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스 바의 체결 및 중첩 구간에 따른 접촉 저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act Resistance according to the Tightening and Overlapping area of Bus Ba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7, 2018년, pp.56 - 62  

김현우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기계설비제어공학과) ,  손영득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기계설비제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스 바초고층 빌딩의 전력공급과 플랜트 산업의 전원 공급부 및 장비 제조 산업 분야의 배전반에 널리 사용되는 전기적인 접속 구조이다. 부스 바의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사용 환경에 따른 재질, 전원 용량에 따른 단면적, 표면둘레의 길이, 체결 방법 등이 있다. 설계 시 충분한 전원 용량의 사이즈로 제작된 부스 바의 경우에도 실제 체결이 잘못 될 경우 열화에 의한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기적 접촉부의 온도 상승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어 왔다. 그러나 접촉부의 온도 상승은 결과에 기인한 현상이지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다. 본 논문은 부스 바의 체결력과 중첩 구간에 따른 접촉 저항의 영향성에 대한 연구로 시편을 제작하여 저항의 변화를 측정하여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총 8개의 부스 바시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고 각각의 시편을 교차하여 체결시 가해지는 체결력과 중첩 구간의 간격을 가변하여 저항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이러한 요인이 실제 접촉 저항의 변화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지를 분석하여 안전한 전원 연결 장치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us bar is an electrical connection widely used for the power supply of skyscrapers and power distribution and industrial equipment electrical panels in industrial plants. There are various materials to b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the bus bar, such as material based on the use environment,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는 부스 바의 형태는 매우 다양하며 환경 조건도 다르기 때문에 모든 조건을 충족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스 바의 접촉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인 체결력과 중첩 구간에 대해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고 이를 실험을 통해 유효성을 증명한다.

가설 설정

  • 체결 토크별 저항 변화 실험의 측정 결과와 같이 부스바 시편의 체결 토크가 증가할수록 전체 저항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저항의 감소는 체결부의 접촉 저항의 감소를 의미하며 일정 조임 토크 이상이 되면 감소되는양이 매우 미세하여 더 큰 체결력이 접촉 저항의 감소로 이어지지 않는다. 부스 바의 체결 시 이러한 한계값을 고려하여 체결력을 선정하여야 한다.
  • 겹쳐진 형태의 전극에서 발생하는 저항 증가 현상을 유선효과 (Streamline Effect)라고 한다. 직선형이 아닌 중첩구간에서 전류의 흐름은 선형적으로 흐르지 않고 전류 왜곡이 발생되어 동일한 길이의 전극보다 높은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저항의 증가는 접촉부에 주울열을 발생시켜 전극을 열화 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스 바의 설계 시 무엇을 고려하여야 하는가? 부스 바는 초고층 빌딩의 전력공급과 플랜트 산업의 전원 공급부 및 장비 제조 산업 분야의 배전반에 널리 사용되는 전기적인 접속 구조이다. 부스 바의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사용 환경에 따른 재질, 전원 용량에 따른 단면적, 표면둘레의 길이, 체결 방법 등이 있다. 설계 시 충분한 전원 용량의 사이즈로 제작된 부스 바의 경우에도 실제 체결이 잘못 될 경우 열화에 의한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전기적인 접촉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가? 전기적인 접촉은 전류가 흐르는 폐회로에서 전원 공급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통전부의 인터페이스로 정의된다. 즉 접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류 공급을 원활하게 하는 것에 목적이다.
구동형과 고정형 전기 접촉은 각각 어떤 형태인가? 이러한 전기 접촉은 인터페이스의 기구학적 형상, 도체의 재질, 표면처리, 온도, 부하량에 따라 복잡한 메카니즘을 거쳐 전기를 흐르게 하는데 접촉의 분류는 크게 구동형과 고정형으로 나눌 수 있다. 구동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원 플러그, 릴레이나 차단기의 접점과 같이 슬라이딩 및 마찰 접점이 지속적으로 동작하는 것이며, 고정형은 기계장치의 전원용 부스 바(Bus bar), 건물의 송배전부와 같이 한번 접속하면 수개월에서 수십년까지 고정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전기 접촉의 영향성에 대한 연구는 학회 및 산업체등 다양한 분야로 연구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S.K. Park, J.C. Lee, Yonn J. Kim"Effects of Contact Resistance on Temperature Rise in a MCCB", Energy Engg. J, vol. 13, no. 1, pp. 12-19, 2004. 

  2. Heung-Soo Jung, "Study for temperature rise on busbar of the switchgear and controlgear assemblies" The KIEE Conference, 2015.7, pp. 872-873, july, 2015. 

  3. Sung Won Park, Hyun Su Cho, Joon Yeob Lee, "Temperature Rise Simulation of Switchgear Copper Busbar Considering Contact Resistance at the Bolted Connection", The KIEE Conference, pp. 89-89, Oct. 2014. 

  4. S. Schlegel, S. Grossmann, H. Lobl, M. Hoidis, U. Kaltenborn, "Joint Resistance of Bolted Copper - Copper Busbar Joints Depending on Joint Force at Temperatures beyond $105^{\circ}C$ ", 2010 Proceedings of the 56th IEEE Holm Conference on Electrical Contacts, pp. 1-8, 2010. DOI: https://doi.org/10.1109/HOLM.2010.5619459 

  5. Yeon-ho Oh, Ki-dong song, Chin-ki Kim, Kwi-sik Kim, "Calculation of the Contact Resistance by Contact Surface", The KIEE Conference, pp. 1109-1111, july, 2004. 

  6. Holm, R., Electrical Contacts, Springer, New York, 1979. 

  7. Braunovic, M., Evaluation of different contact aid compounds for aluminum-to-copper connections, IEEE Transactions on Components, Hybrids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vol. 15, no. 2, pp. 216-224, 1992. DOI: https://doi.org/10.1109/33.142896 

  8. Milenko Braunovic, Valery V. Konchits, and Nikolai K. Myshkin, Electrical Contacts : Fundamentals, Applications and Technology, CRC Press, pp. 263-266, 2006. DOI: https://doi.org/10.1201/978084939108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