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범용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의 확장유한요소법 성능 검증을 위한 2차원 모델 해석
Two-Dimensional Model Analysis for Extended Finite Element Method(XFEM) Verification of General Purpose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원문보기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31 no.4, 2018년, pp.199 - 206  

이영환 ((주)아이소) ,  김동환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박재균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범용유한요소프로그램인 Abaqus의 확장유한요소법(XFEM)의 사용성 검증을 위하여 2차원 모델에 적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기존의 연구에 많이 사용되었던 응집요소(cohesive element) 모델은 균열 경로를 예측하고 요소를 삽입하여야 하는 단점 때문에 실제 균열을 모사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응력의 방향성 및 특이성을 바탕으로 균열의 경로를 예측하는 확장유한요소법(XFEM)이 균열 해석에 있어서 더 발전된 방법으로 이용되어 왔다. 이번 연구에서는 균열의 경로가 자명한 2차원 모델에 사용하여 응집요소해석과 XFEM에 응집요소의 물성을 적용한 해석을 비교하고 XFEM 적용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수치해석으로 균열 발생 직전의 응력분포 및 응력 특이성을 확인하고 실제 균열 발생경로와의 비교를 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몇 가지의 한계를 극복하면 실제 복잡한 모델의 실제 균열진전해석을 수행하여 균열을 모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numerical analysis is applied to a two - dimensional model for verifying the general finite element program, Abaqus' s extended finite element method(XFEM). The cohesive element model used in the existing research has a limitation in simulating the actual crack because of the disadv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XFEM 적용 시 균열 발생 여부는 개별 유한 요소에서의 응력 또는 변형률 값을 기반으로 하여 판별을 하게 되므로 균열 진전 해석 시 유한 요소의 크기와 요소의 배치 형태에 따라서 해석 결과가 달라질 가능성에 대해서도 확인을 하여 보았다. 이를 위하여 Fig.
  • 파괴역학에서 제공하는 기본 파괴 모드의 형상을 reference 모델로 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본론에서는 수치해석 결과 비교에 앞서 확장유한요소법에 대한 간단한 정리로 확장유한요소법의 기본적인 메카니즘을 소개하고 수치해석 결과를 분석할 수 있도록 기술하였다.

가설 설정

  • 균열이 발생한 영역을 표현하기 위한 변위장은 불연속 점프가 일어나는 요소에서의 확장변위와 균열 선단을 포함하는 요소에서의 확장변위를 포함하여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정한다.
  • 이 기준은 균열이 처음에 발생된 방향으로 진전된다고 가정한다. Fig.
  • 최대 에너지 방출 속도 기준은 균열이 초기에 Gk를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진전한다고 가정한다.
  • 해석 모델 상에 초기 균열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으며 해석 편의 상 해석 모델 전체를 균열 진전이 가능한 영역으로 지정하였다.
  • 해석 모델은 앞서 Fig. 5, 6의 인장 시편을 변형하여 수평 으로 2개의 구멍이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Fig. 12에 그 형상을 나타내었다. 시편 형상 외 다른 조건들은 모두 이전과 동일하게 설정을 하였으며 균열 발생 가능 영역은 전과 동일하게 전체 영역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균열의 발생 유무에 민감한 재료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러한 균열들은 규모가 큰 구조물의 경우에 구조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지만 파단균열(failure crack)의 경우 구조물의 붕괴로 이어지므로 사전에 발생원인과 위치가 판단이 된다면 미리 보강이 가능하다. 또한 구조물 뿐만 아니라 폭발매개체, 압축재료 등과 같은 균열의 발생 유무에 민감한 재료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를 통해 재료에 대한 기본적인 물성이 제공되고 범용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에서 균열 진전 시뮬레이션이 XFEM으로 가능하게 된다면 안전성도 확보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미 존재하는 균열이 진전하는 각도를 결정하는 기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미 존재하는 균열이 진전하는 각도를 결정하는 여러 가지 기준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여러 가지 기준에는 최대접선응력 기준(maximum tangential stress criterion, Erdogan and Sih, 1963), 최대주응력 기준(maximum principal stress criterion, Maiti and Smith, 1983), 최대 에너지 방출률 기준(maximum energy release rate criterion, Palaniswamy and Knauss, 1978; Hussain, Pu, and Underwood, 1974), 최소 탄성에너지밀도 기준(minimum elastic energy density criterion, Sih, 1973), 그리고 T-기준(T-criterion, Theocaris, 1982) 등이 있다. 이러한 기준들은 초기 균열의 진전에서 약간 다른 방향들을 주지만, 전부 다 균열 선단에서 KⅡ=0을 암시하고 있다(Cotterell and Rice, 1980).
구조물에서 균열이 갖는 의미는? 균열은 구조물의 현재 안정성 상태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지표이다. 규모가 큰 콘크리트 구조물을 자세히 보면 수많은 균열들이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baqus (2014) Abaqus Analysis User's Guide Version 6.14, Dassault Systems Simulia Corp. 

  2. Alfarah, B., Lopez-Almansa, F., Oller, S. (2017) New Methodology for Calculating Damage Variables Evolution in Plastic Damage Model for RC Structures, Eng. Struct., 132, pp.70-86. 

  3. Bazant, Z.P., Oh, B.H. (1983) Crack Band Theory for Fracture of Concrete, Mater. & Struct., 16, pp.155-177. 

  4. Belytschko, T., Black, T. (1999) Elastic Crack Growth in Finite Elements with Minimal Remeshing, Int. J. Numer. Methods Eng, 45(5), pp.601-620. 

  5. Budyn, E., Zi, G., Moes, T., Belytschko, T. (2004) A Method for Multiple Crack Growth in Brittle Materials without Remeshing, Int. J. Numer. Methods Eng, 61, pp.1741-1770. 

  6. Cox, B., Yang, Q. (2005) Cohesive Models for Damage Evolution in Laminated Composites, Int. J. Fract., 133, pp.107-137. 

  7. Georgiou, I., Hadavinia, H., Ivankovic, A., Kinloch, J., Tropsa, V., Willians, G. (2003) Cohesive Zone Models and the Plastically Deforming Pell Test, J. Adhes., 79, pp.239-265. 

  8. Ha, S. (2009) Numerical Simulations of Crack Initiation and Propagation Using Cohesive Zone Elements, J. Comp. Struct. Eng. Inst. Korea, 22(6), pp.519-526. 

  9. Kral, P., Hradil, P., Kala, J., Hokes, F., Husek, M. (2017) Identification of parameters of a Concrete Damage Material Model, Proc. Engi., 172, pp.578-585. 

  10. Moes, N., Dolbow, J., Belytschko, T. (1999) A Finite Element Method for Crack Growth without Remeshing, IJNME, 46, pp.131-150. 

  11. Slowik, M., Nowicki, T. (2012) The Analysis of Diagonal Crack Propagation in Concrete Beams, Comput. Mech., 52, pp.261-267. 

  12. Rabczuk, T., Belytschko, T. (2006) Application of Particle Methods to Static Fracture of Reinforced Concrete Strctures, Int. J. Fract, 137, pp.19-49. 

  13. Rabczuk, T., Bordas, S., Zi, G. (2007) A Three Dimensional Meshfree Method for Continuous Multiple-crack Initiation, Propagation and Junction in Statics and Dynamics, Comput. Mech., 40, pp.473-495. 

  14. Slowik, M., Nowicki, T. (2012) The Analysis of Diagonal Crack Propagation in Concrete Beams, Comput.l Mater. Sci., 52, pp.261-267. 

  15. Snozzi, L., Molinari, J.F. (2013) A Cohesive Element Model for Mixed Mode Loading with Frictional Contact Capability, IJNME, 93(5), pp.510-526. 

  16. Sumer, Y., Aktas, M. (2015) Defining Parameters for Concrete Damage Plasticity Model, Chall. J. Struct. Mech., 1(3), pp.149-155. 

  17. Yoo, H., Kim, H. (2016) Simulation of Multi-Cracking in a Reinforced Concrete Beam by Extended Finite Element Method, J. Comput. Struct. Eng. Inst. Korea, 29(2), pp.201-2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