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거 문헌 비교를 통한 원주천 수서곤충 군집구조 변화
Changes in Aquatic Insect Community Structure in Wonju Stream based on a Comparison of Previous Studies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6 no.3, 2018년, pp.400 - 411  

한중수 (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  최준길 (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  원경호 (원주시청) ,  이황구 (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5년 5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원주시의 주요 하천인 원주천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점은 상류지역인 관설동에서 하류지역인 호저면까지 총 3지점을 선정하였으며, 물리 화학적 분석, 수서곤충상 변화, 군집분석, 기능군 분석, Rarefaction curve, 통계분석 등을 실시하여 2004년의 연구와 비교 분석하였다. 2004년과 2016년의 종비율과 개체수 비율을 비교한 결과, 종비율은 2004년에 19종 (38.78%), 2016년에 22종 (36.67%)으로 하루살이목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개체수 비율은 2004년에 27,759.2개체(ind. $m^{-2}$, 84.30%), 2016년에 4,573.2개체(ind. $m^{-2}$, 41.64%)로 파리목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체 출현종 변화를 분석한 결과 공통종은 총 26종, 2004년에만 출현한 종은 총 23종, 2016년에만 출현한 종은 총 34종으로 분석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2004년, 2016년의 우점도지수, 다양도지수, 균등도지수, 풍부도지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전체 우점종은 2004년, 2016년 모두 깔따구류(Cronomidae sp.)로 분석되었으며, 아우점종은 2004년에는 줄날도래 (Hydropsyche kozhantschikovi), 2016년에는 명주 각다귀 KUa (Antocha KUa)로 나타났다. 기능군 분석 결과, 서식기능군은 Burrowers가 평균 -68.00% (${\pm}2.15$)로 가장 큰 변동율을 나타내었으며, 섭식기능군은 Collector-gathers가 평균 -40.12% (${\pm}1.77$)로 가장 큰 변동율을 나타내었다. Rarefaction curve 분석 결과, 연도별 관찰된 개체수를 71개체(ind. $m^{-2}$)로 가정할 때 2004년에 6종, 2016년에 8종으로 중류지역에서 종이 가장 빈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물리적 요인, 수질, 군집지수, 종수, 개체수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물리적 요인 및 수질은 다양도지수, 균등도지수, 개체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MDS 분석 결과, 2004년에는 상 하류지역의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2016년에는 상 하류지역의 유사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어 물리 화학적 환경변화가 원주천 일대 수서곤충의 종조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 survey of the Wonju stream in Wonju city from May 2015 to September 2016. A total of three sites were selected from the upstream area Gwanseol-dong to the downstream area Hojeo-myeon. Physicochemical analysis, aquatic insect changes, cluster analysis, functional group analysis, ra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6) 등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원주천에 서식하고 있는 수서곤충을 대상으로 군집구조 및 다양한 항목의 분석으로 과거 문헌자료와 비교를 통해 현재 원주천에 서식하고 있는 수서곤충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고자 하며, 향후 하천생태계 복원 및 보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주천은 무엇인가? 원주천은 치악산과 백운계곡에서 발원하여 유로연장 24.8 km, 유역면적 154.15 km2로 원주시를 지나는 대표적인 도시하천으로서 영량천, 흥양천, 단계천 등의 소하천과 합류되어 섬강으로 유입된다. 원주천은 과거 상류부터 하류까지 약 40여개의 보가 설치되어 있어 하상구조가 변화하고 유기물의 축적에 따라 수질오염이 발생하였다(Shin et al.
원주천에서 하수관거정비 BTL(Build Transfer Lease) 사업을 수행한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원주천에서는 유량증가로 제방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제방쌓기, 하천 생물의 서식처 및 피난처 역할을 하는 수변부 조성, 보에 의해 유속이 낮은 정수의 환경에서 유수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여울형 낙차보 설치 및 정비, 하상구조의 다양화를 위한 콘크리트 포장 철거 및 자연석 돌 붙임, 상·하류하천의 단절화를 방지하기 위한 어도 설치 등 많은 물리적인 변화를 시도하였다. 또한 하수관거 시설을 정비하여 지하수 오염방지 및 하수종말처리장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하수관거정비 BTL(Build Transfer Lease) 사업, 수질개선을 위한 공공하수처리장의 고도수처리 시설 가동 등으로 인해 긍정적인 물리·화학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하천생태계는 어떠한 기능을 담당하는가? 하천생태계는 하천에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공간 및 이동통로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에너지의 고정과 순환, 오염물질 정화 등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Byeon 2013). 또한 육상생태계와 인접하고 있어 하천에 서식하고 있는 생물뿐만 아니라 육상에 서식하는 생물에게도 서식처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Vannot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BaeYJ , DH Won, DH HwangYH Jin and JM Hwang. 2003. Community composition and functional feeding groups of aquatic insects according to stream order from the Gapyeong creek in Gyeonggi-do, Korea . Korean J. Limnol.36:21-28. 

  2. 10.1007/BF02829098 BaeYJ , HK Kil and KS Bae. 2005. Benthic macroinvertebrates for uses in stream biomonitoring and restoration . KSCE J. Civ. Eng.9:55-63. 

  3. BaeYJ , SY Park, SJ Park, JM Hwang and JM Hur. 1998. Aquatic insect community in a mountain stream of Chiaksan . Korean J. Nat. Sci.10:7-20. 

  4. BaeZU , SH Lee and SH Lee. 2001. Study on the long-term change of water quality of the Kumho river (II) . J. Korean Chem. Soc.45:14-24. 

  5. 10.1007/978-1-4613-3775-1 BarnesJR and GW Minshall. 1983. Stream ecology: Application and testing of general ecological theory. Plenum Press. London. 

  6. 10.7229/jkn.2011.4.4.255 ByeonHK . 2013. The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and population of Zacco koreanus in the Bongseonsa stream, Korea . J. Korean Nat.4:255-262. 

  7. CharlesMC and ML Williams. 1992. Water quality and agriculture Mississippi experiences . J. Soil Water Conserv.47:220-223. 

  8. ChoiHS and CM Yu. 1998. A study on the epilithic algae in a stream drained from hot springs. Korean J. Environ. HealthSci.24:131-136. 

  9. ChoiJK , HS Shin and JS Choi. 2005. Fish community analysis in the Wonju stream . Korean J. Environ. Ecol.19:46-54. 

  10. ChoiJK , HS Shin, O Mitamura and SJ Kim. 2008. Health assesment of aquatic ecosystem for Wonju stream using the composition of aquatic insects . Korean J. Environ. Ecol.22:544-550. 

  11. 10.1002/iroh.201401745 ChoiJY , KS Jeong and GJ Joo. 2015. Rainfall as dominant driver of rotifer dynamics in shallow wetlands: evidence from a long-term data record (Upo wetlands, South Korea) . Int. Rev. Hydrobiol.100:21-33. 

  12. ChoiJY , SK Kim, DH Kim and GJ Joo. 2016. Role of aquatic macrophytes as refuge of zooplankton on physical distribution (summer rainfall) in shallow wetlands . Korean J. Limnol.49:308-319. 

  13. 10.2307/2422722 CumminsKW . 1962. An evalua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 . Am. Midl. Nat.67:477-504. 

  14. 10.11626/KJEB.2017.35.1.083 HanJS , JH Wang, JE Kim, JH Jung, YJ Bae, JK Choi and HG Lee. 2017. The effects of thermal discharge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structure in Buso stream . Korean J. Environ. Biol.35:83-94. 

  15. 10.4491/KSEE.2011.33.8.564 HurJW , HS Kang and MH Jang. 2011. Investigation on physical habitat condition and fish fauna in Dal stream of Han river basin . J. Korean Soc. Environ. Eng.33:564-571. 

  16. HynesHBN . 1960. The biology of polluted water. University of Liverpool Press. England. 

  17. JamesFC and S Rathbun. 1981. Rarefaction, relative abundance and diversity of avian communities . The Auk98:785-800. 

  18. 10.1016/S0038-0717(02)00079-2 JonnaP and F Hannu. 2002. Short and long-term effects of wood ash on the boreal forest humus microbial community . Soil Biol. Biochem.34:1343-1353. 

  19. JungYT , DB Lee, KB Lee, MY Kim, BH Kim, MK Choi and ST Park. 1999. Influence of spa sewage on the water and soil pollution and restoration: I. Influence of spa sewage on the pollution of stream water and agricultural land . Korean J. Environ. Biol.17:337-344. 

  20. KilHK , DG Kim, SW Jung, IK Shin, KH Cho, HS Woo and YJ Bae. 2007. Chang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after a small dam removal from the Gyeongan stream in Gyeonggi-do, Korea . Korean J. Environ. Biol.25:385-393. 

  21. KimJK , SJ Kang, SH Seo and WC Park. 1998. The survey of regional and season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Nakdong river . Korean J. Res. Agric. Sci.16:75-83. 

  22. 10.17280/jdd.2009.9.4.046 LeeCS and JW Rhee. 2009. Research on river landscape design by analyses of urban river design: Focus on landscape designing of Yoe Chon river. Korean J . Digital Design9:475-486. 

  23. LeeJS , BY Kim and KD Woo. 1994. Chemical composition of precipitation in Suwon area and its effect on crop development . Korean J. Limnol.45:72-81. 

  24. LeeSS . 2003. A study on the oxygen transfer efficiency for the Ecological habitat in the river riffles. University of Chungang Press. 

  25. 10.5141/JEFB.2004.27.6.325 LeeWH , JD Jang, BI Choi, SR Kang and KC Kwon. 2004. Bird diversity on area around the Ulsan mosaic landscape . Korean J. Ecol.27:325-333. 

  26. Margalef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 General Systems3:36-71. 

  27. McCaffertyWP . 1981. Aquatic entomology: The fisherman s and ecologist s illustrated guide to insects and their relatives. Science Book International. Boston. 

  28. 10.1038/216168b0 McNaughtonSJ .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 Nature216:168-169. 

  29. MerrittRW , KW Cummins and MB Berg. 2008.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4th ed). Kendall/ Hunt Publisher, Dubuque. 

  30. 10.1890/1540-9295(2007)5[33:FBWMIE]2.0.CO;2 MorseJC , YJ Bae, G. Munkhjargal, N Sangpradub, K Tanida, TS Shivkova, BX Wang, LF Yang and CM Yules. 2007. Freshwater biomonitoring with macroinvertebrates in east Asia . Front. Ecol. Environ.5:33-42. 

  31. NaKB . 2005. Taxonomy of the Chironomidae (diptera, insecta) in Seoul-Gyeonggi area, Korea. University of SeoulWomen s Press. 

  32. 10.11626/KJEB.2017.35.4.684 ParkHK , JK Choi, KH Won and HG Lee. 2017. Study on the evaluation of ecological health by using fish communities in the Wonju stream, Korea . Korean J. Environ. Biol.35:684-693. 

  33. PielouEC . 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 Sons Press. New York. 

  34. 10.1641/0006-3568(2002)052[0659:HDVAWI]2.0.CO;2 PoffNL and DD Hart. 2002. How dams vary and why it matters for the emerging science of dam removal. Bioscience52:659-668. 

  35. RoTH and DJ Chun. 2004. Functional feeding group categorization of Korean immature aquatic insects and community stability analysis . Korean J. Limnol.37:137-148. 

  36. Shannon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Shin HS. 2005. Health assessment of ecosystem based on the composition of aquatic insects in Wonju stream. University of Sangji Press. 

  37. ShinHS , SC Park, JK Kim, SJ Kim, JH Park, JS Choi and JK Choi. 2006. Community analysis based on functional feeding groups of aquatic insects in Wonju stream . Korean J. Environ. Ecol.20:259-266. 

  38. 10.2307/1468307 StanleyEH , AL Michelle, MW Doyle and DW Marshall. 2002. Short-term changes in channel form and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following low-head dam removal . J. N. Am. Benthol. Soc.21:172-187. 

  39. 10.1139/f80-017 VannoteRL , GW Minshall, KW Cummins, JR Sedell and CE Cushing. 1980. The river continuum concept . Can. J. Fish. Aquat. Sci.37:130-137. 

  40. WardJV . 1992. Aquatic insects ecology (1. Ecology and habitat). John Wiley & Sons. Inc. p. 438. 

  41. WiederholmI. 1983. Chironomidae of the Holaretic region, keys and diagnoses: Part I, larvae . Entomol. Scand.Suppl. 19:1-457. 

  42. WonDH , SJ Kown and YC Jun. 2005. Aquatic insects of Korea. Korea Ecosystem Service press. Seoul. 

  43. YoonIB 1988.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aquatic insects). Ministry of Education press. Seoul. 

  44. YoonIB . 1995. Aquatic insects of Korea. Junghaengsa press. 

  45. YoonIB , DS Kong and JK Ryu. 1992. Studies on the biological evaluation of water quality by benthic macroinvertebrates: (1) Saprobic valency and indicative value . Korean J. Environ. Biol.10:24-39. 

  46. YoonSA , NY Kim, BH Kim and SJ Hwang. 2010. Effects of an inflowing urban stream (Wonju stream) on epilithic diatom assemblages in the lower Seom river . Korean J. Limnol.43:232-2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