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관리자의 성희롱과 관련된 경험, 인식, 대처 및 기관의 성희롱 예방 노력에 대한 실태조사
Study on Sexual Harassment-related Experience, Awareness, Coping of Health Care Providers and Institutional Efforts to prevent Sexual Harassment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5 no.2, 2018년, pp.219 - 229  

엄동춘 (대전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정계현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sexual harassment-related experience, awareness, coping, and institutional prevention schemes for health personnel in industrial setting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 - report questionnaires from 300 health personnel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는 2007년 개정된 고용평등법 제 13조에 따라 기관의 성희롱 예방이 필수교육으로 시행되고 있다[21]. 그러나 최근 5년간 국가인권위원회의 보고에 따르면 성희롱, 성추행, 성폭행 관련 상담건수가 2013년 764건에서 2017년 963건으로 증가하고 있어[2] 산업장 근로자들의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보건관리자들이 경험할 수 있는 성희롱에 대한 실태를 알아보 고자 시도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보건관리자들의 성희롱 경험과 성희롱 인식 및 성희롱 대처와 기관의 성희롱 예방 노력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보건관리자들의 성희롱 예방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보건관리자들 대상으로 성희롱 인식, 경험과 기관의 성희롱 예방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보건관리자들의 성희롱 경험과 성희롱 인식, 성희롱 대처, 기관의 성희롱 예방 노력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7년 09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시행하였다. 연구자가 연구 시행 전 D 보건협회에 방문하여 서울 본부의 교육차장에게 연구 목적과 진행과정에 대한 설명을 하고 동의를 구하였다. 또한 7개 도시의 각 지역 보건협회 지부의 교육팀장에게 연구의 목적과 자료수집 절차, 연구 참여의 이점과 위험요인에 대해 설명 후 보건관리자를 대상으로 자료수집에 대한 허락을 받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의료인의 성희롱과 성추행 및 성폭력 피해 시 대응방식은 어떠한가? 보다 안전한 근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보건의료인이 성희롱과 성추행 및 성폭력 피해 시 대응방 식은 ‘참고 넘겼다’(77.4%)거나 가해자에게서 멀어지는 회피 등과 같은 수동적 대응 방식과 ‘직장 상사나 동료 등 주위에 도움을 요청했다’(21.2%)와 같이 병원관리자에게 보고하지 않고 사적인 루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보고[1,4,5,9]되고 있다. 이러한 대응 방식은 각 기관에 성희롱과 성추행 및 성폭력에 관한 고충처리 담당자가 있음에도 보고하지 않았다는 것으로 피해자를 효율적으로 보호를 받지 못했기 때문[8]으로 해석할수 있다.
성희롱이란 무엇인가? 성희롱이란 ‘성적 괴롭힘’ 또는 ‘성적 위협’으로 상대방이 원하지 않거나 일방적인 성적 언동 등으로 상대방에게 성적 굴욕감이나 혐오감을 느끼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4]. 부정적인 느낌의 성희롱 경험은 신체적, 정신적 피해 뿐 아니라 이후 직장생활과 사회생활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7].
성희롱 예방을 교육하는데 성평등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7%로 굉장히 낮은 정답률을 보였고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Oh [9]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우리나라의 남성중심의 문화가 남녀를 차별하는 환경이 쉽게 조성될 수 있어 성평등 인식이 높으면 성희롱 인식 또한 높은 것으로 보고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Lee, Kim과 Choi [15]의 연구가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 한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보건관리자에게 성희롱 예방을 교육하는데 성평등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성희롱 예방 교육 콘텐츠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Young Doctor. Hospital workers suffering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assault as well as assault and assault, Youth Doctor press release. 2017. http://www.docdocdoc.co.kr/news/ 

  2.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https://www.humanrights.go.kr 

  3. KCTU National Healthcare Industry Trade Union. Survey report on actual condition of healthcare workers to prepare wage and collective bargaining and health status of labor union in 2017. Report results. Korea University Labor Institute. 2017. 

  4. Bronner G, Peretz C, Ehrenfeld M. Sexual harassment of nurses and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3;42(6):637-644. https://www.ncbi.nlm.nih.gov/pubmed/12787237 

  5. Celik Y, Celik SS. Sexual harassment against nurses in Turkey.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07;39(2):200-206. https://doi.org/10.1111/j.1547-5069.2007.00168.x 

  6. Han JW. The effects of sexual harassment on the job: consequences for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2006;15(1):29-48. http://www.dbpia.co.kr/Article/NODE00961345. 

  7. Lee JH, Song YW, Cha TH. A Study on job sress and working environment of female occupational therapis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7;18(2):484-492. https://doi.org/10.5762/KAIS.2017.18.2.484 

  8. Hibino Y, Ogino K, Inagaki M. Sexual harassment of female nurses by patients in Japan.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06;38(4):400-405. https://doi:10.1111/j.1547-5069.2009.01244.x 

  9. Oh HK. Perception, Incidence and coping styles of sexual harassment among nurses. [mater's thesis]. Seoul. Hallym University; 2016. 

  10. Kim TI, Kwon YJ, Kim MJ.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sexual harassment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and self-esteem among nursing students. 2017;23(1):21-32. http://doi.org/10.4069/kjwhn.2017.23.1.21 

  11. Kim JH, Kim JY, Kim SS. Workplace violenc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medical residents in South Korea : 2014 Korean interns & residents survey. Health and Social Science. 2015;39:75-95.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021844 

  12. Oh HN, Won YS. Study of dental hygienists' recognition and experiences about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Journal of Koran Society of Dental Hygiene. 2017;17(3):419-429. https://doi.org/10.13065/jksdh.2017.17.03.419 

  13. Kim JS, Kim HS, Kim KH.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and coping behaviors among caregiver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Nursing. 2013;15(1):21-31. www.gnursing.or.kr/bin/download_thesis.php?num1101130067 

  14. Fute M, Mengesha ZB, Wakgari N, Tessema GA. High prevalence of workplace violence among nurses working at public health facilities in Southern Ethiopia. BMC Nursing 2015;14(1): 1-5. https://doi.org/10.1186/s12912-015-0062-1 

  15. Lee YR, Kim KM, Choi SE. Awareness levels and influencing factors of sexual harassment and gender egalitarianism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013;24(1):40-50. https://dx.doi.org/10.12799/jkachn.2013.24.1.40 

  16. SNU humam rights center. http://hrc.snu.ac.kr 

  17. Fitzgerald LS, Swan S, Fischer K. "Why didn't she just report him? The psychological and legal implications of women's respones to sexual harassment". Journal of Social Issues 1995;51(1):117-138. https://doi.org/10.1111/j.1540-4560.1995.tb01312.x 

  18. Magley VJ. Coping with sexual harassment: Reconceptualizing women's resist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002;83(4):930-946. https://doi.org/10.1037/0022-3514.83.4.930 

  19. Kim SG. A study on intention coping with sexual harassment of paid care workers at ling-term care facilities : Focusing on the theory of expended planned behavior. [dissertation], Gyeonggi-do: Kangnam University; 2013. p.1-121. 

  20. DuBois CLZ, Faley RH, Knapp FDE. Factors that directly influence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responses to formal actions by targets of sexual harassment. KENT STATE University Working paper series. 2007. MIS2007:11 

  21. Seo, SH. Trends and directions of sexual harassment research in South Korea - Analysis of academic journal.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2017;33(2):281-315. http://www.dbpia.co.kr/Article/NODE07190977 

  22. Spector PE, Zhou ZE, Che XX. Nurse exposure to physical and nonphysical violence, bullying, and sexual harassment: A quantitativ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4;51:72-84.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3.01.010 

  23. Larsson C1, Hensing G, Allebeck P. Sexual and gender-related harassment in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training: results from a Swedish survey. Medical Education 2003;37:39-50. https://doi.org/10.1046/j.1365-2923.2003.01404.x 

  24. Moylan CA, Wood L Sexual harassment in social work field placements: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Journal of Women and Social Work. 2016;31(4):405-417. https://doi.org/10.1177/0886109916644643 

  25. Somani R, Karmaliani R, Mc Farlane J, Asad N, Hirani S. Sexual harassment towards nurses in Pakistan: Are we saf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15;7(2):286-289. https://doi.org/10.5958/0974-9357.2015.00120.8 

  26. Lee NY, Kim KS, Lee HJ. Workers' conceptualizations and perceptions of sexual harassment in public institution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Vol. 41 2014, pp. 33-58.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267882 

  27. Sojo VE, Wood RE, Genat AE. Harmful workplace experiences and women's occupational well-being; A meta-analysi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016;40(1):10-40. https://doi.org/10.1177/0361684315599346 

  28. Park MY, Park WJ. Effects of moral sensitivity and self-assertiveness of hospital Nurses in a community on awareness of sexual harrassment. Journal of Scientific Criminal Investigation. 2016;10(4):318-328. https://doi.org/10.20297/jsci.2016.10.4.318 

  29. Lee IS, Lee KO, Kang HS, Park YH. Violent experiences and coping among home visiting health care worke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1):66-75. https://doi.org/10.4040/jkan.2012.42.1.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