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부모가족 담론의 균열과 변형된 정상가족 신화로의 포섭 -KBS1 다큐 공감 <아이가 행복입니다>의 서사분석을 중심으로-
Disintegration of Discourse in Single-parent Family and its Persuasion in the Modified Myth of Normal Family -Focusing on Narrative Analysis of KBS Documentary 'Gong-gam' -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8, 2018년, pp.262 - 271  

김환희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고병진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한부모가족 담론이 TV 다큐멘터리에서 재현되는 양상을 확인한다. 정상가족 신화가 한계를 드러내는 현 상황에서, 다양한 분석대상으로 한부모가족 연구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싱글대디와 미혼모 이야기를 동시에 다룬 KBS1의 다큐 공감 <아이가 행복입니다> (2015)의 서사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싱글대디와 미혼모는 공통적으로 '결핍된 상황'을 극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싱글대디는 어머니의 역할까지 모두 수행하는 반면, 미혼모는 어머니의 역할조차 완수하지 못하는 비대칭적 묘사가 두드러졌다. 또한, 다큐멘터리의 서사는 결손가족과 정상가족을 대비시키고 고정된 성역할을 재생산하며, 해당 사안을 개인의 영역으로 소급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묘사는 한부모가족을 변형된 정상가족 신화로 편입시키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결국, 새로운 담론의 부재에서 오는 근본적인 문제인바, 중요한 것은 충돌하는 가족 담론을 재현하고 확장하는 미디어의 역할일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pect of the single-parent family discourse in the TV documentar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normal family myth shows limitations in realit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ingle-parent family research based on various analysis subjects. For this p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후)한부모가족">한부모 가족 담론의 재현 방식의 차이를 확인하고, 텍스트 전반에서 발견할 수 있는 정치적 함의를 논의한다. 더 나아가, 궁극적으로 해당 다큐멘터리가 한부모가족에 대한 기존 이미지들의 수렴을 통해 지배가치를 재생산하는지, 혹은 정상가족 담론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가를 검토한다. 이러한 연구는 한부모가족에 대한 사회의 요구와 고정관념을 확인하고, 그러나 오늘날 미디어의 한부모가족 재현 연구는 양적으로 부족하며, 이 가운데에서도 싱글대디-비혼부의 연구는 부재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미혼모와 싱글대디를 동시에 등장시킨 다큐멘터리의 서사분석을 통해, 미디어가 젠더의 차이에 따라 이들을 어떻게 재현하는지, 더불어 정상가족 담론의 균열과 포섭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가를 고찰하도록 한다.
  • 후)핵심가치들을">핵심 가치들을 담아내는 역동적인 텍스트로 기능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다큐 멘터리 속 한부모가족 담론의 재현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담론이 정상가족 신화와의 교차점 속에서 어떻게 구성되고 변형되었는가를 밝히고자 했다.
  • 후)정상 가족">정상가족 신화에 대한 비판적 논의가 제기됨에도 불구하고, 대중매체는 끊임없이 가족에 대한 지배적인 이미지를 재생산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종합해, 이 연구는 오늘날 TV 다큐멘터리가 어떠한 담론 속에서 한부모가족을 재현하고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싱글대디와 미혼모1 이야기를 동시에 다룬 KBS1의 다큐 공감 (2015)의 서사구조 분석을 진행한다.
  • 이에 본고는 논의의 범주를 ‘미디어’로 확장해, 한부모가족 담론이 TV 다큐멘터리에서 재현되는 양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 후)분석 대상을">분석대상을 바탕으로 젠더와 계급 요소까지 포괄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고는 연구대상을 미디어로 확장해, 다큐멘터리에 투영된 한부모가족담론을 고찰하고자 한다.
  • 이에 이 연구는 텍스트 속 인물간의 관계와 이야기 구조에 초점을 맞춘 서사분석을 통해 젠더에 따른 한부모 가족 담론의 재현 방식의 차이를 확인하고, 텍스트 전반에서 발견할 수 있는 정치적 함의를 논의한다. 더 나아가, 궁극적으로 해당 다큐멘터리가 해당 프로그램은 “한부모가족에 대한 편견을 재고하고 아이 키우는 행복에 대해서 조명”하기 위해 미혼모 김도경씨와 싱글 대디 이종욱씨의 이야기를 다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상 가족(normal family)이란 무엇인가? “정상 가족(normal family)”이란, 부부와 미혼자녀로 구성된 핵가족이 전형적·정상적인 가족이며, 여기에서 벗어난 가족들-무자녀가족, 한부모가족, 동성결혼가족 등-은 비정상으로 규정하는 입장이다. 이때, 핵가족은 애정에 기반한 부부 중심의 생물학적 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계부양자인 남성과 가사노동 및 정서적 기능 을 담당하는 여성의 성별분업이라는 상호 호혜적인 관계로 구성되는, 공동체의 기본 단위이자 자연스럽고 불변하는 사회 제도로 인식되었다[6].
서사(narrative)는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구체적으로, 서사(narrative)란 ‘누구에게 무엇이 일어 났는가’에 대한 이야기(story)와 ‘이야기가 어떻게 전달 되었는가’라는 서술방식인 담화(discourse)의 두 차원으로 구성된다[26]. 이때 이야기는 다시, 서사를 이끌고 가는 주체인 ‘인물’과 행위가 발생하는 구체적·상징적 시간과 공간, 사회적 환경인 ‘배경’의 특성을 파악하는 계열체(paradigm) 분석과, 연속적인 사건의 전개 과정을 파악하는 통합체(syntagma) 분석으로 나뉘게 된다.
정상가족 신화는 이론과 현실의 두 차원에서 어떠한 한계를 드러내는가? 그러나 정상가족 신화는 이론과 현실의 두 차원에서 그 한계를 드러낸다. 첫 번째는 가족의 형태적 가변성으로, 정상가족의 전형인 핵가족은 단지 이념적 구성일 뿐, 가족의 형태는 역사적 흐름과 사회문화적 배경, 개인 생애주기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해왔기 때문이다[7][8]. 실제로, 2000년을 기점으로 국내 핵가족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이며, 2015년 기준, 전체 혈연가구의 과반을 넘지 않는다는 통계 자료가 이를 뒷받침한다[9]. 두 번째는 가족 내부의 불완전성으로, 사회로부터 개인을 보호하고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안식처로서의 (핵)가족이, 실상 폭력과 불평등의 공간일 수 있다는 것이다. 한 사례로, 2014년을 기준으로 맞벌이가구 내 가사노동 시간의 비율이 여성이 남성의 약 5배라는 사실[10]은, 가족의 공 동체성이 구성원 중 누군가의 ‘희생’을 담보로 유지되어 왔음을 보여준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 Detail.do?idx_cd1578, 2018.5.7. 

  2. 이원형, "'싱글맘들의 유쾌한 질주'를 위하여," 여/성이론, 제19호, pp.300-309, 2008. 

  3. 유현석, "다큐멘터리를 이해하는 방법: 진실과 리얼리티," 사회과학연구, 제15권, 제1호, pp.83-101, 2009. 

  4. J. Fiske, Television culture(2nd ed.), London; New York : Routledge, 2011, 곽한주 역, 텔레비전문화, 서울: 컬처룩, 2017. 

  5. B. Nichols, Introduction to Documentary,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2001, 이선화 역, 다큐멘터리 입문, 파주: 한울, 2005. 

  6. 이박혜경, "여성주의 시각에서 본 결혼과 가족," 한국여성연구소 지음, 새 여성학강의, 서울: 동녘, 1999. 

  7. 이재경, 가족의 이름으로: 한국 근대가족과 페미니즘, 서울: 또하나의문화, 2003. 

  8. K. Gerson, The Unfinished Revolution: Coming of Age in a New Era of Gender, Work, and Famil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9.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76, 2018.5.7. 

  10. http://index.go.kr/potal/visual/VisualDtlPageDetail.do?idx_cd3027, 2018.5.7. 

  11. 김혜경, "가족, 허물기와 다시 쌓기," 한국여성연구소 지음, 새 여성학 강의: 한국사회, 여성, 젠더, 파주: 동녘, 2005. 

  12. 이재경, 가족의 이름으로: 한국 근대가족과 페미니즘, 서울: 또하나의문화, 2003. 

  13. 이박혜경, "여성주의 시각에서 본 결혼과 가족," 한국여성연구소 지음, 새 여성학강의, 서울: 동녘, 1999. 

  14. 서정애, "십대미혼모의 임신경험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20권, 제1호, pp.281-208, 2009. 

  15. 김혜영, "십대 청소년 미혼모의 출산 및 양육경험-주체와 타자의 경계에서," 한국여성학, 제26권, 제4호, pp.101-131, 2010. 

  16. 권희정, "입양실천에서 나타나는 정상가족 담론과 미혼모 자녀의 '고아' 만들기," 페미니즘 연구, 제15권, 제1호, pp.51-98, 2015. 

  17. 신필식, "1970년대 신문기사를 통해 본 한국 미혼모 보호사업과 미혼모의 사회적 재현 변화 연구," 한국여성학, 제33권, 제4호, pp.323-357, 2017. 

  18. 문은영, "서울시 한부모가족 실태조사를 통해 본 부자가족의 현황과 문제점," 공공사회연구, 제1권, 제2호, pp.135-174, 2011. 

  19. 이주연, "드러난 웃음 속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 에 대한 독해," 씨네포럼, 제11호, pp.167-183, 2010. 

  20. 김환희, 이소윤, 김훈순, "TV드라마와 젠더담론의 균열과 포섭: 이혼녀와 미혼모의 재현," 미디어, 젠더&문화, 제30권, 제3호, pp.5-40, 2015. 

  21. 김경희, "뉴스 구성 관행과 고정관념의 재생산-텔레비전 뉴스의 미혼모 보도 사례 분석," 미디어, 젠더&문화, 제30권, 제1호, pp.5-45, 2015. 

  22. 최현주, "텔레비전 드라마에 묘사된 성역할의 전도(reverse)와 그 함의: 남성 전업주부 드라마 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2권, 제4호, pp.401-438, 2008. 

  23. 김선영, "한국 가족의 현실: 생애주기에 따른 가족이슈-TV 드라마 가 선택한 가족 이슈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5권, 제2호, pp.161-192, 2009. 

  24. 김지영, 김동규, "TV 드라마가 재현하는 '혼외관계 '-전통적 가족주의와 현대적 욕망의 충돌- 1990년대 이후 지상파 TV 드라마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이론, 제13권, 제1호, pp.44-93, 2017. 

  25. 이은실, TV 휴먼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의 특성에 관한 연구: KBS2 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6. S. Chatman, Story and Discourse: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1978, 김경수 역,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서울: 믿음사, 1990. 

  27. T. Todorov, The poetics of prose, R. Howard Trans.,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77. 

  28. 박정은, 이훈, "캠핑은 어떤 가족을 위한 것인가-캠핑에 관한 미디어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39권, 제4호, pp.95-112, 20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