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콜로이드 양자점 합성의 다양한 연구 개발 동향
Recent Developments in Synthesis of Colloidal Quantum Dots 원문보기

한국분말야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v.25 no.4, 2018년, pp.346 - 354  

정재용 (재료연구소 분말) ,  홍종팔 (라미나(주)) ,  김영국 (재료연구소 분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ver the last decade, the study of the synthesis of semiconductor colloidal quantum dots has progressed at a tremendous rate. Colloidal quantum dots, which possess unique spectral-luminescent characteristics, are of great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novel materials and devices, which are promis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고온 주입법을 통해 매우 좁은 입자 크기분포를 가지며, 그 결과 좁은 발광스펙트럼을 나타내는 양자점의 합성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리뷰에서는 양자점 합성의 기초가 되는 핵 생성과 핵 성장의 이론을 간단하게 정리하고 양자점 합성의 가장 대표적인 고온 주입법 기반 합성법과 이외에 안정성이 뛰어나고 광학적 특성이 뛰어난 양자점 합성 방법과 대용량 및 연속으로 합성하기 위한 방법 등의 연구 동향들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자점(Quantum dot, QD)이 벌크와 동일한 조성임에도 특이한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이유는 무엇인가? 양자점(Quantum dot, QD)은 그림 1(a)와 같이 0차원의 구(Sphere) 형태를 띠는 직경 2-10 나노미터(nm) 정도의 크기를 갖는 입자로, 벌크와 동일한 조성임에도 불구하고 특이한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다. 이는 물질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본래 무기 결정이 가지고 있는 연속적인 에너지 상태로 구성 된 에너지 밴드가 불연속으로 변하게 되어 특성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즉, 전자(Electron)와 정공(Hole) 그리고 이들의 정전기적 결합체인 엑시톤(Exciton) 등이 양자점 내부에서 공간적 제약을 받아 양자 제한 효과(Quantum confinement effect)에 의해 나타난 현상으로 특히 입자의 크기가 보어 반경(Bohr radius)보다작아지면 양자 제한 효과가 매우 강하고 크게 나타나므로 이러한 제한 현상이 물질이 가지고 있는 밴드갭을 불연속적으로 만들게 된다[1, 2].
양자점(Quantum dot, QD)이란 무엇인가? 양자점(Quantum dot, QD)은 그림 1(a)와 같이 0차원의 구(Sphere) 형태를 띠는 직경 2-10 나노미터(nm) 정도의 크기를 갖는 입자로, 벌크와 동일한 조성임에도 불구하고 특이한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다. 이는 물질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본래 무기 결정이 가지고 있는 연속적인 에너지 상태로 구성 된 에너지 밴드가 불연속으로 변하게 되어 특성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고온 주입법을 통해 양자점을 합성할 때 갖는 장점은? 이러한 다양한 산업에 적용중인 양자점의 합성은 고온의 전구체 용액에 전구체 용액을 주입하여 합성하는 고온 주입법(Hot injection) 방식의 합성과 전구체 열분해(Pyrolysis) 방식이 대표적이다[15]. 특히 고온 주입법을 통해 매우 좁은 입자 크기분포를 가지며, 그 결과 좁은 발광스펙트럼을 나타내는 양자점의 합성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리뷰에서는 양자점 합성의 기초가 되는 핵 생성과 핵 성장의 이론을 간단하게 정리하고 양자점 합성의 가장 대표적인 고온 주입법 기반 합성법과 이외에 안정성이 뛰어나고 광학적 특성이 뛰어난 양자점 합성 방법과 대용량 및 연속으로 합성하기 위한 방법 등의 연구 동향들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A. M. Smith and S. Nie: Acc. Chem. Res., 43 (2009) 190. 

  2. H. Goesmann and C. Feldmann: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49 (2010) 1362. 

  3. P. Reiss, M. Protiere and L. Li: Small 5 (2009) 154. 

  4. V. I. Klimov: Nanocrystal Quantum Dots, CRC Press (2010) 1. 

  5. J. Y. Kim, O. Voznyy, D. Zhitomirsky and E. H. Sargent: Adv Mater., 25 (2013) 4986. 

  6. D. V. Talapin, J. Lee, M. V. Kovalenko and E. V. Shevchenko: Chem. Rev., 110 (2009) 389. 

  7. S. A. Ivanov, A. Piryatinski, J. Nanda, S. Tretiak, K. R. Zavadil, W. O. Wallace, D. Werder and V. I. Klimov: J. Am. Chem. Soc., 129 (2007) 11708. 

  8. S. K. Panda, S. G. Hickey, H. V. Demir and A. Eychmuller: Angewandte Chemie, 123 (2011) 4524. 

  9. N. Pradhan and X. Peng: J. Am. Chem. Soc., 129 (2007) 3339. 

  10. S. M. Hwang, J. B. Lee, S. H. Kim and J. H. Ryu: J.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22 (2012) 233. 

  11. I. Robel, V. Subramanian, M. Kuno and P. V. Kamat: J. Am. Chem. Soc., 128 (2006) 2385. 

  12. C. P. Collier, R. J. Saykally, J. J. Shiang, S. E. Henrichs, and J. R. Heath: Science, 277 (1997) 1978. 

  13. X. Wu, H. Liu, J. Liu, K. N. Haley, J. A. Treadway, J. P. Larson, N. Ge, F. Peale and M. P. Bruchez: Nat. Biotechnol. 21 (2003) 41. 

  14. W. Liu, M. Howarth, A. B. Greytak, Y. Zheng, D. G. Nocera, A. Y. Ting and M. G. Bawendi, J. Am. Chem. Soc., 130 (2008) 1274. 

  15. H. Lee, M. Wang, P. Chen, D. R. Gamelin, S. M. Zakeeruddin, M. Gratzel and M. K. Nazeeruddin: Nano Letters, 9 (2009) 4221. 

  16. J. Lim, B. G. Jeong, M. Park, J. K. Kim, J. M. Pietryga, Y. Park, V. I. Klimov, C. Lee, D. C. Lee and W. K. Bae: Adv. Mater., 26 (2014) 8034. 

  17. V. K. LaMer and R. H. Dinegar: J. Am. Chem. Soc., 72 (1950) 4847. 

  18. I. M. Lifshitz and V. V. Slyozov: J.Phys. Chem. Solids, 19 (1961) 35. 

  19. V. K. L. Mer: Ind. Eng. Chem., 44 (1952) 1270. 

  20. J. W. Mullin: Crystallization(Ed.), Butterworth-Heinemann (2001) 1. 

  21. M. Niederberger and H. Colfen: Phys. Chem. Chem. Phys., 8 (2006) 3271. 

  22. X. Peng, L. Manna, W. Yang, J. Wickham, E. Scher, A. Kadavanich and A. P. Alivisatos: Nature, 404 (2000) 59. 

  23. V. F. Puntes, D. Zanchet, C. K. Erdonmez, and A. P. Alivisatos: J. Am. Chem. Soc., 124 (2002) 12874. 

  24. I. Robinson, S. Zacchini, L. D. Tung, S. Maenosono and N. T. Thanh: Chem. Mater., 21 (2009) 3021. 

  25. Z. Tang and N. A. Kotov: Adv Mater., 17 (2005) 951. 

  26. C. Wagner: Zeitschrift Fur Elektrochemie, Berichte Der Bunsengesellschaft Fur Physikalische Chemie, 65 (1961) 581. 

  27. H. Zheng, R. K. Smith, Y. Jun, C. Kisielowski, U. Dahmen and A. P. Alivisatos: Science, 324 (2009) 1309. 

  28. I. Robel, V. Subramanian, M. Kuno and P. V. Kamat, J. Am. Chem. Soc., 128 (2006) 2385. 

  29. A. Saha, K. V. Chellappan, K. S. Narayan, J. Ghatak, R. Datta and R. Viswanatha: J. Phys. Chem. Lett., 4 (2013) 3544. 

  30. X. Dai, Z. Zhang, Y. Jin, Y. Niu, H. Cao, X. Liang, L. Chen, J. Wang and X. Peng: Nature, 515 (2014) 96. 

  31. C. B. Murray, C. R. Kagan and M. G. Bawendi: Annu. Rev. Mater. Sci., 30 (2000) 545. 

  32. C. de Mello Donega, P. Liljeroth and D. Vanmaekelbergh: Small, 1 (2005) 1152. 

  33. S. G. Kwon and T. Hyeon: Small, 7 (2011) 2685. 

  34. S. Asokan, K. M. Krueger, V. L. Colvin and M. S. Wong: Small, 3 (2007) 1164. 

  35. Z. A. Peng and X. Peng: J. Am. Chem. Soc., 123 (2001) 1389. 

  36. L. Li and P. Reiss: J. Am. Chem. Soc., 130, (2008) 11588. 

  37. D. R. Larson, W. R. Zipfel, R. M. Williams, S. W. Clark, M. P. Bruchez, F. W. Wise and W. W. Webb: Science, 300 (2003) 1434. 

  38. D. Loss and D. P. DiVincenzo: Phys. Rev. A, 57 (1998) 120. 

  39. D. M. Ratner, E. R. Murphy, M. Jhunjhunwala, D. A. Snyder, K. F. Jensen and P. H. Seeberger: Chem. Commun., (2005) 578. 

  40. W. Lin, Y. Wang, S. Wang and H. Tseng: Nano Today, 4 (2009) 470. 

  41. K. W. Wang, K. G. Lee, T. J. Park, Y. Lee, J. Yang, D. H. Kim, S. J. Lee and J. Y. Park: Biotechnol. Bioeng., 109 (2012) 289. 

  42. R. Kikkeri, P. Laurino, A. Odedra and P. H. Seeberger: Angew. Chem. Int. Ed., 49 (2010) 2054. 

  43. B. Kwon, K. G. Lee, T. J. Park, H. Kim, T. J. Lee, S. J. Lee and D. Y. Jeon: Small, 8 (2012) 3257. 

  44. A. Gunther and K. F. Jensen: Lab on a Chip, 6 (2006) 1487. 

  45. S. Gomez-de Pedro, C. S. Martinez-Cisneros, M. Puyol and J. Alonso-Chamarro: Lab on a Chip, 12 (2012) 1979. 

  46. K. Kim, S. Jeong, J. Y. Woo and C. Han: Nanotechnology, 23 (2012) 065602. 

  47. O. I. Micic, C. J. Curtis, K. M. Jones, J. R. Sprague, and A. J. Nozik: J. Phys. Chem., 98 (1994) 4966. 

  48. R. G. Larson, E. S. Shaqfeh and S. J. Muller: J. Fluid Mech., 218 (1990) 573. 

  49. S. J. Muller, R. G. Larson and E. S. Shaqfeh: Rheol. Acta, 28 (1989) 499. 

  50. R. D. Moser, P. Moin and A. Leonard: J. of Computational Physics, 52 (1983) 524. 

  51. P. S. Marcus: J. Fluid Mech., 146 (1984) 45. 

  52. B. Eckhardt, S. Grossmann and D. Lohse: J. Fluid Mech., 581 (2007) 221. 

  53. T. S. Tran, S. J. Park, S. S. Yoo, T. Lee and T. Kim: RSC Adv., 6 (2016) 12003. 

  54. Y. H. Song, S. H. Choi, W. K. Park, J. S. Yoo, S. B. Kwon, B. K. Kang, S. R. Park, Y. S. Seo, W. S. Yang and D. H. Yoon: Sci. Rep., 8 (2018) 2009. 

  55. http://www.kims.re.kr/v17/bbx/content.php?co_id02_02 _02 

  56. T. Xuan, J. Liu, H. Li, H. Sun, L. Pan, X. Chen and Z. Sun: RSC Adv., 5 (2015) 7673. 

  57. S. Kalytchuk, S. Gupta, O. Zhovtiuk, A. Vaneski, S. V. Kershaw, H. Fu, Z. Fan, E. C. Kwok, C. Wang and W. Y. Teoh: J. Phys. Chem. C, 118 (2014) 16393. 

  58. Y. Huang, Y. Lan, Q. Yi, H. Huang, Y. Wang and J. Lu: Chem. Res. Chin. Univ., 32 (2016) 16. 

  59. M. R. Hodlur and K. M. Rabinal: Chem. Eng. J., 244 (2014) 82. 

  60. Y. Shirasaki, G. J. Supran, M. G. Bawendi and V. Bulovic: Nat. Photonics, 7 (2013) 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