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철도사업에서 지적중첩도의 정밀도 향상 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ing Accuracy of Cadastral Overlapping Map in Railway Project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21 no.5 = no.108, 2018년, pp.464 - 475  

오태석 (Geoinformatics, General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  최윤수 (Geoinformatics, General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  김수지 (Real estate major, Graduate school of real estate, Myongj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철도는 폭이 좁고 종 횡 방향으로 수 킬로미터 이상이 연장되는 선형형태의 사업으로 실시설계 단계에서 용지경계선을 결정할 때 연속지적도를 사용한다. 그러나 용지보상 시점에서 지적분할선과 용지경계선이 불일치하게 되면 변경고시, 공기지연 및 추가 예산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측량좌표계, 측량원점, 삼각점 등 서로 다른 기준으로 작성된 연속지적도와 개별지적도를 각각 사용하는 것과 측량시점이 원인으로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는 LX에 선지정측량 및 지적중첩도 작성을 의뢰하여 불일치 문제를 개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사업에서 지적중첩도의 정밀도 향상 방안을 마련해보고자 철도노선 주변의 90개 점을 이용, 일괄적용모델과 구역별모델로 나누어 좌표변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일괄적용 모델의 RMSE는 0.1372로, 3개 구역으로 나눈 구역별모델의 RMSE는 0.0245로 산출되었다. 이에 지적중첩도 작성 시 구역별로 좌표계수를 산출하여 분할적용 하는 것이 오차를 낮출 수 있는 방안임을 도출 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railway is a linear type project of narrow width that extends more than a few kilometer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 continuous cadastral map is used to determine the boundary of a railroad during implementation design. However, if a cadastral line and boundary of railroad are dis...

주제어

참고문헌 (6)

  1. C.H. Yoon (2009) Study on the solution in land category discrepancy by using ortho-image and continuos cadastral map, Marster's Degree, Department of Cadastral GIS Engineering Graduate School Myong Ji University. 

  2. Y.C. Soo (2014) Development of the process of coordinate transformation of local datum cadastral map to the world geodetic system - using adjusted coordinat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2(4-2), pp. 401-412. 

  3. H.J. Duk (2013) Validation of land for incorporation by improving the railway cross-sectional surveying method, Master's Degree, The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4. W.S. Jung, S.G. Kang (2015) A plan for cadastral confirmation surveying of included railways and roads site to land development proje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adastre, 31(2), 29-40. 

  5. J.K. Moon, H.Y. Kwon, H.S. Cho, H.G. Sohn (2014) Improvement of Public Announcement of Topographical Drawing for Linear-Type Infrastruc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4(4), pp. 1327-1334. 

  6. J.K. Shin (2018)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the land compensation delay due to the cadastral inconsistency of the private investment project, Department of Construction Management, Master's Degree,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