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의 허증별 전기전도도 특성에 대한 탐색적 관찰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Electrochemical Skin Conductance for the Deficiency Pattern Identification in Diabetic Patients 원문보기

大韓韓醫診斷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Diagnostics, v.22 no.1, 2018년, pp.57 - 67  

김가혜 (한국한의학연구원) ,  김지혜 (한국한의학연구원) ,  김재욱 (한국한의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rpretability of the questionnaire-based pattern identification in terms of biosignals.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lectrochemical skin conductance (ESC) and Qi-Blood-Yin-Yang Deficiency Questionnaire (QBYY-Q)...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ahayer 등26)은 당뇨병 환자에서 교감신경 기능이 항진되고 부교감신경 기능이 저하됨을 확인하였으며, 유 등27)은 당뇨병의 합병증인 당뇨병성 신경병증이 긴 신경섬유의 손상으로 미주신경이 이환되어 부교감신경 손상이 선행된다고 보고하였다. 이렇듯 당뇨병에서는 부교감신경의 장애로 자율신경실조가 나타나며 이는 피부전기자율반응검사에서 전기 전도도의 변화량으로 표현되므로9) 이를 허증별로 비교하여 한의 임상 활용 가능성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환자의 허증별 피부 전기자율반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당뇨병 환자를 모집한 후 기혈음양허손 변증 설문지에 기반하여 변증 분형을 하였고, SUDOSCAN으로 측정한 전기 전도도를 변증 분형 사이에 비교 분석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확인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변증의 장점은 무엇인가? 변증은 질병상태로부터 내재하는 본질을 파악하여 ‘證’을 도출해내는 과정으로1) 望診, 聞診, 問診,切診을 통해 파악된 환자의 주된 요소 및 부차적인 요소를 통해 증상과 징후의 내재 관계와 병의 원인, 기전 등 여러 징후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한의학적 진단 방법이다2,3). 변증은 병리적 상태의 본질을 규정하여 치료의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4) 적용하는 기초 개념에 따라 진단 및 치료 방법이 다양하고 대상자의 주관적 표현 또는 한의사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되어 객관적인 평가가 쉽지 않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5).
피부응답 측정기는 무엇이며, 구성은 어떻게 되어있는가? 피부전기자율반응검사는 당뇨병 스크리닝을 목적으로 2등급 의료기기로 허가받은 갈바닉 피부응답 측정기(SUDOSCAN, Impeto Medical SAS, France)를이용하였다. SUDOSCAN은 역이온도입법(reverse iontophoresis) 및 크로노암페로메트리(chronoamperometry)를 통한 땀 염화물 농도를 기반으로 땀샘 기능을 평가하도록 고안된 장치로 양손과 양발을 측정할수 있는 4개의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다22,23). 4개의 전극에 양손과 양발을 올려 3분 정도 고정된 자세로 측정하며 측정 시 4 V 이하의 미세 직류 증강 전압이 양극에 인가되는데 10 V 이하의 저전압에서 각질층은 전기적으로 절연상태로 전도성이 있는 땀샘 관을 통한 땀샘 전도 기능을 측정할 수 있다22).
변증이란? 변증은 질병상태로부터 내재하는 본질을 파악하여 ‘證’을 도출해내는 과정으로1) 望診, 聞診, 問診,切診을 통해 파악된 환자의 주된 요소 및 부차적인 요소를 통해 증상과 징후의 내재 관계와 병의 원인, 기전 등 여러 징후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한의학적 진단 방법이다2,3). 변증은 병리적 상태의 본질을 규정하여 치료의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4) 적용하는 기초 개념에 따라 진단 및 치료 방법이 다양하고 대상자의 주관적 표현 또는 한의사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되어 객관적인 평가가 쉽지 않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박정식, 송윤경, 황의형, 정원석, 박원형, 차윤엽, 신승우, 박태용, 장보형, 김호준, 고성규. 변증진단 체계 개발 및 응용 연구 분석 -한방 비만변증을 중심으로-. 대한한방재활의학회지. 2014; 24(2): 107-114. 

  2. Park K. Jindanhaggwon-yeo. 1st ed. Korea:Daesung Publishing Company. 2000, 491-492. 

  3. 양동훈, 박영재, 박영배, 이상철. 어혈변증설문지 개발.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6; 10(1): 141-152. 

  4.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Oriental Pathology. Oriental Pathology. 1st ed. Seoul: Harimunhwasa. 2008;, 172,286,288,579. 

  5. 김국기, 서복남, 강위창, 정인철. 화병 변증도구의 신뢰도, 타당도 평가와 활용 가이드라인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13; 24(4): 331-342. 

  6. 송낙근, 김중길, 신선화, 김용호, 황규동, 안규석, 최선미. 설문지 통계분석을 통한 변증진단 객관화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5; 11(1): 127-138. 

  7. 박기종. 자율신경기능검사.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지 9(2):13-20, 2007. 

  8. 송범용. 7구역 진단기의 임상응용에 대한 고찰(1). 대한침구학회지. 2006; 23(3): 231-239. 

  9. 김영은, 김철, 예상준, 양창섭, 송미영. 건강검진자대상 고혈압 유무에 따른 피부전기활동성 비교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3; 27(6): 847-852. 

  10. 국윤형, 민재영, 오상덕, 임승민, 백은탄, 이재혁, 방대건, 라수연. Vega의 factor AA중 구역 1,2,3 에서의 두부 질환에 대한 연구. 한방성인병학회지. 2000; 6(1): 208-214. 

  11. 안규석, 이석원. 만성피로 증후군 환자의 경락기능 검사결과에 관한 분석. 동의병리학회지. 1999; 13(1): 59-64. 

  12. 이현중, 이보윤, 양승보, 이형민, 조승연, 권승원, 정우상, 박성욱, 고창남, 박정미. 중풍 환자의 입원 후 허실변증별 심박변이도 변화 특성에 대한 고찰. 경락경혈학회지. 2016; 33(4): 176-182. 

  13. 채윤병, 박히준, 구성태, 이혜정. 침과 자율신경계 고찰: 인체의 심박변이도 중심으로. 경락경혈학회지. 2007; 24(4): 25-36. 

  14. 최상옥, 박선영, 정희진, 정소연, 안수연, 김경민, 김영균. 변증과 심박변이도의 상관성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3; 27(3): 318-326. 

  15. 이봉교. 脈診에 의한 八要脈의 波型記錄判別에 관한 實驗的 硏究. 最新醫學, 1970; 13(7): 41-47. 

  16. 박영배. 맥진기의 현황과 전망, 大韓韓醫診斷學會誌. 1997; 1(1): 86-94. 

  17. 문성, 진의주, 김희영, 양재하, 김미려. 최근 당뇨병 연구에 이용된 침구치료 연구 경향 분석. 동서의학. 2013; 38(2): 13-20. 

  18. 김동수, 박윤길, 임상희, 김동현, 송명호, 김형균, 최원아. 교감신경 피부반응에서 하루주기 리듬의 영향. 대한 근전도.전기진단의학회지. 2008; 10(2): 113-117. 

  19. 김도형, 박승찬, 이지혜, 이혜윤, 조민경, 최준용, 김소연, 박성하. 당뇨병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최신 연구 동향-2008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3; 34(3): 240-255. 

  20. 한방병리학 교재편찬위원회. 한방병리학. 서울, 한의문화사, 2007, 288. 

  21. 김지혜, 구본초, 김정은, 김윤식, 김근호. 기혈음양허손 변증 설문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 기초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4; 28(3): 346-354. 

  22. Carolina M. Casellini, Henri K. Parson, Margaret S. Richardson, Marie L. Nevoret, Aaron I. Sudoscan, a Noninvasive Tool for Detecting Diabetic Small Fiber Neuropathy and Autonomic Dysfunction. Diabetes Technol Ther. 2013; 15(11): 948-953. 

  23. Mayaudon H. Miloche PO. Bauduceau B. A new simple method for assessing sudomotor function: relevance in type 2 diabetes. Diabetes Metab. 2010; 36: 450-454. 

  24. 우홍정, 김세훈, 이승보, 최미영, 김영철, 이장훈. 氣血陰陽虛損 辨證의 분석을 위한 설문문항 개발.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 29(4): 856-870. 

  25. 박영재, 남동현, 박영배. 辨證과 自律神經機能의 相關性 硏究.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2; 6(1): 123-134. 

  26. Thayer JF, Yamamoto SS, Brosschot JF. The relationship of autonomic imbalance, heart rate variabil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t. J. Cardiol. 2010; 141(2): 122-31. 

  27. 유태양, 이대호. 당뇨병성 자율신경병증과 관련 된 어지럼증과 실신. International Journal of Arrhythmia. 2016; 17(2): 90-94. 

  28. 정우열. 혈허병증의 (血虛病證) 지표설정에 (指標設定) 대한 이론적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998; 3: 5-8. 

  29. 匡調元. 中醫證候病理學. 上海, 上海科學普及出版社, 1995, 37-38. 

  30. 中國中醫硏究院. 中醫證候鑑別診斷學.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7, 83-85. 

  31. 박미선, 김영목. 血虛證의 임상 질환 범위에 대한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3; 27(4): 343-349. 

  32. 여남회, 최승욱, 박정준, 신기옥. 운동형태가 제2형 당뇨병환자의 인슐린저항성과 EPO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09; 37: 1207-1216. 

  33. Gayle M. Boyd, Irving Maltzman. Bilateral Asymmetry of Skin Conductance Responses During Auditory and Visual Tasks. Psychophysiology. 1983; 20(2): 196-203. 

  34. Kennenth Hugdahl. Hemispheric Asymmetry and Bilateral Electrodermal Recordings: A Review of the Evidence. Psychophysiology, 1984; 21(4): 371-3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