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성취감성이 자기주도학습전략과 자기손상전략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Emotions on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self-handicapping strategie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4, 2018년, pp.231 - 236  

송윤희 (안양대학교 교양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교육상황에서 감성과 관련된 연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 수업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자기손상전략을 예측하는 변인을 규명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성취감성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의 A대학과 B대학 134명이었으며 자료분석상관분석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손상전략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은 성취감성의 수업관련 감성, 학습관련 감성, 시험감성이었다. 그러나 성취감성은 자기조절학습전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에 대학 수업에서 자기손상전략을 낮추기 위해서는 수업관련 감성, 학습관련 감성, 시험감성 수준을 높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학습에서 감성에 대한 이론적 기초와 실제적 유용성을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has been a notable increased interest of the study of emotions in educational contex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dicting emotional variables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self-handicapping strategies with th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nts were 143 student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연구들을 기반으로 할 때 성취감성 또한 자기손상전략과 연계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취감성이 자기손상전략을 예측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감성은 정보처리과정, 인지 등과 관련이 있으며, 그에 대한 다양한 실증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과정에 학습자가 활용하는 학습전략과 연계하여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학습자가 학습과정에서 대표적으로 활용하는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자기손상전력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 감성이 어떻게 학습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 이는 성취감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에 대한 관련성을 시사해 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성취감성이 자기조절학습전략과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 성취감성은 자기조절학습과 상관을 맺었다는 연구결과[2]가 있으며 이러한 상관관계를 넘어서 성취감성이 자기조절학습전략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자기손상전략은 자기조절 학습전략과 상반될 수 있는 전략으로 그에 따른 상관 및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취감성이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자기손상전략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 A대학과 서울지역 B대학 13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과정에 학습자가 활용하는 학습전략과 연계하여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학습자가 학습과정에서 대표적으로 활용하는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자기손상전력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 감성이 어떻게 학습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성취감성은 자기조절학습과 상관을 맺었다는 연구결과[2]가 있으며 이러한 상관관계를 넘어서 성취감성이 자기조절학습전략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조절학습은 무엇인가? 자기조절학습은 학습 중 학습자가 학습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계획하고 점검하며 조절하는 인지, 동기, 행동의 모습을 의미한다[12]. 자기조절학습은 Bandura를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며 지식정보화 시대에 스스로 지식을 구축해 나가는 능동적 학습과 연계된다.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자기손상전략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성취감성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연구대상은 수도권의 A대학과 B대학 134명이었으며 자료분석은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손상전략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은 성취감성의 수업관련 감성, 학습관련 감성, 시험감성이었다. 그러나 성취감성은 자기조절학습전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에 대학 수업에서 자기손상전략을 낮추기 위해서는 수업관련 감성, 학습관련 감성, 시험감성 수준을 높여야 할 것이다.
Pekrun은 긍정적 감성을 무엇으로 구분하였는가? Pekrun은 교육상황에서의 감성을 연구하는 대표학자로 학습상황에서 학습자의 감성을 성취감성(achievement emotions)이라고 정의하였다[5]. Pekrun은 학습자들이 경험하는 성취감성을 긍정적인 감성과 부정적인 감성으로 구분하였으며 긍정적 감성으로는 즐거움, 희망, 자부심, 안도감으로 구분하고 부정적 감성으로는 화, 불안감, 부끄러움 또는 수치심, 무력감 또는 절망감, 지루함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이러한 긍정적 감성과 부정적 감성을 다시 구분하여 수업관련 감성, 학습관련 감성, 시험감성으로 명명하였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R. Pekrun, T. Goetz, W. Titz, & R. P. Perry (2002). Academic emotions i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A program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37, 91-106. 

  2. C. Sansone & D. B. Thoman. (2005). Does what we feel affect what we learn? Some answers and new questions. Learning and Instruction, 15(5), 507-515. DOI: 10.1016/j.learninstruc.2005.07.015 

  3. E. J. Kim & M. H. Yang. (2013). The influence of emotional regul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academic emotions and learning strategi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0(1), 201-218. 

  4. M. Kim (2009). Emotion in learning context: Its origins and functions. Asian Journal of Education, 10(1), 73-98. 

  5. R. Pekrun, T. Goetz, A. C. Frenzel, & R. P. Perry. (2011). Measuring emotions in students' learning and performance: the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 (AEQ).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Elsevier, 36(1), 36-48. DOI: 10.1016/j.cedpsych.2010.10.002 

  6. D. Goleman (1997). Emotional intelligence: Why it can matter more than IQ. New York, NY: Bantam Books. 

  7. M. Nummenmaa, & L. Nummenmaa (2008). University students' emotions, interest and activities in a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8(1), 163-178. DOI: 10.1348/000709907X203733 

  8. K. R. Scherer (2009). The dynamic architecture of emotion: Evidence for the component process model. Cognition and emotion, 23(7), 1307-1351. DOI: 10.1080/02699930902928969 

  9. C. Shelton & R. Stern. (2003). Understanding Emotions in the Classroom. New York, NY: National Professional Resources. 

  10. D. K Meyer & J. C. Turner (2002). Discovering emotion in classroom motivation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est, 37(2), 107-114. DOI: 10.1207/S15326985EP3702_5 

  11. T. J. Park & Y. H. Song. (2017). The Influence of Pre-service Teachers' Achievement Emotions on Their Learning Flow and Academic Burnou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7), 223-239. 

  12. B. J. Zimmerman. (2000). Attainment of self-regulat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In M. Boekaerts, P. R. Pintrich, & M. Zeidn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pp. 13-39). San Diego, CA: Academic Press. 

  13. B. J. Zimmerman & M. Martinez-Pons (1986).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3(4), 614-628. DOI: 10.3102/00028312023004614 

  14. Y. H. Song. (2012). Identifying predicting variables of the learning flow and the procrastination in university e-learning.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8(1), 113-135. 

  15. A. J. Howell & K. Buro. (2009). Implicit beliefs, achievement goals, and procrastination: A mediational analysis.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19(1), 151-154. DOI: 10.1016/j.lindif.2008.08.006 

  16. C. Senecal, R. Koestner & R. J. Vallerand. (1995). Self-regula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5(5), 607-619. DOI: 10.1080/00224545.1995.9712234 

  17. S. K. Son & S. L. Do. (2012).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Emotions in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Self-Regulate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6(2), 479-50 

  18. E. E. Jones & S. Berglas. (1978). Control of attributions about the self-through self-handicapping strategies: The appeal of alcohol and the use of underachievemen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4(2), 200-206. DOI: 10.1177/014616727800400205 

  19. T. Urdan & C. Midgley. (2001). Academic self-handicapping: What we know, what more there is to learn.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3(2), 115-138. DOI: 10.1023/A:1009061303214 

  20. C. Midgly & T. Urdan. (1995). Predi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use of self-handicapping strategies.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5(4), 389-411. DOI: 10.1177/0272431695015004001 

  21. K. H. Song, J. Y. Huh, & H. H. Choi. (2013). Mediation effects of emo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ctancy-value and academic task-solving behavior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22(3), 615-627. 

  22. Y. H. Song. (2012). Relationships among perfectionism, depression, test anxiety, self-handicapping strategies, procrastination in a university e-learning cours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2(4), 209-229. 

  23. H. G. Ryu, Y. B. Kim, J. Hyun, I. H. Kim, S. J. Kang, H. C. Kim, S. H. Park, & B. C. Min (2005).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I).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4. T. Urdan, C. Midgley, & E. M. Anderman. (1998). The Role of Classroom Goal Structure in Students' Use of Self-Handicapp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5(1), 101-122. DOI: 10.2307/11634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