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업의 산업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시설원예농업의 집약화와 공간적 집중화: 참외농업 시설재배를 중심으로
Intensification and Spatial Concentration of Protected Horticulture through the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Focused on Cultivation under Structure of Oriental Melons 원문보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21 no.4, 2018년, pp.273 - 288  

장영진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농업의 산업화가 가장 진전된 것으로 평가받는 시설원예 부문에 주목하고, 국내에서 오랜 재배역사를 통해 시설재배가 발전한 참외농업을 대상으로 농업의 구조적 차원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집약화와 집중화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1970년대 이후 참외농업에서는 투입재 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하고 노동 투입이 감소하면서 자본에 의한 노동의 대체가 진행되었고 이 과정에서 생산성 향상이 이루어지면서 집약화가 진전되었다. 이와 같은 집약화 과정에서 시설재배가 타 지역에 비해 일찍 성장한 경상북도 성주군 일대를 중심으로 생산성 우위가 발생하면서 공간적 집중화와 함께 농가 수준의 집중화가 진행되었다. 이와 같은 참외농업의 재구조화 과정에서는 기존 농업지리의 역동적 전환이 수반되면서 농업발전의 공간적 불균등이 심화되는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tected horticulture sector was evaluated as achieving the highest level of agricultural industrializ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field of Korea oriental melon farming, where cultivation under structure has advanced through its long history, with the focus on inte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후에는 신선농산물에 대한 시장 개방이 본격화하면서 이와 대체관계에 있는 대부분의 과채류 재배면적이 감소하는 가운데, 참외도 총재배면적과 시설재배면적 모두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다음 장에서는 국내시설원예 농업의 초창기 발전을 주도했고 오늘날 대부분의 생산이 시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참외농업을 중심으로 농업의 집약화 및 집중화 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 우선농업의 기계화의 범주에서 다루어지는 시설 재배면적과 화학농법의 발전과 관련된 투입물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노동의 대체 여부를 논의할 것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자본투자에 따른 생산성의 변화를 단위면적 당 수확량(단수)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참외 시설재배 관련 투입비용과 산출량을 노지재배와 비교하여 시설재배의 자본집약적 특성을 제시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이 가운데 시설원예1) 부문에 주목하고 국내 시설원예 부문의 발전을 주도하는 과채류 가운데 참외농업의 산업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참외는 수박과 함께 오랜 재배역사를 통해 시설재배가 진전된 품목으로서, 오늘날 대부분의 생산이 시설재배에 의해 진행되고 있을 뿐 아니라 재배지역의 공간적 차별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어 국내 농업의 산업화 과정을 설명하는데 부합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 본 연구는 집약적 축산과 함께 농업의 산업화가 가장 진전된 것으로 평가받는 시설원예 부문에 주목하고, 국내에서 오랜 재배역사를 통해 시설재배가 발전한 참외농업을 대상으로 농업의 집약화 및 집중화 과정을 중심으로 참외농업의 산업화 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후자와 같이 참외 품목 한 가지에 집중하고 참외농업 관련 문헌자료와 지역별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나아가 참외농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관련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지난 40여 년간 국내 참외농업의 시설재배가 진전되면서 대표 주산지로 성장한 경상북도 성주군 일대 참외농업 관련 기관에 대한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 구체적으로 플라스틱하우스(이하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의 건설과 자동화 설비, 보온 및 가온 관련 설비 그리고 재배시기에 적합한 종자 및 종묘의 구입과 정밀한 토양 관리 등을 중심으로 투자가 이루어진다. 본 장에서는 이와 같은 다양한 요소를 포괄하는 지표로 품목별 시설재배 면적을 선정하고 이를 토대로 시설원예 부문의 발전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품목별 재배면적 자료는 국내에서 정기적으로 통계가 발표되고 있어 시설원예 부문의 발전을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 이상과 같이 농업의 산업화를 구성하는 세 가지 구조적 차원 가운데, 본 연구는 참외농업의 집약화와 집중화 등 두 가지 차원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참외농업의 집약화는 투입물과 산출량의 변화를 중심으로, 그리고 참외농업의 집중화는 공간적 집중화 과정과 농가 수준의 생산규모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 참외농업에서는 자료의 구득 가능성을 고려하여 농가 당 평균 재배면적을 중심으로 농가수준의 집중화 과정을 고찰하고 지역별 재배면적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중심으로 공간적 집중화를 설명하 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업 재구조화는 어떤 경로로 구분되는가? 농업지리학 연구자들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선진 시장경제에서 진행되고 있는 농업 재구조화에 주목하고, 이에 대한 이론적·경험적 연구를 통해 농업 전환의 동인과 지리적 함의를 설명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농업 재구조화는 1980년대 중반까지의 생산주의 단계(productivist phase)와 그 이후 오늘날까지의 후기생산주의 단계(postproductivist phase)의 두 가지 상이한 경로로 구분된다. 전자는 농업 산출량의 증가를 목적으로 농업의 산업화(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를 추구하는 단계이고, 후자는 저투입-저산출 농업 모형으로서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단계이다.
농업의 집약화란 무엇인가? 첫째, 농업의 집약화란 농업 외부로부터 구입한 투입물(non-farm inputs)의 비중이 상승하고 이로 인해 단위면적 당 산출물이 증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농업 투입재 산업에서 구입한 종자, 종묘, 종축, 비료, 농약, 농기계, 축사 및 생산 시설 관련 비용의 증가와 평균 산출량의 증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업의 집중화는 어떻게 측정될 수 있는가? 이러한 과정에서 경쟁력 있는 농가에 대한 생산자원(productive resources)의 집중과 소농의 감소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집중화는 농장 규모별 생산자원이나 산출물의 비율, 특히 대농에 해당하는 비율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대규모 생산단위를 중심으로 안정적 수요처 확보와 가공 및 소매기업의 공급처 확보에 대한 요구가 맞물리면서 농가와 기업 간 계약생산(contract farming)을 중심으로 연계가 강화된다(장영진, 2013; 2015; 2016a; 2016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김기혁 5 1 101 

  2.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장영진 16 4 585 10.23841/egsk.2013.16.4.585 

  3.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장영진 18 4 522 10.23841/egsk.2015.18.4.522 

  4.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장영진 19 3 535 10.23841/egsk.2016.19.3.535 

  5.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장영진 19 4 712 10.23841/egsk.2016.19.4.712 

  6. Geography Bowler, I. 71 1 14 

  7.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Gillmor, D. 12 2 204 10.2307/622528 

  8. Journal of Rural Studies Ilbery, B. 1 109 10.1016/0743-0167(85)90064-6 

  9.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Marsden, T. 10 4 498 10.1111/j.1468-2427.1986.tb00026.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