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촉매 응용을 위한 TiO2 나노 섬유의 미세구조 제어
Control of Microstructure on TiO2 Nanofibers for Photocatalytic Application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31 no.6, 2018년, pp.417 - 421  

이창규 (강릉원주대학교 신소재금속공학과) ,  김완태 (강릉원주대학교 신소재금속공학과) ,  나경한 (강릉원주대학교 신소재금속공학과) ,  박동철 (강릉원주대학교 신소재금속공학과) ,  양완희 ((주)위드엠텍) ,  최원열 (강릉원주대학교 신소재금속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iO_2$ has excellent photocatalytic properties and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e increase in its specific surface area. The structure of $TiO_2$ nanofibers indicates promising improved photocatalytic properties and these nanofibers can thus potentially be applied in air 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실험에서는 전기방사법을 통해 TiO2 나노 섬유 제조하고 공정 변수를 제어하여 미세구조의 변화를 SEM과 XRD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리카 나노 섬유의 특성은? 무기 나노 섬유의 대표적으로 실리카계 나노 섬유가 있다. 실리카 나노 섬유는 낮은 열전도율과 열팽창계수를 갖고 내열성이 우수하며 기계적 물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많은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9-12].
전기방사 기술의 장점은? 따라서 작은 표면적으로도 높은 효율을 낼 수 있는 나노 재료가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1]. 나노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 전기방사 기술은 매우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이며 간단한 공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2]. 전기방사는 전기장을 이용하여 연속상의 나노 섬유를 만드는 방법으로 펌프를 통해 고분자 용액 을 일정한 속도로 유입하여 노즐을 통해 토출시킨다.
전기방사 기술 과정 중 미세 섬유는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 전극이 연결된 노즐의 고분자 용액에 전하가 계속 축전되면 상호 반발력에 의해 고분자 용액이 가지는 표면장력을 넘어서면서 노즐 끝단의 깔때기 형상이 jet로 방사 연신되면서 집전판으로 섬유들이 모아지게 된다. 전기방사 공정 중 액상의 jet이 집전판에 도달하기 전에 연신 및 용매의 휘발이 함께 수반되면서 무질서하게 배열된 미세 섬유를 얻을 수 있다 [3]. 이러한 전기방사 기술을 이용하여 나노 섬유 또는 나노 로드 형상의 소재를 제조할 수 있으며 고분자나 금속 산화물 나노 섬유 등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I. D. Kim, A. Rothschild, B. H. Lee, D. Y. Kim, S. M. Jo, and H. L. Tuller, Nano Lett., 6, 2009 (2006). [DOI: https://doi.org/10.1021/nl061197h] 

  2. H. Li, W. Zhang, B. Li, and W. Pan, J. Am. Ceram. Soc., 93, 2503 (2010). [DOI: https://doi.org/10.1111/j.1551-2916.2010.03841.x] 

  3. J. Doshi and D. H. Reneker, J. Electrostat., 35, 151 (1995). [DOI: https://doi.org/10.1016/0304-3886(95)00041-8] 

  4. K. H. Na, W. T. Kim, D. C. Park, H. G. Shin, S. H. Lee, J. Park, T. H. Song, and W. Y. Choi, Thin Solid Films, 660, 358, (2018). [DOI: https://doi.org/10.1016/j.tsf.2018.06.018] 

  5. Q. Fan and M. S. Whittingham, Electrochem. Solid-State Lett., 10, A48 (2007). [DOI: https://doi.org/10.1149/1.2422749] 

  6. Z. Li, H. Zhang, W. Zheng, W. Wang, H. Huang, C. Wang, A. G. MacDiarmid, and Y. Wei, J. Am. Chem. Soc., 130, 5036 (2008). [DOI: https://doi.org/10.1021/ja800176s] 

  7. S. M. Park, S. Eom, D. Choi, S. J. Han, S. J. Park, and D. S. Kim, Chem. Eng. J., 335, 712 (2018). [DOI: https://doi.org/10.1016/j.cej.2017.11.018] 

  8. T. H. Hwang, W. T. Kim, and W. Y. Choi, J. Nanosci. Nanotechnol., 17, 4812 (2017). [DOI: https://doi.org/10.1166/jnn.2017.14275] 

  9. Z. L. Wang, R. P. Gao, J. L. Gole, and J. D. Stout, Adv. Mater., 12, 1938 (2000). [DOI: https://doi.org/10.1002/1521-4095 (200012)12:24 3.0.CO;2-4] 

  10. R. Ciriminna, A. Fidalgo, V. Pandarus, F. Beland, L. M. Ilharco, and M. Pagliaro, Chem. Rev., 113, 6592 (2013). [DOI: https://doi.org/10.1021/cr300399c] 

  11. S. Guo, R. Sivakumar, H. Kitazawa, and Y. Kagawa, J. Am. Ceram. Soc., 90, 1667 (2007). [DOI: https://doi.org/10.1111/j.1551-2916.2007.01636.x] 

  12. A. C. Patel, S. Li, J. M. Yuan, and Y. Wei, Nano Lett., 6, 1042 (2006). [DOI: https://doi.org/10.1021/nl0604560] 

  13. W. Han, Y. D. Wang, and Y. F. Zheng., Adv. Mat. Res., 79, 389 (2009). [DOI: https://doi.org/10.4028/www.scientific.net/AMR.79-82.389] 

  14. R. Leary and A. Westwood, Carbon, 49, 741 (2011). [DOI: https://doi.org/10.1016/j.carbon.2010.10.010] 

  15. M. Lubke, I. Johnson, N. M. Makwana, D. Brett, P. Shearing, Z. Liu, and J. A. Darr, J. Power Sources, 294, 94 (2015). [DOI: https://doi.org/10.1016/j.jpowsour.2015.06.039] 

  16. J. A. Park, J. Moon, S. J. Lee, S. H. Kim, T. Zyung, and H. Y. Chu, Mater. Lett., 64, 255 (2010). [DOI: https://doi.org/10.1016/j.matlet.2009.10.052] 

  17. H. Tang, F. Yan, Q. Tai, and H.L.W. Chan, Biosens. Bioelectron., 25, 1646 (2010). [DOI: https://doi.org/10.1016/j.bios.2009.11.027] 

  18. Y. Yuan, Y. Zhao, H. Li, Y. Li, X. Gao, C. Zheng, and J. Zhang, J. Hazard. Mater., 227, 427 (2012). [DOI: https://doi.org/10.1016/j.jhazmat.2012.05.003] 

  19. T. H. Hwang, W. T. Kim, and W. Y. Choi, J. Electron. Mater., 45, 3195 (2016). [DOI: https://doi.org/10.1007/s11664-016-4464-y]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