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접 관절에서 유래한 내측 족저 신경의 결절종에 의해 유발된 족근관 증후군: 증례 보고 -재발 방지를 위한 수술적 치료법-
Tarsal Tunnel Syndrome Resulting from a Joint Originated the Intraneural Ganglion of the Medial Plantar Nerve: A Case Report -Surgical Treatment for Prevention of Recurrence- 원문보기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v.22 no.1, 2018년, pp.44 - 47  

김기범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 ,  박철현 (영남대학교병원 정형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are a few reports on tarsal tunnel syndrome resulting from the intraneural ganglion. Although it can occur through a connection with the adjacent joint, there is no consensus on its pathogenesis and treatment method. This paper reports a case of tarsal tunnel syndrome resulting from the intr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저자들은 후경골 신경의 내측 족저 분지에서 발생한 신경 내 결 절종에 의해 유발된 족근관 증후군을 경험하였고, 신경 내 결절종에 대한 감압술과 관절낭에 대한 철저한 변연절제술 등을 통하여 재발 없이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신경 내 결절종의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많지 않지만 활액가설(synovial theory)이 가장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신경 내 결절종이 관절 분지(articular branch)를 통해 인접 관절과 연결되고, 이를 통해 관절액이 교통하여 결절종이 형성된다는 이론이다. Spinner 등7) 은 경골 신경에서 발생한 신경 내 결절종의 관절 연결에 대한 후향적 MRI 분석을 통해, 족근관 내 신경 내 결절종은 관절 분지를 통해 인접한 관절과 연결되어 있고, 경골 신경의 주행을 따라 근위부로 확장된다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족근관 증후군이란? 족근관 증후군은 내측 족근 관절의 굴곡 지대 아래로 주행하는 후경골 신경이나 그 분지가 압박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포착 신경 병증을 일컫는다. 1)족저부 통증의 정도와 감각 이상을 호소하는 범위가 다양하고, 외상이나 공간 점유 병소(space occupying le-sions, SOLs), 족부 기형 등에 의한 신경의 압박뿐만 아니라 후경골 신경 자체 또는 그 분지의 해부학적 다양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활액가설이란 무엇인가? 신경 내 결절종의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많지 않지만 활액가설(synovial theory)이 가장 보편적으로 받아들 여지고 있다. 신경 내 결절종이 관절 분지(articular branch)를 통해 인접 관절과 연결되고, 이를 통해 관절액이 교통하여 결절종이 형 성된다는 이론이다. Spinner 등 7) 은 경골 신경에서 발생한 신경 내 결절종의 관절 연결에 대한 후향적 MRI 분석을 통해, 족근관 내 신 경 내 결절종은 관절 분지를 통해 인접한 관절과 연결되어 있고, 경골 신경의 주행을 따라 근위부로 확장된다고 하였다.
SOLs의 특징은? 1)족저부 통증의 정도와 감각 이상을 호소하는 범위가 다양하고, 외상이나 공간 점유 병소(space occupying le-sions, SOLs), 족부 기형 등에 의한 신경의 압박뿐만 아니라 후경골 신경 자체 또는 그 분지의 해부학적 다양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1,2)SOLs은 잘 알려진 족근관 증후군의 원인이며 정맥류, 결절 종, 지방종, 신경초종(neurilemoma), 외골증(bony exostosis)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2,3)결절종은 족근관 증후군을 일으키는 SOLs 중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신경 내에 발생하는 신경 내한 보고는 아주 드물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Ahmad M, Tsang K, Mackenney PJ, Adedapo AO. Tarsal tunnel syndrome: a literature review. Foot Ankle Surg. 2012;18:149-52. 

  2. Lau JT, Daniels TR. Tarsal tunnel syndrome: a review of the literature. Foot Ankle Int. 1999;20:201-9. 

  3. Sung KS, Park SJ. Short-term operative outcome of tarsal tunnel syndrome due to benign space-occupying lesions. Foot Ankle Int. 2009;30:741-5. 

  4. Spinner RJ, Desy NM, Rock MG, Amrami KK. Peroneal intraneural ganglia. Part I. Techniques for successful diagnosis and treatment. Neurosurg Focus. 2007;22:E16. 

  5. Spinner RJ, Wang H. The first described joint-associated intraneural ganglion cyst. Neurosurgery. 2011;69:1291-8. 

  6. Fujita I, Matsumoto K, Minami T, Kizaki T, Akisue T, Yamamoto T. Tarsal tunnel syndrome caused by epineural ganglion of the posterior tibial nerve: report of 2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Foot Ankle Surg. 2004;43:185-90. 

  7. Spinner RJ, Dellon AL, Rosson GD, Anderson SR, Amrami KK. Tibial intraneural ganglia in the tarsal tunnel: is there a joint connection? J Foot Ankle Surg. 2007;46:27-31. 

  8. Friedlander HL. Intraneural ganglion of the tibial nerve. A case report. J Bone Joint Surg Am. 1967;49:519-22. 

  9. Spinner RJ, Atkinson JL, Harper CM Jr, Wenger DE. Recurrent intraneural ganglion cyst of the tibial nerve. Case report. J Neurosurg. 2000;92:334-7. 

  10. Chick G, Alnot JY, Silbermann-Hoffman O. Benign solitary tumors of the peripheral nerves. Rev Chir Orthop Reparatrice Appar Mot. 2000;86:825-3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