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진강 유역 오염물질 총량관리를 위한 유량-수질 자료의 통계분석
Statistical Analysis of Water Flow and Water Quality Data in the Imjin River Basin for Total Pollutant Load Management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7 no.4, 2018년, pp.353 - 366  

조용철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최현미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이영준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류인구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이명구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구동회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최경완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유순주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임진강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를 위한 단위유역의 2012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유량과 수질자료를 통계분석기법에 이용하여 수질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유량과 수질은 평균 8일 간격으로 측정하였으며 11개 항목을 상관분석, 주성분 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에 사용하였다. 군집분석의 결과 공간변화에 따라 자연형 하천, 도시형 하천, 점오염원 영향이 큰 지점 등으로 3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오염원의 종류와 수질 유사성이 군집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원 분산분석사후검정을 이용하여 군집간의 평균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에서 $COD_{Mn}$와 TOC의 상관계수가 0.951(p<0.01)로 상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주성분 분석 결과 3개의 주성분으로 전체 수질특성의 72%를 설명할 수 있으며 요인분석에서 주요 요인은 EC, $BOD_5$, $COD_{Mn}$, TN, TP, TOC 항목으로 나타나 유기물과 영양염류 간접지표가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요인점수를 다중 선형회귀분석에 적용하여 회귀 방정식을 제시하고 임진강 유역 수질관리에 유기물 및 영양염류 간접지표 항목의 관리가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ssessment the quality of water by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 of the Water flow and water quality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6 at the unit basin for total pollutant load management system (TPLMS) in the Imjin River. Water flow and water quality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질특성이 유사한 지역적구분과 조사 시기에 따라 어떻게 수질특성이 구분되는지 군집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사후검정을 통하여 군집분석의 타당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주성분 분석과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임진강 유역에 수질에 미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하여 TPLMS 시행에 따른 임진강 유역의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수질관리를 위한 이행평가와 기초자료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지속적인 발전으로 수질오염도가 변화하고 있는 임진강 유역의 수질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유량-수질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하여 수질 항목 간의 상관성과 대상지점에 대한 수질특성을 파악하였다. 수질특성이 유사한 지역적구분과 조사 시기에 따라 어떻게 수질특성이 구분되는지 군집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사후검정을 통하여 군집분석의 타당성을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PLMS에서 다른 수계와 한강 수계의 차이는? TPLMS는 관리하고자 하는 수계 구간별 목표수질을 설정하고 목표수질을 달성 유지할 수 있는 허용총량을 산정하여 단위유역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을 허용부하량 이내로 관리하는 제도이다(Ministry of Environment 2000).한강 수계는 낙동강 수계, 금강 수계, 영산강·섬진강수계와 다르게 2004년 행정구역 중심으로 의무제가아닌 임의제로 TPLMS를 시행하였으며, 2006년 4월에 단위유역으로 변경되었다. 2007년 5월에는 한강본류 및 임진강 유역으로 확대되었으며 2013년에는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 지역에서 의무제 1단계를 2020년까지 시행하고 있다.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는? 우리나라는 2004년 낙동강 수계를 시작으로 현재4대강 수계와 기타 수계(진위천) 등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Total Pollutant Load Management System, TPLMS)를 시행하고 있다. TPLMS는 관리하고자 하는 수계 구간별 목표수질을 설정하고 목표수질을 달성 유지할 수 있는 허용총량을 산정하여 단위유역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을 허용부하량 이내로 관리하는 제도이다(Ministry of Environment 2000).한강 수계는 낙동강 수계, 금강 수계, 영산강·섬진강수계와 다르게 2004년 행정구역 중심으로 의무제가아닌 임의제로 TPLMS를 시행하였으며, 2006년 4월에 단위유역으로 변경되었다.
임진강에 최근 제기되는 문제는? 그리고 유역의 자연성과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이 보전되어 생활용수와 농업용수 및 공업용수의 주요 수자원으로 수질 보전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갖는다. 하지만 최근 도시개발과 대규모 산업단지의 조성이 이루어지면서 생활하수와 공장폐수의 영향으로 수질오염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임진강 유역은 본류보다 유량이 비교적 적은 지류 유역의 도시가 개발되어 다양한 오염원의 발생과 유출로 인하여 수질변화가 더욱 심해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engraine K, Marhaba TF. 2003. Using principal component cnalysis to monitor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in water quality.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00: 179-195. 

  2. Cho YC, Lee SW, Ryu IG, Yu SJ. 2017. Assessment of spatiotemporal water quality variation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techniques: A case study of the Imjin River Basin, Korea. Journal of Kore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9(11): 641-649. [Korean Literature] 

  3. Gilbert RO. 1987. Statistical methods for environmental pollution monitoring.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320. 

  4. Gwak BR, Kim IK. 2016. Characterization of water quality in Changnyeong-Haman weir section using statistical Analy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Engineers. 38(2): 71-78. [Korean Literature] 

  5.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05. Survey on the major streams of northern part in Gyeonggi-do. [Korean Literature] 

  6. Jung SJ, Lee DJ, Hwang KS, Lee KH, Choi KC, Im SS, Lee YH, Lee JY, Lim BJ. 2012. Evaluation of pollutant characteristics in Yeongsan River using multivariate analysi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5(4): 368-377. [Korean Literature] 

  7. Jung KY, Lee KL, Im TH, Lee IJ, Kim SH, Kun YH, Ahn JH. 2016. Evaluation of water quality for the Nakdong River watershed using multivariate analysis. Environment Technology & Innovation. 5: 67-82. [Korean Literature] 

  8. Kim JG. 2002.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n the Keum River using statistics analysi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11(12): 1281-1289. [Korean Literature] 

  9. Kim MA, Lee JK, Zoh KD. 2007. Evaluation of the Geum River by multivariate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al. 23(1): 161-168. [Korean Literature] 

  10. Kim YY, Lee SJ. 2011. Evaluation of water quality for the Han River tributaries using multivariate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Engineers. 33(7): 501-510. [Korean Literature] 

  11. Kim GH, Jung KY, Yoon JS, Cheon SU. 2013.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of water quality data observed in lower watershed of Nam River da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3(6): 429-437. [Korean Literature] 

  12. Kim SH, Ryu IG, Park MJ, Shin KY, Hwang SH, Cho HS, Lee JK, Lee YJ. 2016.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trend using multivariated analysis for the Han River.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anitary Engineering. 31(1): 13-25. [Korean Literature] 

  13. Kim JH, Lee SW, Cha SM. 2016 Environmental statistics & data analysis. Hannarae publishing. 

  14. Lee GY, Seo DI. 2015. Analysis in trends and major impact factors of water quality dynamics in the Gab-Cheon River, Daejeo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Engineers. 37(9): 517-525. [Korean Literature] 

  15.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4. Hydrological observation manual. [Korean Literature]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00. Basic policy for the total maximum daily loads in the Han River basin. [Korean Literature]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Operation and evaluation for water quality and streamflow monitoring network in Han River basin. [Korean Literature] 

  18. Ministry of Environment. 2016a. Operation for streamflow monitorning network in Han River basin. [Korean Literature] 

  19. Ministry of Environment. 2016b. Standard method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pollution. [Korean Literature] 

  20. Noh HJ. 2005. Multivariate analysis theory and practice using spss & excel. Hyungseul publishing networks. pp.87-469. [Korean Literature] 

  21. Park HS, Park CK, Song MK, Back KH, Shin SK. 2001.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using factor analysis in the Nakdong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al. 17(6): 693-701. [Korean Literature] 

  22. Park JH, Park JD, Rhew DH, Jung DI. 2009. Performance appraisal of total maximum daliy loads: per-formance on development/reduction plan and water quality status of unit watersh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al. 25(4): 750-751. [Korean Literature] 

  23. Park JH, Sohn SM, Rhew DH. 2011. A study on the discharged characteristics of the pollutants using the empirical equation and factor analysis; case study of the upper and lower watershed of South Han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al. 27(6): 905-913. [Korean Literature] 

  24. Park JW, Jung JW, Kim DY, Kim KS, Han SW, Kim HO, Lim BJ. 2013.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tributaries in Yeongsan and Sumjin River basin using statistical analysi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2(2): 171-181. [Korean Literature] 

  25. Ravichandran S, Ramanibai R and Punderikanthan NV. 1996. Ecoregions for describing water quality patterns in Tamiraparani basin, South India. Journal of Hydrology. 178: 257-276. 

  26. Rode M, Suhr U. 2007. Uncertainties in selected river water quality data.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11: 863-874. 

  27. Shrestha S, Kazama F. 2007. Assessment of surface water quality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techniques: A case study of the Fuji River basin, Japan.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22: 464-475. 

  28. Simeonov V, Stratis JA, Samara C, Zachariadis G, Voutsa D, Anthemidis A, Sofoniou M, Kouimtzis T. 2003. Assessment of the surface water quality in Northern Greece. Water Research. 37: 4119-4124. 

  29. Singh KP, Malik A, Mohan D, Sinha S. 2004. Multivariate statistical techniques for the evaluation of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in water quality of Gomti River (India). Water Research. 38: 3980-3992. 

  30.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http://water.nier.go.kr/publicMain/mainContent.do 

  31. Xu HS, Xu ZX, Wu W, Tang FF. 2012. Assessment and spatiotemporal variation analysis of water quality in the Zhangweinan River basin, China. Procedia Environmental Sciences. 13: 1641-16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