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위성 기반 TRMM/GPM 강우 이미지를 이용한 농업 가뭄 평가: 충청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Assessment of Agricultural Drought Using Satellite-based TRMM/GPM Precipitation Images: At the Province of Chungcheongbuk-do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60 no.4, 2018년, pp.73 - 82  

이태화 (School of Agricultural Civil & Bio-Industria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상우 (School of Agricultural Civil & Bio-Industria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정영훈 (Department of Construction & Disaster Prevention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신용철 (School of Agricultural Civil & Bio-Industria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ssessed meteorological and agricultural drought based on the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MP(Soil Moisture Percentile), and SMDI(Soil Moisture Deficit Index) indices using satellite-based TRMM(Tropical Rainfall Measuring Mission)/GPM(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기반의 TRMM/GPM 강우 및 MODIS 지표특성 이미지 자료를 토양수분자료동화기법과 연계하여 최근 심각한 가뭄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충청북도 지역을 대상으로 농업가뭄을 평가하였다. 연구목적은 1)TRMM/GPM 및 MODIS 이미지 자료와 토양수분자료동화기법 연계를 통해 산정된 시⋅공간적으로 연속적인 일별 토양수분 기반 농업가뭄지수 토양수분 백분위 및 SMDI 산정, 2)TRMM/GPM 기반 SPI를 이용한 기상학적 가뭄 산정, 및 3) 토양수분 백분위 해석 및 SMDI와 SPI를 이용한 충청북도 지역의 기상학적⋅농업 가뭄 특성을 분석하였다.
  • SPI는 -2에서 +2의 범위로 나타내며 극한 상황의 건조 및 습윤 상태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가뭄을 평가하는 토양수분의 감소를 비교하기 위하여 SPI-3을 산정하였다. 백분위 해석기법은 해당기간에서의 토양수분의 등수를 평가하여 가뭄의 정도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정상상태인 50%보다 낮은 값을 가질수록 가뭄이 심한 것을 나타낸다.
  •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자료(TRMM/GPM 및 MODIS)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기상학적 및 농업적 가뭄을 평가하였다. 장기간의 TRMM/GPM 강우자료(1km × 1km)를 이용하여 기상학적 가뭄지수 SPI를 산정하였다.
  • 연구목적은 1)TRMM/GPM 및 MODIS 이미지 자료와 토양수분자료동화기법 연계를 통해 산정된 시⋅공간적으로 연속적인 일별 토양수분 기반 농업가뭄지수 토양수분 백분위 및 SMDI 산정, 2)TRMM/GPM 기반 SPI를 이용한 기상학적 가뭄 산정, 및 3) 토양수분 백분위 해석 및 SMDI와 SPI를 이용한 충청북도 지역의 기상학적⋅농업 가뭄 특성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SWAP 모형에서 토양특성은 단일토양특성(homogeneous soil texture)으로 가정하였으며, 토양층(soil layers)은 총 33개 층으로 구성하였다. 총 토양깊이는 지표면으로부터 200cm로 하였으며, 각 토양층의 구성은 지표면으로부터 1cm × 10(토양층의 갯수), 5cm × 10, 10cm × 12 및 20cm × 1로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업적 가뭄을 평가하는 가뭄지수는 무엇이 있는가? 기상학적 가뭄지수의 경우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가뭄을 평가하기 때문에 지표특성에 영향을 받는 농업적 가뭄을 평가하는데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농업가뭄의 평가기준인 토양수분의 부족한 정도에 따른 농업적 가뭄을 평가하기 위하여 토양수분가뭄평가지수(Soil Moisture Deficit Index-SMDI, Narasimhan and Srinivasan 2005)와 토양수분지수(Soil Moisture Index-SMI, Hunt, et al., 2009) 등이 개발되었다.
가뭄이란? 가뭄은 장기간동안 강우가 적게 발생하거나 무강우 기간이 지속되는 현상을 의미하며, 다양한 분야에 피해를 발생시키는 자연재해로서 기상학적, 농업적, 수문학적 및 사회⋅경제적 가뭄으로 구분한다. 기상학적 가뭄은 기상현상의 영향으로 강수량의 감소, 증발산량의 증감 여부를 평가하여 결정된다.
기상학적 가뭄은 어떤 평가기준으로 결정되는가? 가뭄은 장기간동안 강우가 적게 발생하거나 무강우 기간이 지속되는 현상을 의미하며, 다양한 분야에 피해를 발생시키는 자연재해로서 기상학적, 농업적, 수문학적 및 사회⋅경제적 가뭄으로 구분한다. 기상학적 가뭄은 기상현상의 영향으로 강수량의 감소, 증발산량의 증감 여부를 평가하여 결정된다. 농업가뭄은 농작물의 종류나 성장에 필요한 토양수분의부족한 정도에 따라 결정되며 수문학적 가뭄은 하천유량, 저수지, 지하수 등 가용수자원의 양으로 정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Entekhabi D., E. G. Njoku, P. E. O'Neill, K. H. Kellogg, W. T. Crow, W. N. Edelstein, J. K. Entin, S. D. Goodman, T. J. Jackson, J. Johnson, J. Kimball, J. R. Piepmeier, R. D. Koster, N. Martin, K. C. McDonald, M. Moghaddam, S. Moran, R. Reichle, J. C. Shi, M. W. Spencer, S. W. Thurman, L. Tsang, and J. Van Zyl, 2010. The Soil moisture active passive (SMAP) mission. Proceedings of the IEEE 98(5): 704-716. doi:10.1109/JPROC.2010.2043918. 

  2. Goldberg, D. E., 1989. Genetic algorithms in search and optimization and machine learning, Addison-Wesley Publishing, New York. 

  3. Holland, J. H., 1975. Adaptation in natural and artificial system.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Ann Arbor, MI. 

  4. Horion, S., H. Carrao, A. Singleton, P. Barbosa, and J. Vogt, 2012. JRC experience on the development of drought information systems: Europe, Africa, and Latin America.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Rep. JRC68769, 70 pp. [Available online at http://publications.jrc.ec.europa.eu/repository/handle/111111111/23582] doi:10.2788/15761. 

  5. Hou, A. Y., R. K. Kakar, S. Neeck, A. A. Azarbarzin, C. D. Kummerow, M. Kojima, R. Oki, K. Nakamura, and T. Iguchi, 2013. The 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GPM) mission.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95(5): 701-722. doi:10.1175/BAMS-D-13-00164.1, in press. 

  6. Hunt, E. D., K. G. Hubbard, D. A. Wilhite, T. J. Arkebauer, and A. L. Dutcher, 2009.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oil moisture index.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9(5): 747-759. doi:10.1002/joc.1749. 

  7. Hwang, T. H., B. S. Choi, H. S. Kim, and B. H. Seoh, 2006. The Estimation of soil moisture index by SWAT model and drought monitor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26(4B): 345-354 (in Korean). 

  8. Kerr Y. H., P. Waldteufel, J. P. Wigneron, J. A. M. J. Martinuzzi, J. Font, and M. Berger, 2001. Soil moisture retrieval from space: The Soil Moisture and Ocean Salinity (SMOS) mission.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39(8): 1729-1735. doi:10.1109/36.942551. 

  9. Kim S. Y., H. B. Jo, S. O. Lee, and M. Choi, 2010. The Study of application of drought index using measured soil moisture at KoFlux Tow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30(6B): 541-549. 

  10. Kroes, J. G., J. C. van Dam, J. Huygen, and R. W. Vervoort, 1999. User's guide of SWAP version 2.0; Simulation of water, solute transport, and plant growth in the soil-atmosphere-plant environment. Rep. 81, DLO Winand Staring Centre, Wageningen, The Netherlands. 

  11. Lee, T., and Y. Shin, 2016. Estimation of irrigation water amounts for farm products based on various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crop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58(6): 1-8, doi:10.5389/KSAE.2016.58.6.001. 

  12. McKee, T. B., N. J. Doesken, and J. Kleist,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In Proceedings of the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Anaheim, CA, Boston, MA, 17-22, January, 179-184. doi:10.1.1.462.4342. 

  13.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5. Abnormal climate change report 201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orean Literature]. 

  1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2. Hydrologic investigation report II-2. Soil moisture investigation in 201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n Literature]. 

  1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4. Hydrologic investigation report II-2. Soil moisture investigation in 201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n Literature]. 

  16. Mualem, Y., 1976. A Now model for predicting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unsaturated poous media. Water Resources Research 12(3): 513-522. 

  17. Narasimhan, B., and R. Srinivasan, 2005. Development and Evaluationof Soil Moisture Deficit Index (SMDI) and Evapotranspiration Deficit Index (ETDI) for Agricultural Drought Monitoring.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33(1-4): 69-88. doi:10.1016/j.agrformet.2005.07.012. 

  18. Palmer W. C., 1968. Keeping track of crop moisture conditions nationwide: the new crop moisture index. Weather-wise 21(4): 156-161. 

  19. Park, E. J., C. S. Hwang, and J. C. Seong, 2002. The Analysis of drought susceptibility using soil moisture information and spatial factors involved in satellite imagery.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10(3): 481-492 (in Korean). 

  20. Scott, C. A., W. G. M. Bastiaanssen, and M. D. Ahmad, 2003. Mapping root zone soil moisture using remotely sensed optical imagery.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129(5): 362-335. doi:10.1061/(ASCE)0733-9437(2003)129:5(326). 

  21. Shin, Y., K. S. Choi, Y. Jung, J. E. Yang, and K. J. Lim, 2016a. Soil moisture estimation and drought assessment at the spatiotemporal scales using remotely sensed data: (I) Soil mois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2(1): 60-69. doi:10.15681/KSWE.2016.32.1.60. 

  22. Shin, Y., K. S. Choi, Y. Jung, J. E. Yang, and K. J. Lim, 2016b. Soil moisture estimation and drought assessment at the spatiotemporal scales using remotely sensed data: (II) Drought.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2(1): 70-79. doi:10.15681/KSWE.2016.32.1.70. 

  23. Simpson, J., C. Kummerow, W. K. Tao, and R. F. Adler,1996. On the tropical rainfall measuring mission (TRMM).Meteorology and Atmospheric physics 60(1): 19-36. doi:10.1007/BF01029783. 

  24. van Dam, J. C., J. Huygen, J. G. Wesseling, R. A. Feddes, P. Kabat, P. E. V. van Walsum, P. Groenendijk, and C. A. van Diepen, 1997. Theory of SWAP version 2.0. Simulation of water flow, solute transport and plant growth in the Soil-Water-Atmosphere-Plant environment. Wageningen University and Alterra. Technical Document 45. 

  25. van Dam, J. C., 2000. Field-scale water flow and solute transport. SWAP model concepts, parameter estimation and case studies. Ph.D. dissertation, Wageningen Univ., Wageningen, The Netherlands. 

  26. van Genuchten, M. T., 1980. A closed-form equation foe predicting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unsaturated soil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44(5): 892-898. doi:10.2136/sssaj1980.03615995004400050002x.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