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용접방향에 따른 오스트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STS304L) 용착금속파단 용접접합부의 내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Strength of Austentic Stainless Steel (STS 304L) Fillet-Welded Connection with Weld Metal Fracture According to Welding Direction 원문보기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22 no.1, 2018년, pp.81 - 89  

김태수 (한밭대학교 건축공학과) ,  이후창 (한밭대학교 건축공학과) ,  황보경 (한밭대학교 건축공학과) ,  조태준 (대진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우수한 내식성, 내구성 및 내화성을 지닌다. 특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중의 대표인 STS304에 비해 저탄소를 함유하고 있는 STS304L은 현장용접 후 별도의 열처리 없이 높은 내입계부식성능을 지니고 있어 용접후 내입계 부식이 우려되는 부재 접합에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티그(TIG)용접으로 필릿 용접된 STS304L 용접접합부의 용접재(용착금속부) 내력과 파단 메카니즘을 조사하고자 한다. 주요변수인 하중방향에 대한 용접선의 배치에 따라 TFW(하중직각방향 용접), LFW(하중방향용접), FW(하중방향용접과 하중직각방향 용접조합)시리즈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인장실험을 실시하였고, 각각 인장파단,전단파단, 블록전단파단(인장파단과 전단파단의 조합)이 발생하였다. 동일 용접길이에 대해 TFW 시리즈의 접합부가 가장 높은 내력을 나타났으며, 현행기준식(KBC2016/AISC2010)과 기존 연구자의 식에 의한 예측내력과 비교한 결과, TFW와 LFW접합부는 과소평가되었고 FW실험체는 과대평가되었다. 실제 파단 위험단면과 블록전단파단 메카니즘을 고려한 내력식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ustenitic stainless steels have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durability and fire resistance. Especially, since STS304L among austenitic types is a low-carbon variation of STS304 and has excellent intergranular corrosion resistance, it can often be used under the welded condition without heat t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의 건축구조기준인 KBC2009(AIK, 2009)에서는 용접접합부의 내력평가 시 모재항복강도 기준으로 용접부를 설계하였으나 최근에 개정고시된 KBC2016(AIK, 2016a)에서는 모재강도뿐만 아니라 용접재(용착금속)의 강도를 고려하여 용접부의 설계강도를 산정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내입계 부식성능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STS304L를 대상으로 용접방향과 용접길이를 변수로 하여 용착금속부가 파단되는 필릿 용접접합부를 제작하여 구조적 거동을 파악하고자 한다. 필릿용접접합부의 파단형태 및 최내내력을 고찰하고, 현행 설계기준식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수정된 내력식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 국내의 구조설계기준 KBC2016(AIK, 2016a)과 미국강구조학회의 AISC2010(2010)에서는 용접부의 설계강도를 모재의 한계상태와 용접재(용착금속부)의 한계상태 강도 중 작은 값으로 산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용착금속부의 내력평가에 초점을 두므로 용접재 강도에 대해 기술한다. 식 (1)과 같이 용접재(용착금속부)의 유효단면적(Awe)에 용접재의 공칭강도(Fnw)를 곱한 값을 필릿용접부의 용접재 강도(Pn)로 산정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고내입계 부식성능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STS304L를 대상으로 용접방향과 용접길이를 변수로 하여 용착금속부가 파단되는 필릿 용접접합부를 제작하여 구조적 거동을 파악하고자 한다. 필릿용접접합부의 파단형태 및 최내내력을 고찰하고, 현행 설계기준식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수정된 내력식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용접접합부 강도를 계산하는 구조기술자가 용접봉 및 용착금속의 강도를 평가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한국건축구조설계규준에서는 스테인리스강이 구조용 강재로 지정되어 있지 않으며, 최근에 국내 강구조기준(AIK, 2016a)과 한계상태 설계법인 미국 ASCE기준(ASCE, 2002)을 준용하여 설계되고 있는 실정이다. 용접접합부 설계시 ASCE기준에서는 용접봉 또는 용착금속의 강도를 고려해서 모재강도와 비교하여 최솟값을 용접부의 접합강도로 산정하고 있다. 그래서, 용접접합부 강도를 계산하는 구조기술자가 용접봉 및 용착금속의 강도를 평가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특징은 무엇인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우수한 내식성, 내구성 및 내화성을 지닌다. 특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중의 대표인 STS304에 비해 저탄소를 함유하고 있는 STS304L은 현장용접 후 별도의 열처리 없이 높은 내입계부식성능을 지니고 있어 용접후 내입계 부식이 우려되는 부재 접합에 적용할 수 있다.
STS304L의 장점은 무엇인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우수한 내식성, 내구성 및 내화성을 지닌다. 특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중의 대표인 STS304에 비해 저탄소를 함유하고 있는 STS304L은 현장용접 후 별도의 열처리 없이 높은 내입계부식성능을 지니고 있어 용접후 내입계 부식이 우려되는 부재 접합에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티그(TIG)용접으로 필릿 용접된 STS304L 용접접합부의 용접재(용착금속부) 내력과 파단 메카니즘을 조사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IK (2009), Korea Building Cod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imoondang (in Korean). 

  2. AIK (2016a), Korea Building Cod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imoondang (in Korean). 

  3.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AISC) (2010), Steel Construction Manual. AISC 325-11, Chicago, USA. 

  4.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02), Specification for the design of cold-formed stainless steel structural members, SEI/ASCE-8-02, USA 

  5. JIS (2000), Stainless Steel for Building Structure, JIS GZ 4321, Japan Industrial Standards, Tokyo. 

  6. Jo, J. B., Jung, K. S., and Lee, J. W. (2006), Effects of Plate Thickness and Weld Size on the Strength of Fillet Welded Lap Joi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18(3), 331-3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T. S. (2016b), An Experimental Study on Block Shear Fracture of Base Metal in Ferritic Stainless Steel Welded Connec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28(5), 303-3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orea Standard (2007a), Test pieces for tensile test for metallic materials, Korean Standards, KS B 0801, Seoul, Korea. 

  9. Korean Standard (2007b), Methods tension and impact tests for deposited metal, KS B 0821, Seoul, Korea. 

  10. Topkaya, C. A. (2004), Finite element parametric study on block shear failure of steel tension members,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60, 1615-1635. 

  11. Topkaya, C. A. (2007c), Block shear failure of gusset plates with welded connection, Engineering Structures, 29(1), 11-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