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촌신방(舟村新方)』 소아질환의 처방 분석과 의학지식의 전승 관계 고찰
Analysis of Pediatric Prescription in 『Juchonsinbang』 and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of Medical Knowledge 원문보기

한국의사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v.31 no.1, 2018년, pp.43 - 55  

황지혜 (경희대학교 대학원 기초한의과학과) ,  한지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역사학과) ,  김남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 review of Juchon (舟村) Sinman's (申曼) book "Juchonsinbang (舟村新方)", describing generations of clinical experience in pediatric practice. Written during King Sukjong era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JuchonSinman used symptoms and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舟村新方란 무엇인가?  『 舟村新方』 은 숙종 대 舟村 申曼(1620~1669)이 병자호 란을 겪은 후 懷德 鎭岑의 舟村에 은거하며 1) 저술한 의서로, 궁벽한 민가에서도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치료 법을 수록한 임상 경험방서이다.
기존 종합의서를 일반 대중이 활용할 수 없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국가가 의학을 주도하였지만, 이러한 위급한 상황에서는 의료 및 구료기능이 일반 대중에게까지 미치는데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2) 『 東醫寶鑑 』 을 비롯한 기존 종합의서들은 복잡한 의학 이론과 그에 따른 치료법이 다양하고 번잡하여, 일반 대중들이 활용하기에 매우 제한적이었다. 향촌에 은거하는 많은 지식인과 유학자들은 자신들의 의학적인 지식과 실증적인 경험방을 축적하여 구료활동에 보완재 역할을 함으로써 민간의 경험의학과 구급 의학이 발전하는 3) 요인이 되었다.
舟村新方 연활자본의 목차 구성의 특징은 무엇인가? 2종의 필사본은 『 東醫寶鑑』 을 비롯한 기존 종합의서와 유사한 편제 구성을 보이는 반면, 연활자본은 「小兒編」, 「婦人編」, 「大人 編」의 사람을 중심으로 목차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체제는 필사본뿐만 아니라 일반 종합의서에서 찾기 힘든 독특한 구성이며, 질병을 중심으로 보아서는 안 되고 인간을 중심으로 보아야 한다는 저자의 의학관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舟村新方, 東醫寶鑑, 宜彙, 袖珍經驗神方, 傷寒經驗方要撮, 及幼方, 漢方醫學小兒全科 

  2. 김기봉, 김덕곤, 김윤희, 김장현, 민상연, 박은정 등. 한방소아청소년의학. 서울:의성당. 2010. 

  3. 김경호. 復泉 姜鶴年의 생애와 학문.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유학연구. 2009;20:185-220. 

  4. 김남일. 한의학에 미친 조선의 지식인들 . 파주:들녘. 2011. 

  5. 김도훈. 申曼의 생애와 舟村新方에 관한 연구. 대한의사학회. 2007;16(2):133-150. 

  6. 맹웅재, 엄태식, 유희영. 保幼新編의 의사학적 가치. 원광한의대논문집. 1985. 

  7. 김기욱, 김남일, 김도훈, 김용진, 김홍균, 맹웅재 등. 한의학통사. 고양:대성의학사. 2006. 

  8. 申曼. 국역 舟村新方. 대전:한국한의학연구원. 2007. 

  9. 안상우. 소아병원록. 민족의학신문 고의서 산책 242. 

  10. 안상우. 전통의학 지식정보 기반 구축(II). 대전:한국한의학연구원. 2006. 

  11. 양승률. 주촌 申曼의 保幼新編 편찬과 舟村新方. 장서각. 2011;25:52-77. 

  12. 오준호, 박상영, 차웅석. 19세기 의방서 宜彙의 구성과 내용. 한국한의학연구원 논문집. 2010;16(1):11-17. 

  13. 전종욱. 單方新編 이후 문헌 전승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4;27(4):1-13. 

  14. 한지원. 일제강점기 單方新編의 편제와 내용. 장서각. 2015;33:258-288. 

  15. 한지원. 조선시대 산과전문의학의 발달사. 고려대학교 해외한국학자료센터. 

  16. 황지혜. 舟村新方에 대한 의사학적 연구 -연활자본 小兒編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7. 孝宗命撰 原著. 한국한의학연구원. 국역 三方撮要. 대전:한국한의학연구원. 2017. 

  18. 許浚. 대역 東醫寶鑑. 경남:東醫寶鑑출판사. 2005. 

  19. 彭?仁. 中?方?大?典. 北京:人民?生出版社. 2005. 

  20. 한의학고전DB. 

  21. 한의고전명저총서.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