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온과 토양수분 함량에 따른 난지형 마늘의 생장, 인편분화, 생리장해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ation of Air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Contents on Growth, Clove Initiation, Physiological Disorders, and Yield of Garlic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7 no.3, 2018년, pp.191 - 198  

이희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이상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스마트팜개발과) ,  김성겸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문보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이진형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이희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권영석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한지원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김철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온도와 토양수분에 따른 마늘의 생육, 생리장해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은 온도가 $6^{\circ}C$ 차이가 나는 온실에서 수행되었는데, 정식부터 수확까지 외기(A)보다 $3^{\circ}C(A+3^{\circ}C)$, $6^{\circ}C(A+6^{\circ}C)$ 고온조건, 토양수분은 적습(OI) 대비 수확기 무렵의 다습(EI) 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 마늘 생육특성은 온도와 토양수분 조건($0.34m^3/m^3$)에 따라 고도의 유의성을 보여 고온일수록 그리고 적습 처리구일수록 컸다. 초장은 외기보다 $A+6^{\circ}C-OI$ 처리구에서 47.4cm로 가장 컸으며, 엽장과 엽폭 역시 외기보다 $A+6^{\circ}C-OI$ 처리구가 각각 16.1cm, 2.4cm로 가장 컸다. 마늘재배 기간 중 외기보다 $3^{\circ}C$, $6^{\circ}C$ 고온조건이 되면 스펀지마늘 발생율이 높아져 $A+6^{\circ}C-OI$ 처리구는 12.9% 발생하였고, A-EI 처리구에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인편무게와 1쪽당 무게는 $A+6^{\circ}C$ 고온구에서 크게 감소하여 수량이 외기대비 $A+6^{\circ}C$ 처리구는 평균 51%, $A+3^{\circ}C$ 처리구는 평균 22% 감소하였다. 따라서, 마늘재배시 외기보다 $6^{\circ}C$ 고온조건과 다습조건이 되면 상품수량 감소하고, 생리장해 발생이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ombination of air temperature and soil water contents on growth, physiological disorder rate, and yield of garlic. This experiments has been carried out in the typical plastic house (one side open and other side installed ventilation fa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마늘 재배기간 동안의 온도와 토양수분과의 교호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며, 재배 전 생육 기간 동안의 온도와 토양 수분 함량의 차이를 주는 처리구를 설계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는 온도 차 하우스 내에서 재배기간 중 온도상승과 토양수분 함량에 따른 난지형 마늘의 생장, 생리장해, 인편분화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늘의 생태적인 특성은 무엇인가? 8kg으로 소비가 많은 작물이다(KOSTAT, 2017). 마늘의 생태적인 특성은 호냉성 채소로 생육에 적합한 최적온도가 18-20oC이고, 인편분화는 10oC에서도 가능하지만 20oC 전후에서 가장 잘 되며(Lee, 2003), 정식 후초기 저온의 영향을 받은 후 온도가 상승하면서 구비대가 이루어져 수확을 할 수 있다(Bandara 등, 2000; Rahim 과 Fordham, 2001; Song 등, 2001). 한편 인경비대는 식물호르몬 등 내적인 요인과 온도 등 외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아 인편이 분화되면서 비대가 된다고 알려져 있다(Takagi,1990; Sohn 등, 2010).
우리나라가 열대 또는 아열대 기후대로 바뀌게 되는 조건은? 5(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를 선택하여 탄소배출을 법적으로 제한할 것을 제시하였다(NIMR, 2011). RCP 8.5 조건은 2100년이 되면 지구의 온도가 현재보다 약 6.0oC 상승하고, CO2 농도는 940µmol·mol-1 로 높아지며 강수량이 현재보다 20% 정도 증가한다는 가상시나리오이다. 이와 같은 조건이 된다면, 우리나라는 열대 또는 아열대 기후대로 바뀌게 되어 현재 재배되고 있는 작물 품종으로는 생산성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등 농업분야에도 대비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난지형 마늘의 특징은? 한편 인경비대는 식물호르몬 등 내적인 요인과 온도 등 외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아 인편이 분화되면서 비대가 된다고 알려져 있다(Takagi,1990; Sohn 등, 2010). 난지형 마늘은 한지형에 비해서 높은 온도를 요구하지만 고온 및 다습 조건이 되면 마늘 구의 무게가 감소하거나 부패증상이 많아져 수량이 떨어지고(Cho 와 Lee, 2008), 멀칭재배로 인한 지온상승 역시벌마늘 등 생리장해 발생을 초래한다(Choi 등, 2009)고알려져 있다. Oh 등(2016)은 주야간 온도가 생육적온 이상이 되면 잎줄기가 터지거나 마늘구가 갈라지는 등 생리장해 발생이 많아져 수량이 감소한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bdullah, Z.N., and R. Ahmad. 1980. Effect of ABA and $GA_3$ on tuberization and some chemical constituents of potato. Plant Cell Physiol. 21: 1343-1346. 

  2. Bandara, M.S., K. Krieger, A.E. Slinkard, and K.K. Tanino. 2000. Pre-plant chilling requirements for cloving of springplanted garlic. Can. J. Plant Sci. 80:379-384. doi: 10.4141/P99-074. 

  3. Cho, J., and S.K. Lee. 2008. Current research status of postharvest technology of garlic (Allium sativum L.). Korean J. Hortic. Sci. Technol. 26:350-356. 

  4. Choi, H.S., E.Y. Yang, W.B. Chae, Y.B. Kwack, and H.K. Kim. 2009. Effect of soil temperature, seedtime, and fertilization rate on the secondary growth in the cultivation of the big bulbils of namdo garlic (Allium sativum L). J. Bio-Environ. Cont. 18:454-459. 

  5.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13. Climate change 2013: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 governma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6. KOSTAT statistics Korea. 2017. Crop production statistics. http://www.kosis.kr. Accessed 30 August 2017. 

  7. Lee, J.M. 2003. Vegetable horticulture. 1th ed., Hyang Moon Sa. Seoul Korea. P. 421. (In Korean). 

  8. Lee, K.C., H.S. Kim, H.S. Noh, J.W. Kim, and S.S Han. 2012. Comparison of photosynthetic responses in Allium microdictyon prokh and Allium ochotense prokh from atmosphereleaf vapor pressure deficit (VPD).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0:171-176. 

  9. Lee, S.G., S.K. Kim, H.J. Lee, C.S. Choi, and S.T. Park. 2016.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growth,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and yield of Kimchi Cabbage leaves. Hortic. Environ. Biotechnol. 57:470-477. 

  10. Lee, S.G., S.K. Kim, H.J. Lee, H.S Lee, and J.H. Lee. 2018. Impact of moderate and extreme climate change scenarios on growth, morphological features, photosynthesis, and fruit production of hot pepper. Ecol. Evol. 8:197-206. 

  11. Lim, K.B., K.C. Son, and J.D. Chumg. 1997a. Influences of difference between day and night remperature (DIF)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bell pepper plants before and after transplanting. J. Biol. Prod. Facilities Environ. Cont. 6:15-25. 

  12. Lim, K.B., K.C. Son, and J.D. Chumg. 1997b. Influences of DIF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plug seed-lings of Lycopersicon esculentum before and after transplanting. J. Biol. Prod. Facilities Environ. Cont. 6:34-42. 

  13. NIMR. 2011. Climate change scenario report.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pp. 79-99. 

  14. Oh, S.J., K.H. Moon, and S.C. Koh. 2015. Assessment of high temperature impacts on early growth of garlic plant (Allium sativum L.) through monitoring of photosystem II activities. Korean J. Hortic. Sci. Technol. 33:829-838. doi: 10.7235/hort.2015.15078. 

  15. Oh, S.J., K.H. Moon, and S.C. Koh. 2016. Effects of different day/night temperature regimes on growth and clove development cool-type garlic (Allium sativum L). Korean J. Hortic. Sci. Technol. 35:1-10. 

  16. Rahim, M.A., and R. Fordham. 2001. Environmental manipulation for controlling bulbing in garlic. Acta Horticul. 555:181-188. doi:10.17660/ActaHortic2001.555.27 

  17. Song, I.G., S.G. Hwang, and J.K. Lee. 2001. Garlic cultiva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ammi Publishing Company. Suwon. Korea. 

  18. Takagi, H. 1990. Garlic(Allium sativum L.) In: Brewster JL, Rabinowitch HD (eds.). Onions and Allied Crops ?: Biochemistry, Food Science, and Minor Crops.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USA. 

  19. Wi, S.H., K.H. Moon, E.Y. Song, I.C. Son, S.J. Oh, and Y.Y. Cho. 2017. Growth and fresh bulb weight model in harvest time of southern type garlic Var. 'Namdo' based on temperature. Protected Hortic. Plant Factory, 26:13-18. 

  20. Xu, X., A.A.M. van Lammeren, E. Vermeer, and D. Vreugdenhil. 1998. The role of gibberellin, abscisic acid, and sucrose in the regulation of potato tuber formation in vitro. Plant Physiol. 117:575-584. 

  21. Yamazaki, H., T. Nishijima, and M. Koshioka. 1995. Changes in abscisic acid content and water status in bulbs of Allium wakegi Araki throughout the year. J. Jpn. Soc. Hort. Sci. 64:589-598. 

  22. Yamazaki, H., T. Nishijima. M. Koshioka, and H. Miura. 2002. Gibberellins do not act against abscisic acid in the regulation of bulb dormancy of Allium wakegi Araki. Plant Growth Regul. 36:223-229. 

  23. Yamazaki, H., T. Nishijima, Y. Yamato, M. Hamano, K. Koshioka, and H. Miura. 1999. Involvement of abscisic acid (ABA) in bulb dormancy of Allium wakegi Araki II. A comparison between dormant and nondormant cultivars. Plant Growth Regul. 29:195-2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