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리콘-탄소나노튜브 센서 기반의 셀프트레이너 피트니스 웨어 개발
Development of Self-trainer Fitness Wear Based on Silicone-MWCNT Senso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7, 2018년, pp.493 - 503  

조성훈 (한국섬유소재연구원) ,  김경미 (한국섬유소재연구원) ,  조하경 ((주)블랙야크) ,  원유석 ((주)유즈브레인넷)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국민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건강에 관심을 갖고 발병 이전의 예방관리를 위하여 운동을 통해 셀프트레이닝을 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근육의 언발란스는 자세의 비대칭성을 초래하고 인체의 비대칭성이 깨지게 되면 조정력, 순환작용, 내장기관의 변위 등을 동반하게 되어 각종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가 속속 나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스마트웨어 중에서 셀프트레이닝이 가능한 피트니스 웨어를 개발하고, 안드로이드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시뮬레이션 함으로서 셀프트레이너 피트니스웨어 상용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셀프트레이너 피트니스웨어의 개발을 위하여 전도성 폴리머, 패션 디자인 및 봉제, 전기전자적인 기술이 융합하여 운동시 근육의 언발란스를 확인하고 스스로가 비대칭성을 교정할 수 있는 스마트웨어를 만들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최적 MWCNT 농도의 도출을 통한 폴리머 센서를 제작하고 도전성 섬유를 활용한 전극 신호선을 설계 및 부착하여 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전극을 부착하여 생체신호를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생체신호를 전기적 신호 변환하고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Signal Module을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이용한 노이즈 캔슬링과 안드로이드 기반의 셀프 트레이닝 애플리케이션을 융합하여 상용화가 가능한 셀프트레이너 피트니스 웨어의 제작방법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s living standards have improved, many people are becoming more interested in health, and self-training is increasing through exercise to prevent and manage pre-illness. In general, an imbalance of muscles causes asymmetry of posture, which can cause various diseases by accompanying an a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근활동량 모니터링 관련 연구들로 부터 출발한 본 연구는 최근 고분자 화학분야에서의 관심분야인 근전도 측정 센서의 제조방법과 의공학적인 측면에서 근전도를 측정하는 위치에 대한 고찰, 측정된 전기신호를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응용하고 상용화함으로써 기존의로부터 상이한 기술의 융합을 통해 실제 상품화가 가능한 수준의 셀프트레이너 피트니스 웨어를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축적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세 및 밸런스의 문제는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일반적으로 정상인이 70%이상이 자세 및 밸런스의 문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인체의 좌우대칭성이 깨지게 되면 근육의 발달, 조정력, 호흡작용, 순환작용, 내장기관의 변위 등에서 변화를 가져와 각종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 밸런스의 체크 및 근력 최적 밸런스 비율의 개선은 건강에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가장 간단하면서 지속적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은 웨어러블 시스템(Wearable System)이라고 할 수 있다[1].
셀프트레이너 피트니스웨어의 생체신호 수집방법은 무엇인가? 셀프트레이너 피트니스웨어의 개발을 위하여 전도성 폴리머, 패션 디자인 및 봉제, 전기전자적인 기술이 융합하여 운동시 근육의 언발란스를 확인하고 스스로가 비대칭성을 교정할 수 있는 스마트웨어를 만들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최적 MWCNT 농도의 도출을 통한 폴리머 센서를 제작하고 도전성 섬유를 활용한 전극 신호선을 설계 및 부착하여 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전극을 부착하여 생체신호를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생체신호를 전기적 신호 변환하고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Signal Module을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이용한 노이즈 캔슬링과 안드로이드 기반의 셀프 트레이닝 애플리케이션을 융합하여 상용화가 가능한 셀프트레이너 피트니스 웨어의 제작방법을 제시하였다.
근 활동량 모니터링의 한계점은? 근 활동량 모니터링의 경우, 기존의 다양한 방법을 통한 생체신호 센싱 기능의 직물 및 의류(기능성 Shirts, 밴드 등)에 대한 꾸준한 개발시도를 통하여 생체신호를 무선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은 비교적 높은 기술적인 수준에 이르고 있다고 판단되나, 생체신호의 정확성, 동작 노이즈 등의 영향으로 인한 측정 신호의 신뢰성 부족, 센싱부 및 커넥팅 부의 내구성, 센서 기능 직물의 의복 일체화 등의 기술은 아직 미흡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와 같은 문제점 및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이 뒷받침 되어야만 섬유-IT 제품의 일반 소비자 시장으로의 확대가 필요한 시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직물전극의 미세한 전기저항 변화를 감지해 낼 수 있는 섬유센서 개발기술과 효율적인 생체신호측정이 가능한 의류제품 디자인, 패턴 기술, 생체신호 입출력 및 데이터 처리기술, 직관성 있는 객체 지향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등을 통하여 기존 개발기술과 차별성 있는 제품개발을 통한 제품이 개발될 경우, 국내 관련 산업에 많은 기술적인 진보가 있을 전망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M. Wolraich, P. Dworkin, D. Drotar, E. Perrin, "Developmental-behavioral Pedia trics: Evidence and Practice", pp.974-975, Elsevier Health Sciences, January, 2008. ISBN: 9780323040259 

  2. T. G. Park, "48% of high school girls. 19% of boys suffer pain from spinal flexion", JoongAngilbo, c1997[cited 1997 March 03], Available From : http://news.joins.com/article/3414475 (accessed Jan. 8, 2018) 

  3. IMS Research, "Wearable Technology Market to Exceed $6 Billion by 2016", Modern Health Talk, [cited 2012 August 13], Available From : http://www.mhealthtalk.com/wearable-technology-market -to-exceed-6-billion-by-2016/ (accessed Jan. 15, 2018) 

  4. G. S. Moon, E. L. Lee, "The Analysis of the Muscle Fatigue for the Lower Limbs Muscle during the Level and Downhill Running",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ol.17, No.4, pp.181-190, 2007. DOI: https://dx.doi.org/10.5103/KJSB.2007.17.4.181 

  5. C. J. Smith, G. Havenith, "Body mapping of sweating patterns in male athletes in mild exercise-induced hyperthermia",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111, No.7, pp.1391-1404, 2011. DOI: https://dx.doi.org/10.1007/s00421-010-1744-8 

  6. K. G. Princy, R. Joseph, C. S. Kartha, "Studies on Conductive Silicone Rubber Compounds",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Vol.69, No.5, pp.1043-1050, 1998. DOI: https://dx.doi.org/10.1002/(SICI)1097-4628(19980 801)69:5%3C1043::AID-APP24%3E3.0.CO;2-0 

  7. A. Saleem, L. Frormann, A. Soever, "Fabrication of Extrinsically Conductive Silicone Rubbers with High Elasticity and Analysis of Their Mechan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Polymers, Vol.2, No.3, pp.200-210, 2010. DOI: https://dx.doi.org/10.3390/polym2030200 

  8. T. J. V. Guerreiro, J. A. P. Jorge, T. Jo, J. Armando, P. Jorge, (2006), EMG as a Daily Wearable Interface, GRAPP 2006: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Graphics Theory and Applications, pp.216-223, Feb. 25-28, pp.216-2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