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노인보호자의 부양부담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 of Caregiving Burden on Interpersonal problem of Dementia Caregiver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8, 2018년, pp.379 - 392  

서정열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최장원 (부산외국어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박규암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장대연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치매노인보호자의 부양부담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 7곳, 지방 11곳에 위치한 주간보호센터 및 치매지원센터를 이용하는 치매노인의 보호자 중 자녀 및 며느리 34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26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치매노인보호자의 50.9%가 높은 부양부담을 경험하고 있으며, 43.6%가 고위험의 대인관계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양부담은 대인관계문제에 정적인 영향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가족지지는 부양부담과 대인관계문제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바탕으로 하여 부양부담으로 인해 대인관계문제를 겪고 있는 치매노인보호자들을 위한 가족 및 대인관계 개선 프로그램 도입 등의 실천적, 정책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giving burden on the caregiver's interpersonal problem. In addition, medi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was examined.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a total of 341 sons and daughters in law who are caregivers of dementia elderly us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치매노인보호자가 경험하는 가족지지가 그들이 겪는 대인관계문제에 조절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가정하고, 분석을 통해 실증적인 검증을 하고자 한다,
  • 대상관계이론은 현재의 대인관계는 과거에 이루어진 관계로부터 영향을 받는다는 이론으로서[55], 타인을 대하는 행동양식은 가족체계로부터 형성되어진 대인관계능력의 연장 혹은 반대행동으로 보고 개인이 지각하는 가족 간의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5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매노인보호자에 대한 가족의 지지에 주목하여 가족지지가 대인관계문제의 보호요인으로 작동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 치매노인보호자의 경우 신체적·정서적·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대인관계문제를 겪을 수 있으나 현재까지 보호자의 대인관계와 관련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때문에 부양부담의 하위차원을 구분하여 대인관계문제와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부양부담의 측정도구를 검증한 권중돈은 사회적 활동제한, 노인-주부양자 관계의부적 변화, 가족관계의 부적 변화, 심리 및 건강상의 부담, 경제활동상의 부담 등 6개의 하위차원으로 나누어 부양부담을 구분하였다[46].
  •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치매노인보호자의 부양부담에 따른 대인관계문제를 경감시키고 가족지지를 높이기 위한 개입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치매 노인보호자의 부양부담을 낮추기 위해 가족지지를 염두에 둔 효과적인 정책과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치매노인보호자의 부양부담과 대인관계문제, 가족지지의 실태를 확인하고 변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 본 연구는 치매노인보호자의 부양부담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관계에서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치매노인보호자의 정신건강과 부양부담의 감소를 위한 개입방법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치매노인보호자의 부양부담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을 하였으며 사회 복지적인 개입의 단초를 제공하는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즉, 치매노인보호자의 부양부담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에서, 부양부담이 높더라도 가족지지가 뒷받침되면 대인관계문제를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함으로써 가족지지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 본 연구는 치매노인보호자의 부양부담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관계에서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치매노인보호자의 정신건강과 부양부담의 감소를 위한 개입방법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치매노인보호자의 부양부담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을 하였으며 사회 복지적인 개입의 단초를 제공하는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 치매노인에 대한 부양에 관한 연구는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부양의 이슈로서 부양에 관하여 가장 많이 연구된 분야이다[29]. 본 연구에서는 부양부담을 치매노인을 부양하는 보호자의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부담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치매노인보호자의 부양부담으로 인해 경험할 수 있는 대인관계문제를 조절하기 위한 보호요인으로서 가족지지에 주목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가족지지 등의 사회적 지지가 부양부담 정도를 완화시키고 심리상의 부정적 결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부양부담 자체를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19-21].
  • 지방의 경우, 각 도에 해당하는 도시에 위치한 기관에서 실시하고자 하였고 대구, 부산, 광주, 전주, 대전, 청주, 횡성 등 7개 도시에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선정 후 각 센터 기관장의 동의하에 치매환자 가족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참여에 대한 홍보를 실시하였다. 이후 설문에 참여의사를 보인 치매노인보호자 중 자발적으로 설문에 응답한 자녀와 며느리를 대상으로 한정하여 참여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대표적인 만성질환인 치매에 대한 보호자의 부양부담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부양부담이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을 때,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서 사회복지 관점에서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융합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치매노인보호자의 부양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정책과 제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대표적인 만성질환인 치매에 대한 보호자의 부양부담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부양부담이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을 때,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서 사회복지 관점에서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융합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치매노인보호자의 부양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정책과 제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3. 치매노인보호자의 긍정적인 가족 지지는 부양 부담에 따른 대인관계문제를 조절하는 보호 요인으로 작용을 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노인보호자의 부양부담의 어떠한 문제를 주는가? 치매노인보호자의 부양부담은 개인의 위기뿐만 아니라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줄 수 있다. 치매노인의 증상이 심할수록 보호자의 치매노인의 개인위생관리 등 수발 역할이 증가하고 치매노인의 돌발행동을 방지하기 위해 일거수일투족을 관찰하고 관리해야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치매노인보호자의 지인접촉의 제한, 이웃관계의 부정적 변화, 개인적 외출의 제한 등을 겪게 된다.
치매관리종합계획에 따르면 치매에 대한 사회적 비용은 어떠한가? 이러한 치매 유병률의 상승은 사회적으로 떠안아야 할 경제적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에 따르면 치매에 대한 사회적 비용은 2013년 기준 인구총생산의 1%인 11조 7천억 원이 소요되었으며 갈수록 증가추세를 보여 2030년 23조 1천억 원, 2050년 433조 2천억 원까지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다른 나라에서도 마찬가지로 2011년 치매 치료를 위해 사용된 비용이 암과 심장병을 위한 비용을 제치고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2].
치매노인보호자의 부양부담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6%가 고위험의 대인관계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양부담은 대인관계문제에 정적인 영향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가족지지는 부양부담과 대인관계문제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바탕으로 하여 부양부담으로 인해 대인관계문제를 겪고 있는 치매노인보호자들을 위한 가족 및 대인관계 개선 프로그램 도입 등의 실천적, 정책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3)

  1. Statistics Korea. (2017). 2017 Older statistics. Daejeon : Statistics Korea 

  2.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Third(2016-2020) Dementia management master plan. Sejong :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 J. H. Jeong & Y. S. An. (2016). Development strategy and policy suggestion for cures of dementia . KHIDI expert report, 2016(11). 

  4.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National implementation plans to the responsibility of dementia. Sejong :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5. Statistics Korea. (2006). 2006 Death cause statistics. Daejeon : Statistics Korea 

  6. K. Y. Bae, I. S, Shin, S. W. Kim, J. M. Kim, S. J. Yang, J. U. Mun, H. Y. Shin & J. S. Yoon. (2006). Care Burden of Caregivers according to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Persons.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12(1), 66-75. 

  7. E. C. Clipp & L. K. George. (1993). Dementia and cancer: A comparison of spouse caregivers. The Gerontologist, 33(4), 534-541. doi:http://dx.doi.org/10.1093/geront/33.4.534 

  8. M. G. Ory, I. R. R. Hoffman, J. L. Yee, S. Tennstedt & R. Schulz. (1999). Prevalence and impact of caregiving: a detailed comparison between dementia and nondementia caregivers. The Gerontologist, 39(2), 177-186. 

  9. M. M. Goedendorp, M.F. Gielissen, C.A. Verhagen & G. Bleijenberg. (2009).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reducing fatigue during cancer treatment in adult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 CD006953. 

  10.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National survey on the demented elderly. Sejong :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1. S. Y. Kim, J. S. Kim & H. S. Yoon. (2004). Elderly with Dementia in predictions of gloom and life satisfaction factors of protons and Family Affairs to take car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4, 111-128. 

  12. J. Y. Kim, J. B. Kim, D. Y. Jang & I. H. Song. (2016). A Study on the Effect of Caregiver Burden on Suicidal Ideation among Caregiver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6, 883-903. 

  13. H. K. Kim & G. H. Yoon. (2016). Comparison of the mental burden a normal old man and the Elderly with Dementia.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5, 107-129. 

  14. J. E. Gaugler, S.E. Jarrott, S. H. Zarit, M.A. Stephens, A. Townsend & Greene R. (2003). Adult day service use and reductions in caregiving hours: Effects on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dementia caregive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8(1) 55-62. doi:http://dx.doi.org/10.1002/gps.772 

  15. S. O'Dwyer, W. Moyle & S. Van Wyk. (2013). Suicidal ideation and resilience in family carers of people with dementia: A pilot qualitative study. Aging & mental health, 17(6), 753-760. 

  16. R. Schulz & S. Beach. (1999). Caregiving as a risk factor for mortality. the Caregiver Health Effects Study. 282(23), 2215-2219. 

  17. D. J. Lee. (2002). A Study on the operating support group for the burden of mitigation of protons for the demented elderly caregiver. Master's dissertation, DaeJeon University, Daejeon. 

  18. K. J. Jeong & H. N. Choi. (2011). The effect of Nonviolent Communication model based on centralized group counseling program o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stress and the job satisfaction.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32(1), 31-46. 

  19. S. Y. Cho. (2001). (A) Study of Alzheimer's Disease caregivers' caregiving burden,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Master's dissertation, Ehwa women's University, Seoul. 

  20. W. E. Haley, S. L. Brown & E. G. Levine. (1987). Family caregiver appraisals of patient behavioral disturbance in senile dementia. Clinical Gerontologist, 6, 25-34. 

  21. R. Schulz & G. M. Williamson (1991). A 2-year longitudinal study of depression among Alzheimer's caregivers. Psychology and Aging, 6, 569-578. 

  22. Y. A. Park & O. K. Hwang. (1997). The Relations Between Chidren's Perceptions of Parental Childrearing Behaviors, Family Support, and Their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Behavior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5(1), 225-237. 

  23. J. J. Son. (2010). A study on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perceived family support of adolescent. Master's dissertation. Mokwon University, Daejeon. 

  24. G. P. Hong & H. S. Jeon.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y, Self assertiveness, Interpersonal problems and in College students.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37(1), 34-67. 

  25. M. Ory, & R. Hoffman, J. Yee, S. Tennstedt, & R. Schulz. (1999). Prevalence and impact of caregiving: A detailed comparison between dementia and nonde mentia caregivers. The Gerontologist, 39(2), 177-186. 

  26. A. C. Hurley & L. Volicer. (2002). Alzheimer Disease: It's Okay, Mama, If You Want to Go, It's Okay. Jama, 288(18), 2324-2331. 

  27. J. I. Woo, J. H. Lee, K. Y. Yoo, C. Y. Kim, Y. I. Kim & Y. S. Shin. (1998). Prevalence estimation of dementia in a rural area of Korea.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6(8), 983-987. 

  28. D. Cohen, D. Luchins, C. Eisdorfer & G. J. Paveza, (1990). Caring for relatives with Alzheimer's disease: The mental health risks to spouses, adult children, and other family caregivers. Behavior, Health, & Aging. 

  29. R. Schulz. (2000). Handbook on dementia caregiving: Evidence-based interventions for family caregivers. (Ed.). Springer Publishing Company. 

  30. Y. J. Kim & H. K. Choi. (1993). A Study on the Burden, Gratification, and Family Support of In-Home Dementia Caregiver.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3, 63-83. 

  31. H. J. Lee. (2006). Influencing Factors and Caregiving burden among primary caregiver for Demented Elderly. Korean Journal of Care Work, 2(1), 33-60. 

  32. G. Berger, T. Bernhardt, E. Weimer, J. Peters, T. Kratzsch & L. Frolich. (2005). Longitudin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atology of dementia and levels of subjective burden and depression among family caregivers in memory clinic patients.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and neurology, 18(3), 119-128. 

  33. J. M. Kim, I. S. Shin & J. S. Yoon. (2001). Determinants of Care Burden of Caregiver in Patients with Dementi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40(6), 1106-1113. 

  34. J. D. Kwon. (1994). Policy report to coping strategies and support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Sejong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5. Y. H. Lee. (1998). A Study on the care provider according to the relevant burden of social service needs Between pathology and provider of ash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Korea Academy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workshop presentation file, 73-90. 

  36. H. J. Lee. (2006). The effects of Utilization of Daycare Center on caregiving burden of dementia caregiver.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6(2), 329-346. 

  37. A. S. Lee & H. K. Kim. (2003). Care-givers' Attitude & Determinants about the Burden of the Caring for Senile Dementia Patients. Health and social science, 13, 29-60. 

  38. E. P. Stoller. (1990). Males as helpers: The role of sons, relatives, and friends. The Gerontologist, 30(2), 228-235. 

  39. B. J. Kramer & S. Kipnis. (1995). Eldercare and work-role conflict: Toward an understanding of gender differences in caregiver burden. The Gerontologist, 35(3), 340-348. 

  40. S. Andren & S. Elmstahl. (2007). Relationships between income, subjective health and caregiver burden in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in group living care: a cross-sectional community-base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4(3), 435-446. 

  41. E. H. Gong, E. H. Cho & M. S. Song. (2009). The Burden and Caregiving Satisfaction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Cultural and Non-Cultural Predicto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2), 701-716. 

  42. J. S. Lee & A. S. Park. (2008).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Family Caregiver's Burde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 Focused on the Day Care Center and Nursing Home user's famil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40, 225-248. 

  43. J. C. Baek. (2008). A Study on the interpersonal stress on turnover intent and job attitude. Master's dissertation, Uiduk University, gyeongju. 

  44. I. J. Choi & H. S. Shim. (2010). The Influences of Internalized Shame and Anger Expression on Interperson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koreanpsychology, 22(2), 479-492. 

  45. B. J. Kwon. (2018). The Moderating Effect of Trait meta-mood sca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Master's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Suwon. 

  46. J. D. Kwon. (1996). Measuring the caregiver burden of caring for the demented elderly. Center for social welfare research yonsei university, 3, 140-168. 

  47. B. Chenoweth & B. Spencer. (1986). Dementia: The experience of family caregivers. The Gerontologist, 26, 267-272. 

  48. G. T. Deimling & D. M. Bass. (1986). Symtoms of mental impairment among elderly adults and their effects on family caregivers. Journal of Gerontology, 41, 778-784. 

  49. H. J. Kim, B. E. Kim, E. S. Kim, D. E. Shin, S. Y. Lee & H. L. Jeong. (2016). Correlation of Elderly Activity Leve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6(1), 25-32 

  50. J. M. Lee. (2010).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mily Strength, Self-Differenti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1(3), 1271-1287. 

  51. S. S. Won. (2013). Family Strengths and School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Doctoral dissertation, Uiduk University, gyeongju. 

  52. H. Y. An & Y. S. Seo. (2010). Adult Attachment, Psychological Distress,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Mediating Roles of Reactions to Significant Others' Feedback, Emotional Coping, and Social Support Seeking. korean psychology, 22(3), 575-603. 

  53. J. H. Lee. (2005). The Relationships among Sport Activity Participation, Body-Esteem Scale and Interpersonal Relation in Secondary Student.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0(2), 49-59. 

  54. K. W. Kim & M. U. Kim. (2007). Household Income and First-year Students' College Adjustment: The Modera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korean psychology workshop presentation file, 2007(1), 394-395. 

  55. S. M. Kwon. (2012). The modern Abnormal psychology, Hakjisa. 

  56. J. A. Song & K. R. Choi. (1997). Theory and family therapy techniques. Hawoo press. 

  57. S. Cohen & T. A. Wills.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 

  58. H. S. Kim & C. K. Ha. (2010). A Study on Family Support,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Tuberculosis in a Hospital: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4(4), 157-182. 

  59. J. D. Kwon. (2012). Alzheimer's patients and family welfare, Hakjisa. 

  60. H. J. Lee, J. W. Lee & J. Y. Lee. (2015). Family Caregiver's Burde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 26(1), 345-367. 

  61. J. A. Song & J. S. Jang. (2010). A Research about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 for a Correlation between Community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s and Family Functions. Journal of The Korean Child and Family Welfare, 15(1), 119-144. 

  62. J. Y. Kim. S. A. Choi & Y. J. Lee. (2017). The Effect of Daily Life Burden and Financial Burden on Parent-Child Conflict of Dementia Caregivers: TSL Communication with Dementia Patients as a Moderator.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55, 75-94. 

  63. S. H. Zarit, K. E.. Reever & J. Bach-Peterson. (1980). Relatives of the impaired elderly: correlates of feelings of burden. The gerontologist, 20(6), 649-655. 

  64. L. M. Horowitz, S. E. Rosenberg, B. A. Baer, G. Ureno & V. S. Villasenor. (1988).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linical applicat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6), 885. 

  65. L. E. Alden, J. S. Wiggins & A. L. Pincus. (1990). Construction of circumplex scales for the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5(3-4), 521-536. 

  66. S. H. Hong, E. Y. Park, Y. H. Kim, J. H. Kwon, Y. R Cho & Y. K. Jin. (2002). Short form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s(KIIP-SC).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4), 923-940. 

  67. Y. H. Choi. (1983). A Study on the Effects of Support Nursing Intermediation on Family Support Behavior and Patient Role Behavior.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68. K. N. Yoo.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ought of committing suicide, depression and family support of user of elderly welfare center. Master's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Pusan.. 

  69. I. S. Kwak. (2002). Characteristics of Caregivers and Services about the Adult Day Care Participants with Dementia in USA.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4), 13-26. 

  70. M. S. Mittelman, D. L. Roth, D. W. Coon & W. E. Haley. (2004). Sustained benefit of supportive intervention for depressive symptoms in caregivers of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1(5), 850-856. 

  71. S. Y. Park & M. H. Park. (2015). Effects of Family Support Programs for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 Caregiving Burden, Depression, and Stres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Korean Acad Nurs, 45(5), 627-640. 

  72. J. Y. Kim. (2014). TSL Family Therapy and Family Welfare. Hakjisa. 

  73. H. S. Kang. (1984).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Rehabilitation Training on the Performance of Self-capacity Patient.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