT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56, No. 3, pp. 19-29. 

  13. Rhee, J., and Cho, J. (2016). "Future changes in drought characteristics: regional analysis for South Korea under CMIP5 projections." Journal of Hydrometeorology, Vol. 17, No. 1, pp. 437-451. 

  14. Shin, Y. H., and Jung, H. C. (2015). "Assessing uncertainty in future climate change in Northeast Asia using multiple CMIP5 GCMs with four RCP scenario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24, No. 3, pp. 205-216. 

  15. Van Pelt, S. C., and Swart, R. J. (2011). "Climate change risk management in transnational river basins: the Rhine."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25, No. 14, p. 3837. 

  16. Wilhite, D. A., Sivakumar, M. V., and Pulwarty, R. (2014). "Managing drought risk in a changing climate: The role of national drought policy." Weather and Climate Extremes, Vol. 3, pp. 4-13. 

  17. Wojcik, R. (2015). "Reliability of CMIP5 GCM simulations in reproducing atmospheric circulation over Europe and the North Atlantic: a statistical downscaling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35, No. 5, pp. 714-732. 

  18. Yoo, S. H., Kim, T., Lee, S. H., and Choi, J. Y. (2015). "Trend analysis of projected climate data based on CMIP5 GCMs for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on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57, No. 5, pp. 69-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